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9 Page 4/1,246

검색
  • 12429

    2024.03.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전략적이고 신속한 소방청-경찰-군-원안위-KINS-원자력의학원-한수원-지자체 협업을 통한 철저한 주민 보호 역량 강화와 국민 신뢰 제고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대응을 위한 협업기관의 명확한 임무 규정 및 대응매뉴얼 개발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최선의 주민보호를 담보할 기관간 협업체계와 교육․훈련 시스템 구축 ◼ 전체 내용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현황 및 체계 분석 : 현행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각 기관의 역할과 책임 및 협업구조와 커뮤니케이션 수준 진단 - 현행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 현황 및 체계 검토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대응에 대한 기관별 인식 분석 - 미국․핀란드의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군·경·소방 임무 조사 - 체르노빌․후쿠시마 사고시 군·경·소방 역할 및 피해상황·레슨런 조사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체계 개선방안 도출 : 주요 선진국(미국, 핀란드)의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 체계 분석을 중심으로 한 개선방안 도출 - 미국․핀란드의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체계 및 규제기관의 역할 분석 - 대한민국의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체계 개선 방안 마련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매뉴얼 설계 및 작성 : 각 기관별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매뉴얼 분석 및 공동 협업매뉴얼 작성 - 기관별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매뉴얼 검토 및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매뉴얼 인쇄본 및 앱버전 출판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 교육․훈련 시스템 구축 : 협업매뉴얼을 적용한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교육․훈련 및 시스템 구축 - 미국․핀란드의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 교육․훈련 시스템 분석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 교육․훈련 계획 수립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주민보호에 대한 국민신뢰 제고방안 구성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대응과 주민보호에 대한 국민 신뢰 제고 방안 제시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 및 대응과 각 기관에 대한 언론보도 네트워크 분석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 대응과 각 기관에 대한 국민 인식 탐색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 대응과 주민보호에 대한 국민 신뢰를 위한 규제 커뮤니케이션 방안 마련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 관련법령 검토 및 개선방안 마련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의 실효성 제고를 통한 관련 법령 검토와 개선방안 도출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견고한 협업을 위한 관련법령 검토 - IAEA 방사선방호에 관한 기준(GSR Part 7) 검토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견고한 협업을 위한 관련법령 개선 방안 도출 ◼ 1단계 ❏ 목표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전략적이고 신속한 소방청-경찰-군-원안위-KINS-원자력의학원-한수원-지자체 협업을 통한 철저한 주민 보호 역량 강화와 국민 신뢰 제고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대응을 위한 협업기관의 명확한 임무 규정 및 대응매뉴얼 개발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최선의 주민보호를 담보할 기관간 협업체계와 교육․훈련 시스템 구축 ❏ 내용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현황 및 체계 분석 : 현행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각 기관의 역할과 책임 및 협업구조와 커뮤니케이션 수준 진단 - 대한민국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 현황 및 체계 검토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대응에 대한 기관별 인식 분석 - 미국의 원전사고 대응체계 및 협업구조 분석·공조기관의 역할 - 후쿠시마 원전사고 대응체계 및 협업구조 분석·공조기관의 역할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체계 개선방안 도출 : 주요 선진국(미국, 핀란드)의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 체계 분석을 중심으로 한 개선방안 도출 - 미국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체계 및 규제기관의 역할 분석 - 대한민국의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체계 개선 방안 마련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매뉴얼 설계 및 작성 : 각 기관별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매뉴얼 분석 및 공동 협업매뉴얼 작성 - 기관별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매뉴얼 검토 및 분석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 교육․훈련 시스템 구축 : 협업매뉴얼을 적용한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교육․훈련 및 시스템 구축 - 대한민국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 교육․훈련 시스템 분석 - 미국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 교육․훈련 시스템 분석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 관련법령 검토 및 개선방안 마련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의 실효성 제고를 통한 관련 법령 검토와 개선방안 도출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견고한 협업을 위한 관련법령 검토 - IAEA 방사선방호에 관한 기준(GSR Part 7) 검토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견고한 협업을 위한 관련법령 개선 방안 도출 ◼ 2단계 ❏ 목표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전략적이고 신속한 소방청-경찰-군-원안위-KINS-원자력의학원-한수원-지자체 협업을 통한 철저한 주민 보호 역량 강화와 국민 신뢰 제고, 또한 협업을 위한 대응 매뉴얼 개발 및 협업체계에 따른 교육훈련 시스템 구축 ❏ 내용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 시 공조기관의 협업 매뉴얼 작성 - 원전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매뉴얼에 대한 기관의견 청취 - 원전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매뉴얼 2.0 개발 - 원전사고 및 방사선 비상시 협업매뉴얼 앱버젼 개발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공조기관의 교육훈련시스템 구축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 교육훈련 시스템 시범적용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 교육훈련 시스템에 대한 기관 의견 청취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 비상시 협업 교육훈련시스템 2.0 개발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 대응 관련법령 개선방안 마련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 실효성 제고를 위한 전문가 및 오피니언리더 의견 수렴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 실효성 제고를 위한 관련법령 개선방안 도출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대응 관련 법령 법령개선을 위한 국회 토론회 개최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 대응관련 법령 개선안 제안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 대응, 주민보호에 대한 국민신뢰 제고 방안 마련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대응에 대한 한 전문가 및 오피니언리더 의견 수렴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대응에 대한 규제커뮤니케이션 방안 제시 □ 연구개발성과 ○ N-STAR 보고서 6건 ○ 홍보실적 1건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소방 표준 대응매뉴얼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 각 1건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공조기관 협업매뉴얼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 각 1건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과 대응에 대한 규제커뮤니케이션 매뉴얼 ○ 학술대회 발표 7건 - 원자력학회: 3건, 화재소방학회: 1건, 인간공학회: 2건, 한국에너지기후변화학회: 1건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소방청-경찰-군-원안위-KINS-원자력의학원-한수원-지자체 역할 및 책임 구분을 명확히 함으로써 재난 대응시 발생할 수 있는 혼란 최소화에 기여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관련 기관의 위험에 대한 왜곡된 인식 해소와 협업을 통한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 자신감 제고에 기여 - 각 기관의 협업을 통한 위험에 대한 왜곡된 인식 해소와 대응 자신감 제고에 기여 - 도심 테러 등 방사능물질 누출사고 발생시, 신속정확하며 실효성 있는 협업적 대응을 통해 자연환경 및 국민건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기여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협업을 통한 최선의 주민보호 조치를 토대로 회복탄력성 확보에 기여 -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시 대응에 대한 국민의 신뢰 제고에 기여 - 복합재난 발생 시 대응력 강화에 기여 - 만약의 경우 발생 시 혼란 방지 및 실질적 피해 최소화 - 원전 수출시 원자력사고 및 방사선비상 대응 협업 매뉴얼 팩키지에 포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장사언
    • 주관연구기관 : 스탠더드시험연구소
    • 발행년도 : 20240400
    • Keyword : 1. 방사선비상;협업체계;원자력 사고;회복탄력성;소방 대응; 2. Radiation Emergency;Collaboration System;Nuclear Accident;Resilience;Firefighting;
  • 12428

    2024.02.29

    □ 연구개요 재생의학에 있어서 줄기세포를 세포치료제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면역 적합성의 극복이 필요함. 이를 위해 환자의 세포를 추출하여 체세포 핵치환 또는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제작하여 다시 환자에게 이식하는 방법이 가장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는 자신의 세포를 이용해야하기 때문에 세포치료제로서 일부 제한점이 있음. 본 연구의 목표는 기존의 만능공여자 세포주 구축에 따르는 여러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체세포 핵치환 기술을 이용한 만능공여자 세포주를 구축하여, 분화된 면역세포의 면역회피 기전 및 세포치료제로서의 안전성 검증을 통해 체세포복제 만능공여자세포의 전임상 단계 연구적 가치를 입증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B2M 유전자를 표적으로하여 HLA class I 분자의 넉아웃을 통해 동종 T세포의 반응을 유도하지 않는 ‘Off-the-shelf’개념의 면역거부회피를 통해 저면역세포치료제를 개발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음. 본 연구는 저면역원성 체세포복제 배아줄기세포를 수립하여 NK세포와 γδ T 세포로 분화를 유도하여 B2M 유전자가 소실되어도 정상적인 면역세포로의 분화 가능성을 제시함. 나아가서, 저면역 만능공여자 체세포복제 배아줄기세포주 수립을 위해 B2M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여 HLA class I 분자를 넉아웃하고, 이어서 CIITA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HLA class II transcription factor를 넉아웃 하여, 항생제 처리를 통한 세포주 선발을 진행하였음. 기존의 면역관련 유전자 편집세포주의 체세포복제 배아줄기세포주 수립의 가능성을 높이고자 NMN을 체세포복제배아에 처리하여 배아줄기세포주 수립을 위해 배반포 품질을 향상시키는 연구에 도입하였음. 체세포복제 후 난자에 NMN을 처리하여 각 그룹별로 배반포 갯수, 생성된 배반포의 전체 세포수 및 내부세포괴 갯수의 분석을 통해 체세포복제 배반포 품질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획득하였음. 나아가서 기확립된 Class I/II 넉아웃 유전자 편집 세포주를 사용하여 체세포복제시 CD47을 주입하여 다중 유전자 편집 체세포복제 배아줄기세포주 수립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음. 하지만 의외의 결과로 CD47을 overexpression 시킬 경우 체세포복제 배반포 생성이 높은 효율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함. 또한 본 연구의 연장선으로 6주령의 human fetus skin fibroblast cells 분리하여 대량 배양하였으며, 공여자 적합성 평가 완료하였음. 목표대비 결과를 끌어내는 게 순조롭지 않았으나 연구과정 중 의도치 않은 여러 발견을 통해 특허출원을 하고 목표에 가까운 결과를 도출하였음.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면역결핍 체세포복제 배아줄기세포주 수립 기술은 그동안 만능공여자 배아줄기세포주 구축에 따르는 여러약점들을 보완할 수 있으며, 그 외의 많은 유전자 편집 체세포 복제 배아줄기세포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있어 활용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음. 기존의 체세포복제 배아줄기세포주 수립의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 발굴한 고품질 체세포복제 배반포 생산 효율인자는 각종 체세포복제 배아줄기세포주 세포치료제 개발에 도입하여 낮은 복제배아 효율을 극복할 수 있는 원천기술 개발로의 활용 가능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아름
    • 주관연구기관 : 차의과학대학교
    • 발행년도 : 20240300
    • Keyword : 1. 체세포복제;만능공여자세포;배아줄기세포;면역세포분화;면역세포치료제; 2.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Universal Donor Cells;HLA class I;HLA class II;Immune Cells;
  • 12427

    2024.02.29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원자력시설 안전조치 검증용 핵물질 연대측정 핵심기술 개발 - Pu-Am, Pu-U 붕괴반응 이용 플루토늄 연대측정 핵심 분석기술 개발 - Pu-Am, Pu-U 연대측정 기법 개발 ◼ 전체 내용 ○ 본 연구는 방사성 물질의 붕괴 특성에 기반을 두어 핵물질 연대 즉, 핵물질 정제 이후 경과시간을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임 ○ 핵물질 연대측정 기술은 물리적, 화학적, 동위원소 특성 등 여러 변수들과 함께 핵물질의 이력을 알 수 있는 중요한 기술로서, 시설안전조치 사찰시료 분석, 핵활동의 추정과 검증, 미신고/미확인 핵물질의 출처 파악 등에 필수적으로 소요되는 기술임 ○ 다양한 연대측정시계를 이용한 핵물질 연대측정 기술 개발을 위해, Pu-Am과 Pu-U 연대측정시계 (radiochronometer)를 이용한 플루토늄 연대측정기법을 개발하는 것임 ○ 청정시험시설과 극미량 핵물질 분석장비를 활용하여, 피코그램 (pg)급 극미량의 아메리슘과 우라늄을 모핵종인 플루토늄으로부터 순수분리하여 동위원소희석법에 따라 정량분석하는 요소기술을 1-2차년도까지 개발하고, 이에 기반한 연대측정 핵심 기술을 3차년도까지 개발 완료 및 검증 ○ 핵물질 연대측정 알고리즘과 핵물질 별 연대측정 절차를 개발하여 연대측정용 전산 S/W 개발에 활용하고, 개발한 연대측정 기술을 국제협력 등의 방법으로 검증 ◼ 1단계 ❏ 목표 ○ 시설 안전조치 검증용 핵물질 연대측정 요소기술 개발 ❏ 내용 ○ 1차년도 (2021.04.01.~2021.12.31) - 핵물질 유형 별 연대측정 알고리즘 개발 - 플루토늄 매질 내 극미량 아메리슘 순수 분리 기술 및 정량 분석법 개발 ◼ 2단계 ❏ 목표 ○ 시설 안전조치 검증용 핵물질 연대측정 핵심기술 확립 ❏ 내용 ○ 2차년도 (2022.01.01.~2022.12.31.) - Pu-Am 붕괴반응 이용 플루토늄 연대측정기법 개발 - 동위원소희석질량법에 의한 피코그램 (pg)급 Pu, Am 정량분석법 개발 - 표준시료를 이용한 Pu-Am 연대측정 핵심기술 검증 - 핵물질 연대측정 전산 S/W 설계 ○ 3차년도 (2023.01.01.~2023.12.31) - 플루토늄 매질 내 피코그램 (pg)급 우라늄 순수분리기술 및 정량분석법 개발 - Pu-U 붕괴반응 이용 플루토늄 연대측정기법 개발 - 표준시료를 이용한 Pu-U 연대측정 핵심기술 검증 - 핵물질 연대측정 절차서 개발 - 핵물질 연대측정 전산 S/W 개발 □ 연구개발성과 ○ 핵물질 유형 별 연대측정 알고리즘 확보 ○ 동위원소희석법에 의한 피코그램 (pg)급 핵물질 정량분석 기술자료 생산 ○ 플루토늄 매질 내 아메리슘 및 피코그램 (pg)급 우라늄 순수 분리 절차 및 정량 분석 기술자료 생산 ○ Pu-Am, Pu-U 붕괴반응 이용 플루토늄 연대측정기법 절차 확보 ○ 핵물질 연대측정 전산 S/W 및 핵물질 연대측정 절차서 확보 ○ 핵물질 연대측정 연구 관련 학술 발표, 논문 게재, 저작권 등록, 안전기술보고서 발간 및 핵물질 전문분석 인력 양성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핵물질 생산시기 추정기술 확보를 통한 국가 핵안보 및 시설 핵안전조치 역량 강화 ○ 국내 미신고/미확인 핵물질 발견 시 이력추적 등 신속 대응을 통한 국가 안전역량 제고 ○ 우라늄 농축, 플루토늄 재처리 등의 주변국 핵활동을 통해 생산된 핵물질의 생산 시기 추정에 활용 ○ 방사붕괴반응에 기반한 핵물질 생산연대 추정 핵심기술 개발을 통해 선진국 수준의 핵활동 검증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주변국 핵활동 검증 역량을 향상시키는 한편, 향후 북한 비핵화를 대비하여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 수행이 가능하도록 기술 지원 능력 확보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정근호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40300
    • Keyword : 1. 핵물질;연대측정법;우라늄;플루토늄;동위원소희석법; 2. nuclear material;Radio-chronometry;uranium;plutonium;isotope dilution mass spectrometry;
  • 12426

    2024.02.29

    □ 연구개요 Neutron stars are known to be made of dense matter described the theory of strong interactions, QCD. Establishing reliable predictions for the properties of QCD matter at the high densities of neutron star cores is, however, an extremely challenging problem. This program bridged the gap in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dense QCD by applying a holographic framework to model the strongly coupled physics. The framework will be anchored to the current knowledge of the QCD phase diagram stemming from lattice QCD, effective field theory, and perturbative calculations. This approach reduced the uncertainties of the QCD equation of state in the regime of high densities and low temperatures and to provide access to out-of-equilibrium observables such as viscosities and conductivities. It also produced predictions for the properties of the QCD phase transitions at low temperature and high density.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The main objectives of the proposal were: * Construct a reliable (temperature dependent) equation of state, which significantly improves the state-of-art equations of state by using input from holography, and can be directly used in neutron star merger and core collapse supernova simulations. * Derive predictions for the physical transport coefficients (conductivities and viscosities) in the regime of dense QCD which are relevant for neutron star physics but largely unknown. * Derive predictions for the properties of the nuclear/quark matter interface, in particular the surface tension, which are similarly relevant and essentially unknown to date. These goals were met during the program. In addition, the equation of state of already applied to neutron star merger simulations.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Reaching these main objectives produced essential input for the astrophysics community, including work on neutron stars, neutron star mergers, and core collapse supernovae. It also has applications to heavy-ion physics, in particular high-density heavy-ion collisions. Moreover this work works as a basis for further developments of strong coupling tools for dense QCD matter and compact astrophysical objects. (source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JAERVINEN MATTI OSKARI
    • 주관연구기관 :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 발행년도 : 20240300
    • Keyword : 1. 게이지 / 중력 이중성;양자 색역학;중성자별; 2. Gauge/gravity duality;Quantum Chromodynamics;Neutron Stars;
  • 12425

    2024.03.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위성영상 기반 핵활동 및 핵시설 탐지·분석 기술 개발 ◼ 전체 내용 ○ 위성영상 기반 핵활동 및 핵시설 탐지·분석 기술 개발 - 북한 핵활동 및 시설 특성인자 DB 구축 - 위성영상 기반의 핵활동 및 시설 변화탐지 시스템 개발 - 국내외 전문가 비교검증 체계 구축 및 운영 ◼ 1단계 ❏ 목표 ○ 북한 핵활동 및 시설 특성인자 DB 구축 ○ 위성영상 기반의 핵활동 및 시설 변화탐지 시스템 개발 ○ 국내외 전문가 비교검증 체계 구축 및 운영 ❏ 내용 ○ 북한 핵활동 및 시설 특성인자 DB 구축 - 국내외 북한 핵활동 징후 자료 분석 - 북한 주요 핵활동 및 시설 변화 이력 분석 - 국내외 원자력시설 유형별 주요 특성인자 도출 - 북한 핵시설별 특성인자 DB 구축 ○ 위성영상 기반의 핵활동 및 시설 변화탐지 시스템 개발 - 객체기반 변화탐지 알고리즘 요구사항 분석 및 모델링 - 핵시설 특성인자 DB와 탐지 알고리즘 연계방안 연구 - 북한 주요 핵시설에 대한 위성영상 수치지도 제작 - 예비·주요 변화탐지 영상처리 결과 분석(영변 핵시설, 풍계리 핵실험장, 평산 우라늄 광산 등) - 위성영상 수집·분석 체계 연동 분석 플랫폼 개발 ○ 국내외 전문가 비교검증 체계 구축 및 운영 - 공개정보 기반 핵활동 분석 전문가 회의 또는 세미나 개최 - 위성영상 생산·가공·분석 전문기관 활동 참여 - 비확산분야 위성영상 연구개발 관련 국내외 정책연구 및 정보기관 협력 - 북한 핵활동 분석 관련 전문가 국내외 네트워크 강화 ◼ 2단계 ❏ 목표 ○ 위성영상 기반의 핵활동 및 시설 변화탐지 시스템 개발(고도화) ○ 국내외 전문가 비교검증체계 구축 및 운영 ❏ 내용 ○ 위성영상 기반의 핵활동 및 시설 변화탐지 시스템 개발(고도화) - 핵활동 및 시설 탐지·감시 관심정보(클래스) 조사 - 공개정보 기반 딥러닝 의미론적 분할 학습 데이터셋 구축 - 전문가 비교검증 개선사항을 반영한 딥러닝 의미론적 분할 학습 데이터셋 수정·보완 - 딥러닝 의미론적 분할 모델 개발 및 최적화 - 의미론적 분할 결과를 활용한 변화탐지 알고리즘 고도화 - 위성영상 핵활동 판독지원 시스템 유지보수 및 고도화 ○ 국내외 전문가 비교검증체계 구축 및 운영 - 전문가 대상 위성영상 핵시설 탐지·감시 관심정보 수요조사 - 전문가 비교검증을 활용한 성능 평가·분석 및 개선사항 도출 - 북한 핵활동 분석 관련 전문가 국내외 네트워크 강화 - 변화탐지 시스템 개발(고도화) 관련 전문역량 강화 □ 연구개발성과 ○ 북한 핵활동 및 시설 특성인자 DB 구축 ○ 위성영상 기반의 핵활동 및 시설 변화탐지 시스템 개발 ○ 국내외 전문가 비교검증 체계 구축 및 운영 ※ 안전기술보고서(N-STAR) 13건, 국내 비 SCIE 논문 2건, 국외 SCIE 1건, 국내 학술대회 발표 24건, 국외 학술대회 발표 4건, 저작권(S/W 등록) 1건, 홍보실적 10건, 포상 및 수상 실적 4건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활용계획 - 북한 핵활동에 대한 시스템(플랫폼) 기반 분석결과 도출을 통해, 북한 핵활동 및 시설 변화 발생 시 정부 대응정책 방향 설정의 주요 참고자료로 활용 ○ 기대효과 - 독자적 미신고 핵활동 탐지 및 분석 역량 확보로 비핵화 이행 검증 기반 마련 - 효율적 계획 수립 및 신속 정확한 의사결정 지원으로 검증 소요시간 및 비용 절감 - 국제 핵비확산 체제 강화 및 북한 비핵화 이해당사국으로서의 위상 제고에 기여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민수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발행년도 : 20240400
    • Keyword : 1. 위성영상;해석 특성인자;픽셀/객체기반 변화탐지;비핵화 검증;광역탐지 및 원격감시; 2. Satellite imagery;Interpretation key feature;Pixel/Object-based change detection;Verification of denuclearization;Remote sensing and monitoring;
  • 12424

    2024.02.29

    □ 연구개요 본 연구의 목표는 토모테라피 치료계획에 사용되는 여러 매개변수와 DQA 결과의 상관관계 분석 및 Dosiomics를 통한 선량분포와 DQA 결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feature들로 복합적인 머신러닝을 구성하여 DQA 결과를 예측하고 치료계획 시 조정이 필요한 매개변수를 제시하는 인공지능기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임. 최종적으로 토모테라피 치료 정확도 및 안정성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방사선 치료계획 보조 시스템(RTP assistant system)을 구현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가톨릭 중앙의료원 산하 병원에서 수집한 다양한 토모테라피 시스템 기반 암환자의 치료계획 및 DQA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환자 집단의 데이터를 확보함. -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방사선 치료계획과 DQA 결과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특정 치료계획 매개변수가 DQA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 - 연구에서 개발된 다양한 회귀, 분류, 앙상블 모델을 비교 분석한 결과 Voting Classifier와 Stacking Classifier가 가장 높은 성능을 보임. - 토모테라피 치료계획의 매개변수 조정과 선량분포의 변화가 DQA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델 성능 향상 및 최적화 - 모든 모델에 최적화 된 하이퍼 파라미터들을 적용하여 임상 현장 활용을 위한 예측 성능 평가를 수행함. - 도출된 파라미터들을 재계획에 반영 후, Pass rate 평가를 통해 인공지능 기반 토모테라피 방사선 치료계획 보조 시스템을 구축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연구과제의 활용계획] - 본 연구를 통해 토모테라피 DQA 결과를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DQA 측정 전에 실패할 가능성이 있는 치료계획을 미리 확인할 수 있음. 이는 임상 적용 시 DQA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치료계획의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음 - 가톨릭 중앙의료원 산하 병원 데이터를 이용함으로 Tomotherapy Hi-art, Radixact X7, Radixact X9 등 모든 토모테라피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음. - 개발한 시스템을 기반으로 토모테라피 포함 다양한 방사선치료 장비를 이용한 IMRT, SBRT, SRS 등의 다양한 치료기법의 방사선 치료계획 데이터를 수집 및 연구하여 인공지능 기반 통합 DQA 분석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으며, 인공지능 기반 방사선치료 보조 시스템으로써 고정밀 방사선치료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 [기대효과] 1. 기술적 측면 - 본 연구기관에서는 다양한 토모테라피 장비(Hi-Art, TomoHD, Radixact X7, Radixact X9)와 치료방식(Tomo-helical & Direct)이 가능하여 광범위한 환자 데이터 수집 가능함. 이러한 환자 데이터들을 학습시킴으로써 한 가지 조건에 국한하지 않고 범용적으로 토모테라피 치료에 적용 가능함. - 본 기관에서는 상기 내용과 같이 다량의 축적된 데이터를 수집 및 학습시킬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과 예측 모델에 대한 높은 정확성을 기대할 수 있음. 2. 경제적 ․ 산업적 측면 - DQA를 실시했을 때 결과를 기준으로 허용범위 이내면 치료를 진행하지만, 벗어나는 경우 재치료 계획을 시행해야 함. 본 연구를 통해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치료계획 매개변수를 미리 파악하고 이를 고려한 치료계획을 진행한다면 방사선치료를 위한 준비 시간이 단축될 것이며, 단축된 시간만큼 치료 시간을 확보할 수 있음. - 방사선치료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방사선치료 기술에 대한 시장성이 큰 현단계에서 개발한 시스템에 대한 전략을 세워 독보적인 위치를 확보한다면, 시장 선점에 따른 수입대체 및 수출로 인한 국부 증대가 기대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강영남
    • 주관연구기관 : 가톨릭대학교
    • 발행년도 : 20240300
    • Keyword : 1. 토모테라피;환자별 선량전달 정도관리;인공지능;방사선치료계획 매개변수;정도관리 통과율 결과 예측; 2. Tomotherapy;Patient-specific Delivery Quality Assurance;Artificial Intelligence;Radiation Treatment Plan Parameter;Prediction of Quality Assurance Passing Rate;
  • 12423

    2024.02.29

    □ 연구개요 연구가설: 종양 제어를 위해 필요한 X-선 및 중입자치료 선량을 유전자발현을 통해 예측할 수 있음 연구목적: 다양한 인간 유래 암 세포주들의 X-선 및 중입자치료에 대한 반응성을 측정하고 RNA sequencing을 시행하여 치료 반응성과 연관된 핵심적인 유전자들을 찾고 이를 토대로 유전자 발현에 기반을 둔 환자 맞춤 선량 결정 모델을 만들고자 함 연구목표: 최종목표: 유전자 발현 기반의 X-선 치료 및 중입자치료의 필요선량 예측 모델 개발 세부목표: -X-선 치료 및 중입자치료 저항성 세포주 확립 -차세대염기서열분석을 통한 X-선 및 중입자치료의 반응성 조절 핵심 유전자 분석 -종양제어를 위해 필요한 방사선량 결정모델 개발 및 임상적 효용성 검증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X-선 치료 저항성 세포주 확립: -방광암세포주/대장암세포주/췌장암세포주/신장암세포주/흑생종세포주/구강암세포주/후두암세포주에서의 방사선 저항성 세포주 확립 및 surviving fraction 확인함 -각 저항성 세포주에서의 방사선치료 반응성에 따른 유전자 발현 분석함 차세대염기서열분석을 통한 X-선 반응성 조절 핵심 유전자 분석: -Radiation Resistance Target Gene Screening 시행함: RNA seq data 를 기반으로 GSEA 분석 및 Gene ontology 분석을 해서 SF2 value 혹은 Radioresistant vs. WT cancer 에서 Gene expression 차이가 있는 유전자를 분석함 -Prediction algorithms of Radiation Resistance with Target Gene Screening data 제시함: AI 를 바탕으로 Gene expression 패턴에서 방사선 저항성과 관련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타겟을 분석하여 그것을 바탕으로 방사선저항성을 예측 모델을 제시함 인공지능기반 x-선 방사선민감성 예측 모델 개발 및 방사선민감성 예측관련 유전체 발현 정보 추출 -구축된 코호트를 활용하여 인공지능기반의 방사선 민감성 예측 모델 구축 -예측모델 기반 특정 유전자 발현 정보 추출 및 방사선 민감성 예측 방정식 개발 중입자 치료기를 활용한 실험법 확립 -기존 방사선치료와 동일한 효과를 보이는 중입자선의 선량을 기존 방사선 선량과 매칭함 -중입자 조사 시 세포 배양 조건 등을 확립하고, 본 실험법을 토대로 실험 계획서를 구축함 -방사선 저항성 세포주를 활용하여 pilot test 진행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방사선종양학의 맞춤 의료 기반 기술 마련 -연구는 시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구현되지 못한” 맞춤 X-선 방사선치료를 위해 필요한 기반이 되는 선량 예측모델을 제시함 -최적의 방사선치료선량 결정을 통해 종양 제어율 증가 및 부작용 발생 감소에 기여함 -암 치료 향상에 기여 추가 연구 계획: 중입자 기반 방사선치료의 선량 결정 모델 연구 계획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금웅섭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40300
    • Keyword : 1. 방사선치료;유전체발현;방사선저항성;예측모델; 2. radiotherapy;gene expression;radiation resistance;prediction model;
  • 12422

    2024.02.29

    □ 연구개요 식물면역 단백질인 NPR1은 전사공활성인자로 많이 연구되었지만 우리 연구진은 NPR1이 엽록체에도 존재함을 밝힘으로써 dual localization (핵, 엽록체), dual role(전사인자, redox에 따른 역행신호분자)의 단백질임을 증명하였다. 엽록체에 oligomer 형태로 유입되어 다량으로 존재하다가 스트레스 등 외부 환경변화와 Circadian Rhythm에 따른 redox 변화에 따라 엽록체에서 나와서 세포질을 경유한 후 Importin 복합체를 형성하여 핵공을 통해 핵으로 유입됨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NPR1이 실제 엽록체에서 핵으로 이동하는 역행신호단백질임을 증명하였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연구 목표: NPR1의 역행신호분자 작용, 한 개의 단백질이 다른 위치, 다른 기능 o 고염분 스트레스에서 NPR1은 엽록체에 축적되며 chaperone과 antioxidant로서 작용하여 protein homeostasis를 유지함으로써 광합성능을 제고하고 스트레스 저항성을 높여주는데 엽록체에서의 NPR1의 이러한 기능은 핵에서의 전사활성인자 외에 새로운 분자적, 생리적 기능이 확인된 것임 o RbcL의 chloroplast transit peptide (cTP) 유전자 절편을 NPR1의 5’에 결합하여 제조한 엽록체 표적 NPR1-GFP 단백질 (p35S::cTP-NPR1-GFP)이 엽록체에서 다량의 oligomer로 존재하였지만 고염분 스트레스 이후 핵에서 monomer로 확인됨 o pNPR1::NPR1-GFP의 형질전환식물체를 이용하여 핵 NPR1의 존재가 Circadian Rhythm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NPR1에 의해 조절되는 PR 전사체가 유도됨 o 엽록체에서 cTP를 제거하는 stromal processing peptidase의 돌연변이체 애기장대(spp)에 vaccum filtration된 cTP-NPR1-GFP에서는 고염분 스트레스 처리에서도 핵NPR1이 존재하지 않았는데 이는 스트로마에서 cTP가 제거되지 않았기 때문에 핵으로의 이동도 일어나지 않은 것임 ➔ NPR1은 엽록체에서 핵으로 이동하는 역행신호분자, dual localization, dual role o 엽록체→핵으로의 역행이동은 암상태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나며, 빛에 노출되면 엽록체 NPR1과 핵 NPR1의 반감기가 짧아지며, 단백질 분해는 proteasome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NPR1의 light-induced proteasome degradation을 나타내었음 o 기능유전체 분석을 위해 NPR1의 역행이동이 활발한 시기와 역행이동이 일어나지 않는 시기를 구별하여 RNA-sequence를 수행한 결과 Nuclear Localization Signal (NLS)에 결합하여 표적 단백질의 핵 유입에 관여하는 Importin factors를 구성하는 단백질의 전사체인 Importin a-1b, Importin B, Nuclear Transport Factor, Ran-Binding Protein 7을 확인하였음, 역행이동단백질의 새로운 핵유입기작 제시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o NPR1은 스트레스 및 병저항성을 유도하는 역행신호전달인자이며, 엽록체에서는 항산화기능을 갖는 단백질로서, 세포내 위치 및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확인 ➔ 특정 단백질이 세포내에서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함으로써 세포가 환경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세포내 다양한 과정을 조절할 수 있는 중요한 조절기작임을 확인하여 단백질 기능의 새로운 기초 이론 창출에 기여 o 병원균 감염에 의해 SA의 증가로 인해 환원적 상태가 되면 NPR1의 oligomeric 형태에서 이황화다리가 깨어져 monomer로 전환되어 핵으로 유입된다는 이론 ➔ 엽록체에서 세포의 분자적 조절을 위해 세포질로 이동 후 Importin factor가 NPR1의 NLS에 부착, 핵공을 통해 핵안으로 유입 ➔ 신호단백질의 새로운 핵유입기작 이론 제공 o 엽록체 역행신호단백질의 실질적 이동을 증명 ➔ Abiotic/Biotic 스트레스 저항성 유도에 활용하여 저항성 작물 선발 및 작물 제작, 엽록체 광합성능 제고에 활용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박기영
    • 주관연구기관 : 순천대학교
    • 발행년도 : 20240300
    • Keyword : 1. 역행신호전달;엽록체;활성산소;스트로마 프로세싱 분해효소; 2. Retrograde signaling;NPR1;chloroplast;reactive oxygen species;Stromal Processing Peptidase;
  • 12421

    2024.02.29

    □ 연구개요 본 연구에서는 위험물 시설의 화재 방호 성능 극대화를 위한 복사열 감쇠 미세물분무 미립화기의 최적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음. 1차년도에는 자료 및 연구 동향 조사, 미세물분무 미립화기의 분사 특성 측정, 복사열 감쇠 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장치 구축과 선행 실험 및 선행 전산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음. 2차년도에는 단일 미세물분무 미립화기를 이용하여 복사열 감쇠 성능 평가 실험 및 전산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분사 특성과 복사열 감쇠 간 상관관계 및 복사열 감쇠 성능 극대화를 위한 최적 조건을 도출하였음. 3차년도에는 미세물분무 미립화기 간 상호작용이 복사열 감쇠에 미치는 영향 파악을 위해 다중 미세물분무 미립화기를 이용한 복사열 감쇠 성능 평가 실험 및 전산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최적 조건을 도출하였음. 이후 본 연구에서 도출한 최적 조건들을 적용하여 실규모 위험물 시설 화재 방호 전산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미세물분무 미립화기에 의한 위험물 시설의 화재 방호 극대화 방안을 제안하였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1차년도 - 미세물분무 미립화기 및 복사열 감쇠 성능 관련 자료 및 연구 동향 조사 - 단일(1개) 및 다중(2개 이상) 미세물분무 미립화기의 분사 특성 측정 실험 장치 구축 및 실험 - 복사열 감쇠 성능 평가를 위한 미세물문부 미립화기의 후보군 선정 - 단일 및 다중 미세물분무 미립화기의 복사열 감쇠 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 장치 구축 및 선행 실험 - 미세물분무 미립화기의 복사열 감쇠 성능 평가를 위한 전산시뮬레이션 구축 및 선행 해석 ○ 2차년도 - 단일 미세물분무 미립화기를 이용한 복사열 감쇠 성능 평가 실험 - 단일 미세물분무 미립화기의 복사열 감쇠 성능에 대한 전산시뮬레이션 - 실험 및 전산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미세물분무가 복사열 감쇠 효과에 미치는 영향 검토 - 실험 및 전산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복사열 감쇠 성능 극대화를 위한 미세물분무 최적 조건 도출 ○ 3차년도 - 다중 미세물분무 미립화기를 이용한 미세물분무의 상호작용에 따른 복사열 감쇠성능 평가 실험 - 다중 미세물분무 미립화기의 복사열 감쇠 성능에 대한 전산시뮬레이션 - 실험 및 전산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복사열 감쇠 성능 극대화를 위한 다중 미세물분무 미립화기의 최적 조건 도출 - 도출한 미세물분무 미립화기의 최적 조건을 적용한 실규모 위험물 시설 화재 방호 전산시뮬레이션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미세물분무 특성과 복사열 감쇠 간 상관관계 및 최적 조건 도출 결과는 위험물 시설을 위한 미세물분무 화재 방호 설비의 설계 시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함. ○ 위험물 시설 화재 방호 설비의 화재 및 안전 관련 기준의 개선 및 보완을 위한 자료로 활용 가능함. ○ 전산시뮬레이션 기법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화재 및 소방 관련 다양한 현상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가능함. ○ 본 연구 결과는 위험물 시설 이외에 선박, 문화재, 박물관, ESS(energy storage system), 지하주차장, 산불 등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해 미세물분무 설비를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대상물에 활용 가능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치영
    • 주관연구기관 : 부경대학교
    • 발행년도 : 20240300
    • Keyword : 1. 미세물분무;복사열 감쇠;위험물 시설;화재 방호;실규모 화재시뮬레이션; 2. Water mist;Thermal radiation attenuation;Hazardous material facilities;Fire protection;Full-scale fire simulation;
  • 12420

    2024.01.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박인덕
    • 주관연구기관 : 한국기계연구원
    • 발행년도 : 20240200
    • Keyword : 1. 수중 레이저 가공;레이저 유도 붕괴 분광 분석;수중 레이저 절단 헤드;레이저 광학 모듈;레이저 제염; 2. underwater laser processing;under water laser cutting head;laser 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laser optical module;laser decont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