IV. 연구결과 ○ 장기 가동된 해체 원전을 활용한 실증연구는 가동중 원전의 장기가동에 대비한 안전 유지와 향상 방안 수립에 기여할 것임. ○ 구조재료 분야 실증 연구 추진 방안 - 본 연구에서 제안된 4개의 구조재료 분야 실증 연구주제는 추진 필요성이 충분하다고 평가됨. ⦁ 원자로부품 고방사선 장기조사 영향 평가 ⦁ 압력경계 기기·재료 열화 손상 평가 ⦁ 증기발생기 열화손상 실증 평가 ⦁ 1, 2차 냉각계통 크러드 및 슬러지 분석 - 예산적인 제약 등으로 인해 실증 연구 수행 우선순위를 고려하여야 할 경우, 실증연구 추진 중요성에 대한 상대적 평가에서 낮은 평가를 받은 ‘1, 2차 냉각계통 슬러지 및 크러드 분석’을 ‘증기발생기 열화 손상 실증 평가’에 포함시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평가됨. ⦁ 증기발생기 슬러지는 증기발생기 전열관 열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이의 분석을 증기발생기 열화 손상 실증 평가에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실증 결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기기 및 설비시스템 분야 실증 연구 추진 방안 - 3개의 실증 주제에 대해 실증 연구 추진의 필요성이 높게 평가됨. ⦁ 해체 원전을 이용한 장기가동 원전의 콘크리트 열화 성능 평가 ⦁ 장기가동 원전의 열화기기 내진 성능 평가 ⦁ 원자력시설의 3차원 형상 및 방사능 동시측정기반 안전진단 기술개발 - 실증 연구 추진의 중요성은 인정되나 다른 연구주제와 통합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평가된 연구주제 ⦁ 국내 원전의 방사화에 의한 구조재 및 콘크리트의 방사화 현상 연구 → ‘해체 원전을 이용한 장기가동 원전의 콘크리트 열화 성능 평가’와 통합하여 수행 → 단 고리1호기의 케이블 열화 평가는 별도의 실증주제로 분리하든지, 또는 ‘원전화재 환경 기기 및 운전반응성 실증 시험’으로 통합하여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 - 규제기관의 안전규제, 실증연구를 위한 유틸리티 공급에서 제약이 있어 수행이 가능하지 않을 것으로 평가된 연구주제는 다음과 같음. ⦁ 실규모 열수력 현상 실증의 3개 실증연구주제 ⦁ 주제어보드(MCB1)) 타입 주제어실 증강 화재 실험 연구 ⦁ 원전 안전성 확인 및 향상을 위한 주요기기 성능 및 가용성 평가 - 고리1호기 해체를 위한 연구개발사업과 중복성이 있어서 실증 연구 형태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평가된 연구주제는 다음과 같음. ⦁ 해체 작업 중 방사선 피폭량 평가 기술 및 방호 대책 실증 ⦁ 해체 작업과 관련한 방사성폐기물의 수량 평가 기술 및 확산 방지 기술 실증 - 고리1호기를 활용하는 실증 연구주제로서 적절하지 않다고 평가된 연구주제는 다음과 같음. ⦁ 원자력시설 내 로봇 활용성 실규모 평가 ⦁ 구리 금속 케이블 전자기 용융 처리 및 재활용 평가 ○ 구조재료 분야는 Hot Lab. 수준의 실증 연구시설로 충분하며, 기기 및 설비 시스템 분야는 대부분 고리1호기 현장에서 실증연구가 수행되어 별도의 시설 구축이 불필요하다는 평가임. ○ 추진 필요성이 높다고 평가된 실증 연구들은 최종해체계획서(FDP) 승인 이후에 본격 수행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어서, 실증 연구 수행을 위해서는 안전관리 및 방사성폐기물관리 기준을 준수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평가 ○ 실증 연구의 추진이 해체일정에 영향을 주어 비용 증가 등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음에 따라, 이의 최소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해체사업자와 사전협의를 통해 세부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요구됨. ○ 구조재료 분야의 고리1호기 활용 실증연구 주제들에 대해 미국 등 해외의 관심이 높으며, 국제협력을 통해 추진 효율성을 제고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평가임.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김현준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학회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