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384 Page 100/1,239

검색
  • 11394

    2020.11.30

    1. Research Purpose 1.1 Research Background and Objectives Traditionally, the nuclear power plant (NPP) was used for base-load operation in many countries. However, renewable energy contribution to electricity is quickly increasing in most of countries in support of the efforts to reduce CO2 release and prevent the irreversible climate change in the whole globe. Taking into account the seriousness of the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the nuclear energy will be more utilized in the future in many countries. As a result, it is very likely that the existing and coming NPPs should co-exist with sizable renewable energy sources. One clear issue of the renewable energy is that it is intermittent and it may cause grid-instability if the renewable size is noticeable. Consequently, the future NPPs are requested to be more resilient and flexible so that it can easily coexist with the renewable energy resources. In UAE, it is expected that the solar power will quickly increase and its electricity share will be possibly bigger than that of the 4 APR1400 units which are under construction. Therefore, load-follow capability of NPPs is an important requirement for synergistical symbiotic coexistence with renewable energies. (출처 : 본문 : 1. Research Purpose 4p)
    • 연구책임자 : 김용희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 11393

    2020.07.31

    본 선기획연구에서는 밴드갭이 제어된 반데르발스 층상 소재용 전구체 및 이를 이용한 신축성 광/전자 소자 기술에 관한 문헌 조사분석 및 특허기술동향 분석을 통해, 원천특허 포트폴리오 전략을 수립하였고 본 과제의 연구목표 및 내용을 수립하였음. 이를 통해 반데르발스 층상 소재용 전구체 및 이를 이용한 신축성 광/전자 소자 기술 개발을 위한 신연구방법론과 신물질의 개념을 도출할 수 있었음 ◉ 최종목표: 반데르발스 층상 소재용 전구체 화합물을 제일원리 양자 전산모사 기반 분자설계을 통해, 저온 열분해가 가능하고, 용액공정 및 MOCVD 공정에 적합한 반데르발스 층상 소재용 유기금속화합물 전구체 합성 및 밴드갭 제어에 의한 광대역(UV~Vis~IR) 광소자와 신축성 고이동도 반도체 제조를 위한 대면적 반데르발스 반도체 박막 및 나노구조체 제조 기술개발 □ 新연구방법론 • Hybrid DFT 밴드갭 계산법에 의해 광대역의 반데르발스 층상 소재 설계 • 박막 제조 공정별 전구체 플랫폼 얼개를 위한 전구체 합성법 개발 □ 新물질 • 250℃이하의 열분해가 가능한 용액공정용 single-source 전구체 • 증기압 0.1 Torr/60℃ 이상의 아미노 알콕사이드/아미노 아미드 기반 금속 전구체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임종선
    • 주관연구기관 : 한국화학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800
    • Keyword : 1. 반데르발스 층상 소재;밴드갭;전구체;제일원리;용액공정;유기금속화학기상증착;광대역 광전자;고이동도; 2. van der Waals layered materials;bandgap;precursor;first principle;solution-process;MOCVD;broadband photoelectronics;high mobility;
  • 11392

    2020.01.31

    본 연구에서는 낮은 면역원성(immunogenicity)과 immune-suppressive한 종양미세환경을 가진 종양에서 방사선의 in situ tumor vaccination 효과와 class I PI3K 억제제의 면역 저항성을 억제하는 효과로 인해 둘을 immune checkpoint blockade에 병용하였을 때, immune checkpoint blockade의 항종양효과가 높아질 것으로 가정하였다. T-lymphocyte와 co-culture한 유방암 세포주(BT474 와 MDA-MB468)를 PI3Kαδ inhibitor로 치료한 군과 치료하지 않은 군으로 나눈 후,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방사선 조사 후, 살아남는 세포의 분획은 집락형성 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4T1 마우스 유방암세포를 BALB/c 마우스의 뒷다리에 심고 키운 뒤, 8Gy씩 3번 총 24Gy를 조사하였다. PD-1 blockade와 Class I PI3K inhibitor는 2일에 한번씩 2주간 주사하였다. 항종양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종양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면역조절효과는 flow cytometry와 면역화학조직염색을 통해 평가하였다. PI3Kαδ inhibitor 군에서 대조군보다 방사선 후 살아남는 세포의 분획이 유의하게 낮아 방사선 감작효과를 보였다. PD-1 blockade, Class I PI3K inhibitor, 방사선의 삼중병합요법은 유의하게 종양성장을 억제시켰다. PD-1 inhibitor 단독요법의 종양성장 억제효과는 미미했다. 방사선과 Class I PI3K inhibitor는 CD8 cytotoxic T cell을 억제하였으며 Class I PI3K inhibitor는 regulatory T cell, polymorphonuclear 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 M2 tumor associated macrophage를 감소시켰다. 삼중병합요법은 CD8 cytotoxic T cell을 상당히 증가시켰는데 이는 방사선과 PD-1 blockade, 그리고 이 synergistic한 면역조절효과를 보임을 시사하였다. 또한, 방사선을 조사한 군에서 abscopal effect가 관찰되었으며 그 정도는 비장의 CD8 cytotoxic T cell의 집결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인간화마우스 환자유래 종양모델을 이용한 면역유전체 연구를 통해 삼중병합요법시 immune response pathway의 증가 및 regulatory T cell 및 M2 TAM 의 감소 및 CD8+ cytotoxic T cell 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방사선과 Class I PI3K inhibitor는 유의하게 항종양 면역반응을 증진시켰으며 synergistic한 면역조절효과를 통하여 PD-1 blockade에 대한 반응을 증가시켰다. 이 연구의 결과는 유방암의 면역저항성을 극복하기 위해 Class I PI3K inhibitor와 방사선을 PD-1 blockade에 병용하는 것에 대한 전임상적인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 보고서 요약서 4p)
    • 연구책임자 : 김인아
    • 주관연구기관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방사선 치료;항암면역치료;Class I PI3K억제제;면역체크포인트 억제제;abscopal 효과; 2. radiation therapy;cancer immunotherapy;class I PI3K inhibitor;immune checkpoint blockade;abscopal effect;
  • 11391

    2020.01.31

    ㅇ 방사선 이용 고내구성 생체 분자 나노 복합체 박막 제작하고 중성자 반사 이용 생체모방 재료와 복합된 산화 그래핀 박막형 슈퍼커패시터의 성능 고도화 기술 개발. • 생체모사 재료 하이브리드의 대형 박막 전극 제작 기술 개발 • 중성자빔 이용 생체모사 나노 복합체 박막의 충방전 시 실시간 구조 측정 • 시간분해 중성자반사장치기술 이용 나노복합체 전극의 슈퍼커패시터 성능 고도화 기술 개발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구자승
    • 주관연구기관 : 충남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200
    • Keyword : 1. 감마선 조사;중성자 반사;생체모사 소재;슈퍼커패시터;그래핀; 2. Gamma-ray irradiation;Neutron reflectivity;Biomimetic materials;Supercapacitor;Graphene;
  • 11390

    2020.02.29

    본 연구는 방사선을 이용하여 백신을 제조하는 사균 및 생균 백신제조기술을 확보하고 평가기술 고도화를 위하여 RI 이용 평가 기술과 OPA 기술개발을 등 총 4개의 기술을 개발 및 소동물과 대동물을 이용하여 실증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함. ❖ 기술개발(1): 방사선 높은 투과력과 에너지를 이용하여 세포(미생물) 내의 DNA 만을 분해하고 세포(미생물) 표면의 항원 단백질의 변성을 최소화하여 백신의 효능을 증대하는 기술 개발하고 가금티프스 예방할 수 있는 사균 백신을 개발하여 대동물과 소동물에서 실증 완료 ❖ 기술개발(2): 방사선 육종기술을 정밀화하여 감염성미생물인 병원성 유도 유전자에 돌연 변이를 유도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살모넬라와 가금티프스 두종에 대하여 기술 개발 후 대동물 과 소동물에서 실증 완료 ❖ 기술개발(3): RI을 대장균 및 살모넬라에 표지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마우스를 이용하여 대장균과 살모넬라의 이동 및 감염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 개발 완료. 클릭기술을 이용한 표지 방법은 그람음성균인 살모넬라에는 적용이 되지 않았으나 그람양성균인 b형 연쇄구균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함 ❖ 기술개발(4): 살모넬라 및 티프스 백신의 효능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법인 Opsonopagocytosis 항체 기능 분석법을 개발하였고 표준작업지시서를 작성하여 방사선 백신의 효능을 기존 백신과 비교 평가하여 방사선 기술의 우월성을 보여줌 본 과제를 통하여 확보한 4건의 기술은 국내외 특허(14건), 논문(11건), 해외학회 발표(1건), 표준작업지시서(1건) 등을 통하여 독창성 및 우월성을 증명하였음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서호성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방사선;백신;살모넬라;티프스;돌연변이; 2. Radiation;Vaccine;Salmonella;Gallinarum;Mutation;RMT;RST;
  • 11389

    2020.02.29

    • 표적 액체 생검법 구축으로 유전체 진단의 혁신 • 방사선 맞춤 치료 최적의 치료 반응 평가 프로토콜 개발 • 방사선을 이용해 일시적으로 혈액 내 ctDNA/cfDNA 수치를 높이며 이 변화를 소량의 혈액에서 검출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 확립 • 국소 방사선조사를 이용한 표적 액체생검의 가능성을 확인 • 방사선-면역치료 반응에 대한 표지자로써 ctDNA 분석의 가능성 확인 • ctDNA 분석을 abscopal effect에 대한 표지자로도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 확인 • 사례를 통해 잔존 종양 및 예후 평가 측면에서 ctDNA 분석의 유용성을 확인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호연
    • 주관연구기관 : 삼성서울병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액체생검;혈중 암 유전자;개인 맞춤 치료;항암 치료 평가; 2. liquid biopsy;cell free DNA;personalized medicine;treatment response evaluation;
  • 11388

    2020.02.29

    • 선도약물 (CHKP-1, MEKP-1)과 Hit 약물의 방사선 폐섬유화 제어 효능 및 방사선 손상보호제로의 효능 규명을 통해 제 2, 3세부과제에 약물정보와 효능연구결과를 공여하고, 각 세부과제로부터 개발된 선도 나노 및 화합물의 방사선 손상보호제로의 in vivo 효능평가를 수행함 • 폐섬유화억제 약물로 도출된 CHKP-1, MEKP-1 선도약물의 신약최적화연구를 통해 도출된 선도 화합물질의 방사선 폐섬유화 제어 효능을 검증하고, 최종 전임상 후보물질을 도출함. • 도출된 MEKP-1선도 화합물의 방사선 피부 손상제어 효능 및 타 적응증(간섬유화 제어 등)을 검증함. 또한, 방사선 폐암치료시 방사선 부작용 제어를 위한 약물로 적용 가능성을 유전자 변형 마우스와 Image-guided radiotherapy를 이용하여 검증하고, 실험실 주준의 독성평가 실시하여 약물의 유용성을 규명함. • MEKP-1 임상유사 방사선 부작용 동물모델에서 방사선 손상부위로의 최적화 나노 화합물의 생체전달률 및 약물 치료효과 규명함. 신규타겟 약물 EGFR저해제 유도 화합물의 폐섬유화 부작용 효능규명 및 섬유화제어 적응증을 평가함. • 방사선 폐섬유화 제어제 후보약물의 방사선 피부손상 제어, 방사선 위장관계손상 제어, acute radiation syndrome 극복효과를 평가하여, 최적화된 약물의 정상조직 손상관련 “다중적응증” 규명을 통해 신약개발의 효용성 증대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이윤진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방사선 혈관손상;방사선 폐섬유화;급성 방사선 증후군;방사선 보호제;방사선 유도 혈관간엽이행; 2. Radiation-induced vascular damage;Radiation-induced lung fibrosis;Acute radiation syndrome;Radiation-induced EndMT;
  • 11387

    2020.03.31

    1차년도 (1)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조성을 분석 후 새로운 조성의 물질을 구상하였으며, 고상법, 액상법 등을 사용한 최적의 합성 조건을 선정하였음. (2) 제일계산 기반의 전산모사를 통한 신규 물질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예측하고 방사광을 활용한 분석을 실시함. 2차년도 (1) 충방전 시험을 통하여 사이클 성능과 출력 특성을 분석함. (2) 열적인 손실 등을 평가하며 더 높은 안정성을 갖을 수 있게 개선함. (3) 방사광을 이용한 분석을 통하여 심층적인 구조 분석을 진행함. 3차년도 (1) 코팅 및 도핑 등을 통해 최적화를 진행함. (2) In-situ 또는 ex-situ를 통해 충방전 간 일어나는 구조 변화를 파악함. (3) TEM 분석을 통해 충방전간 활물질 입자의 변화를 확인하고, 면간 거리와 면 지수 등을 기존의 XRD Rietveld 데이터와 비교분석함. (4) XANES 분석을 통해 활물질 내의 전이금속의 산화수 변화와 각각의 상태에서 갖는 구조와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함.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김종순
    • 주관연구기관 : 세종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400
    • Keyword : 1. 비리튬계 이차전지;전산모사;방사광;전극소재;고도분석; 2. Non-lithium secondary battery;Computational simulation;Synchrotron radiation;Electrode material;Advanced Analysis;
  • 11386

    2020.03.31

    □ 방사선종양치료의 정밀성과 효율향상을 위한 기술개발 ○ 가속 발전하는 지능형 컴퓨터비젼 기술을 방사선종양치료 업무에 적용함으로써 수작업의존성과 개인편차가 높은 방사선종양치료 계획수립의 문제를 해소하는 신기술을 개발함. ○ 고준위 적응적 방사선종양치료에서 빈번히 요구되는 치료계획 적응수립의 업무부담을 경감시키고 적응적 방사선치료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딥러닝 기반의 지능적 컨투어링 지원기술을 개발함. ○ 개발된 지능적 컨투어링 지원기술을 임상적용하는 데 필요한 Workflow를 정보 모형화 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반영하고, 임상적용에 따른 효용성을 평가함.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김종효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400
    • Keyword : 1. 방사선;종양치료;계획수립;정밀성;컨투어링;딥러닝; 2. Radiation Oncology;Treatment Planning;Precision;Tumor;Contouring;Deep Learning;
  • 11385

    2020.02.29

    ⚫ 딥러닝 기반 인체부위별 합성CT 생성 플랫폼 설계 ⚫ 딥러닝 기반 인체부위별 합성CT 생성 플랫폼 개발 ⚫ 딥러닝 기반 범용 합성CT 생성 플랫폼 개발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박종민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00300
    • Keyword : 1. 자기공명영상유도 방사선치료;자기공명영상;합성CT;딥러닝;다학제 연구; 2. Magnetic resonance image-guided radiation therapy;Magnetic resonance image;Synthetic CT;Deep learning;Multidisciplinary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