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9 Page 65/1,246

검색
  • 11819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원자력, 이차전지 산업 분야에 필요한 고부가가치 기능성 금속용 레이저 표면개질 기술 개발 □ 전체 내용 ○ 나노초 펄스 레이저 표면개질을 위한 레이저 가공시스템 구축 ○ 나노초 펄스 레이저 표면개질 기술을 이용한 금속 표면의 특성변화 연구 ○ 금속의 친수성(Hydrophilicity) 및 소수성(Hydrophobicity) 강화 방법 연구 ○ 금속(지르코늄)의 임계열유속(Critical Heat Flux, CHF) 개선 방법 연구 ○ 접촉각 90° 이상 ○ 임계열유속 10% 개선 ※ 연구개발성과 (1) 정성적 연구개발 성과 ○ 나노초 펄스 레이저 표면개질을 위한 피닝 및 패터닝 가공 시스템 구축 ■ 레이저 광원 ~ 가공 헤드 까지의 빔 전송 광학계 설계 및 개발 ■ 빔 성형 및 전송을 위한 레이저 가공 헤드 설계 및 개발 ■ 레이저 가공 스캐닝 및 제어 시스템 개발 ○ 나노초 펄스 레이저 표면개질기술을 이용한 금속(지르코늄) 표면의 친수성 (Hydrophilicity) 및 소수성(Hydrophobicity) 강화 방법 ■ 금속(지르코늄)의레이저피닝 가공 및 표면 특성 ■ 금속(지르코늄)의 레이저패터닝 가공 및 표면 특성 ○ 금속(지르코늄)의 임계열유속(Critical Heat Flux,CHF) 개선 방법 ■ 금속(지르코늄)의 표면 특성 및 CHF 개선을 위한 가공변수 확립 (2) 정량적 연구개발성과 ○ 학술/과학기술성과 ■ 전문학술지 논문게재(SCI 2건) - Applied optics, 58(9), 2429-2437 - Applied Sciences, 9(12), 2396 ■ 지식재산권 - 특허출원(출원번호: 10-2020-0011913, 2020년) ■ 학술대회 논문발표실적(6건) - Optics and Photonics congress 2018 (2018) 2건 - 대한용접접합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2021) 2건 ○ 인력양성 ■ 학위 배출인력(박사 4명, 석사 1명) ○ 국제협력 ■ 국내외 과학자 교류(해외파견 1명) (HiLASE, 체코)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본 과제의 연구개발성과를 원자력, 이차전지 산업 분야에 필요한 고부가가치 기능성 금속용 레이저 표면개질 기술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유태준
    • 주관연구기관 : 한동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레이저 표면개질;친수성;소수성;임계열유속; 2. laser surface modification;Hydrophilicity;Hydrophobicity;Critical Heat Flux;
  • 11818

    2021.02.28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최양서
    • 주관연구기관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원전 계측제어시스템;보안취약점 점검;규제지침 점검;바이너리 분석;퍼징; 2. Nuclear Power Plant I&C System;Security Vulnerability Assessment;Regulation Assessment;Binary Analysis;Fuzzing;
  • 11817

    2020.12.31

    본 과제는 원자/핵묙응 특성 Data 기술의 선진화를 통한 원자력 기묙기술 자립 및 국제 경쟁력/영향력 제고를 목표로 하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ㅇ 국제 원자/핵데이터 네트워크 구축 - IAEA의 핵묙응 실측자료 데이터베이스(EXFOR) 편집 및 광핵묙응 데이터 개량 연구(CRP) 완수 - OECD/NEA의 평가핵데이터 파일 JEFF-3.3 개량 국제 공동 연구 참여 - LANL과 협력 연구를 통한 평가핵데이터 파일 ENDF/B-VIII.0 개량 ㅇ 핵묙응 Data 평가 및 기술 개발 - 주요 악티나이드 (우라늄 10종, 플루토늄 5종) 핵데이터 평가 - 의료, 핵폐기물, 차폐 관련 핵종 포함 15종의 광핵묙응 데이터 생산 ㅇ 후행핵주기 R&D용 핵데이터 및 열중성자 산란 데이터 검증 - 후행핵주기 R&D용 핵데이터 분석 및 KAERI 생산 우라늄, 플루토늄 핵데이터 검증 - 핵분열생성물 수율(10종) 및 붕괴(20종) 데이터, 분자동역학 기묙 열중성자산란데이터 생산/검증 ㅇ 정밀 원자 플라즈마 묙응 데이터 생산 평가 체계 구축 - 고밀도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고분해능 분광 측정시스템 구축 - Ar, He 충돌복사 분광모델 개발 및 원자묙응 데이터 평가 방법 확립 ㅇ 국내 시설을 이용한 핵묙응 측정 - 경주 양성자가속기를 이용한 구조재의 양성자 유도 핵묙응 측정 (Cu, Ni, Fe) - 양성자 기묙 중성자 방사화 단면적 측정 현황 분석 및 측정 장비 제작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239p)
    • 연구책임자 : 김도헌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핵묙응;원자/핵데이터 평가;핵데이터 처리 및 검증;핵데이터 측정; 2. Nuclear reaction;Atomic and nuclear data evaluation;Nuclear data processing and validation;Nuclear data measurement;
  • 11816

    2020.12.31

    가동원전 1차 계통 핵심설비의 안전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고온, 방사선 극한환경에서 신뢰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센서시스템 기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본 사업에서는 고온, 방사선 등 가혹환경에서 동작 가능한 센서용 압전 산화물 소재 원천기술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문헌분석을 통해 고온용 압전 산화물로 BiT(Bi4Ti3O12) 물질계 및 도핑물질(Nb, Ta)을 결정하고 조성, 구조, 공정 최적화를 통해 최종적으로 Bi4Ti2.99Nb0.005Ta0.005O12 압전 산화물을 선정하였으며, 압전상수 32.1pC/N 및 큐리온도 673도를 달성하였다. 압전 산화물의 고온 물성 및 열화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온도에 따른 전기적 특성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in-situ(상온~300도) 및 ex-situ(상온~700도) 고온 환경 적용성 평가 체계를 구축하였다. in-situ 고온 환경 시험에서는 Bi4Ti2.99Nb0.005Ta0.005O12 샘플의 유전손실(tanδ), 저항(Ω), 전기 전도도(σac), 압전상수(d33*), P-E loop, unipolar strain 전기적 특성 평가를 통해 고온 안정성을 확인하였고, ex-situ 고온 환경 시험에서는 650도에서 Bi4Ti2.99Nb0.005Ta0.005O12 샘플이 초기 압전상수 (d33) 대비 80% 이상 우수한 특성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300도에서 14일 이상 고온 장기 안정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초기 압전상수(d33)의 91% 이상을 유지하였다. 압전 산화물의 방사선 조사 특성 연구를 위해 첨단방사선연구소와 협력 연구를 통하여 60Co 감마선 선원을 이용한 조사 특성 평가체계를 구축하였고, Bi4Ti2.99Nb0.005Ta0.005O12 샘플은 고선량 감마선 조사 후에도 초기 값 대비 압전상수 (d33)는 91%, 큐리온도(Tc)는 98.6% 특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우수한 내방사선 특성을 확인하였다. 적층형 압전소재 신뢰성 평가를 위해, 상용 가속도계 센서의 내부 구조, 사양, 재질을 X-ray, SEM, EDS 등을 통하여 분석하고 기술 개발 방법론을 도출하였고, 적층형 압전소재용 세라믹 제작기술을 확보하였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79p)
    • 연구책임자 : 박진주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센서시스템;고온;방사선;압전 산화물;고온 특성;방사선 조사 특성; 2. sensor-system;high temperature;radiation;piezoelectric oxide;high temperature property;irradiation property;
  • 11815

    2020.12.31

    - 본 연구과제의 주요 취지는 우리나라 원자력 기술의 국제협력 활성화를 통하여 기술을 홍보하고 전문가의 네트워크를 강화함으로서 향후 기술수출, 전문가의 해외 진출 등에 간접 기여 하고자 함에 있음. - 본 연구과제를 통하여 2018년 5건, 2019년 4건, 2020년 1건 등 총 10건의 국제회의개최를 지원하였으며 일부 회의는 직접 참여 하여 회의 추진 내용을 모니터링 함. - 주요성과로는 RCA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국내 핵의학 기술 홍보, IAEA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국내 SMR 기술 홍보, IAEA Quanum 워크숍 유치를 통한 핵의학 진료 기술 홍보 등이 있음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정홍화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협력재단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국제협력;국제회의;국제원자력기구;네트워크;해외진출; 2. International Cooperation;International Conference;IAEA;Network;Overseas Expansion;
  • 11814

    2021.01.31

    앞으로 최대 10년 동안 가동할 예정인 총 3기의 중수로와 그 이후에도 안전한 관리가 필요한 소내 사용후핵연료 조장조를 대상으로 (1) 연료채널 노후화에 따른 안전이슈 대비, (2) 종합적인 사고평가기술 확보, (3) 중수로 사용후연료 안전저장관리 기술이라는 3가지 중점추진 분야를 도출하고 국내외 연구현황을 분석하여 구체적인 연구방향과 추진계획을 도출하였다.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최성열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중수로;안전;연료채널;사고평가;사용후핵연료; 2. CANDU;Safety;Fuel Channel;Safety Assessments;Used Nuclear Fuel;
  • 11813

    2021.02.28

    국내 금속연료 기술 검증을 위해 BOR-60 연료봉 조사시험의 경우 목표 연소도 7 at.% 달성하였으며 노내 성능 검증자료를 확보함. 또한, BOR-60 피복관 조사시험을 통해서는 목표 조사량 75 dpa 달성하여 노내 크리프와 물성 자료를 확보하고 피복관의 노외 크리프 시험자료와 연계하여 노내 크리프 모델을 개발함. 국내제조 피복관 크리프 모델 구축에 필요한 참조 자료 생산을 위해 최대 20,000 시간 피복관 노외 크리프-파단 및 노외 크리프-변형시험을 수행하여 노내 크리프 모델에 필요한 응력-파단 선도 및 시간에 따른 변형률 선도를 도출함. 이와 함께 FCCI를 억제하는 기능성 물질을 결합한 금속(metal)/세라믹(ceramic) 복합층 코팅개념과 비철 내화금속 개념을 도출하고 그 타당성을 예비 평가하였으며 온도구배 약 50 °C/mm를 구현할 수 있는 온도구배 상호반응 시험 장치를 제작하였음. 또한 건전한 U-(15, 20, 25)wt.%Zr 연료심(∅5×L300 mm) 제조를 통하여 전자기 유도가열 성능 및 안전성 검증과 함께 주조법에 의한 고 Zr 함량 금속연료심 제조 타당성을 확인함. 원자로 안전성 및 핵연료 성능 측면에서 TRU 함유 핵연료의 성분 예비 설정 및 연료심 공융온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연료봉 피복관 외경 및 플레넘 길이에 따른 피복관 최소 두께, 연료봉 플레넘 최소 길이를 예비 설정함. 또한, TRU 함유 핵연료의 열적 성능 모델 및 기체방출 모델을 비교·분석하여 최적 모델을 선정 후 LIFE-METAL 연료봉 성능분석 코드에 삽입 및 검증하였으며 노심 설계와 연계하여 TRU 함유 핵연료 성능평가를 수행하여 연료봉 건전성을 확인함. 상기 연구결과는 장수명·고독성 핵종을 효율적으로 핵변환하는 시스템의 TRU 함유 핵연료 개발 시 핵심기술로서 활용할 수 있음. (출처 : 서지정보양식 176p)
    • 연구책임자 : 김준형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사용후핵연료;초우라늄;독성저감;BOR-60 원자로;조사시험;연료봉;피복관;크리프;노외 시험;연료심;핵연료 성능모델;핵연료 성능분석 코드;핵연료 피복관;핵연료심; 2. Spent Nuclear Fuel;Transuranic(TRU);Decreasing Radiotoxicity;BOR-60 Reactor;Irradiation Test;Fuel Rod;Cladding;Creep;Out-of-pile Test;Fuel Slug;Fuel Performance Model;Fuel Performance Analysis Code;Fuel cladding;
  • 11812

    2021.01.31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제1세부과제 > ○ 울릉군 산채류 선도유지 기술 도입을 통한 유통 시스템 개선 및 체계 확립하고자 산채류 예냉 및 MA포장 등 수확 후 관리 기술 투입 실증하여, 저온수송 등 유통 체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 제2세부과제 > ○ 상추 직파를 통한 수량 증대 및 생력화, 노동력 절감. ○ 소형양배추 고온기 안정 생산을 위한 작부체계 개발. < 제3세부과제 > ○ 수박재배에 필요한 노동력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수박 2줄기 부분방임 재배를 현장실증하고자 한다. < 제4세부과제 > ○ 화훼 3차 우량 계통을 농업 현장에서 재배하여 꽃의 특성 및 재배 특성을 평가하고 수요자의 요구를 품종 선발 및 보급에 반영하고자 한다. < 제5세부과제 > ○ 미세조류를 이용한 복숭아 과실품질 향상을 위한 친환경 재배기술 개발 < 제6세부과제 > ○ 최근 수출증가가 뚜렷한 포도 ‘샤인머스켓’ 품질고도화 수출상품과 포도의 소비 다양성 충족을 위한 포도 ‘홍주 씨들리스’ 신품종의 시범수출 실증 ○ 중국 문화권 사과 소비자들의 기호 충족(산함량이 적고 당함량이 많으며 독특한 향이 있는)을 위한 사과 ‘감홍’의 해외 시범수출 실증 < 제7세부과제 > ○ 원예 산업 발전 및 신기술 보급 확대를 위해 2019년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인삼 터널식 해가림 재배 시 문제점으로 나타난 여름철 온도 경감 차광기술에 대한 현장실증을 수행하였다. < 제8세부과제 > ○ 본 연구는 신품종 시장성평가와 마케팅지원을 통해 신품종 시장 조기정착과 재배농가 소득 증대를 목적으로 한다. - (품종개발단계)개발중인 계통 또는 농가실증단계에 있는 신품종을 유통종사자를 대상으로 테스트하여 연구개발자에게 피드백한다. - (시장진입단계)상품성을 인정받아 농가에서 재배하고 있는 품종을 유통 및 재배 애로사항 컨설팅, 출하약정 등을 지원한다. ○ 원예작물 재배농가의 소득안정을 위한 농가 경제성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개발성과 < 제1세부과제 > ○ 산채류 수확 후 선도 유지 기술 실증을 통하여 예냉, MA포장기술 도입을 통한 상품화율이 증가하였으며, 산채류 저온 수송 유통체계를 확립하였다. < 제2세부과제 > ○ 상추 수량 증대 10% 및 육묘대비 생력화 80%, 육묘 노동력 절감 80% ○ 소형양배추 고온기 준고랭지 지역 파종, 정식시기 구명하였다 < 제3세부과제 > ○ 수박 2줄기 부분 방임재배에서 착과지는 착과 절위 아래 모든 곁순을 제거한 뒤 착과 이후 방임하고, 방임지는 초기 1~2개의 곁순을 제거한 후 방임한다. 이러한 재배법으로 곁순 제거 및 유인작업 시간이 평균 60% 단축되었고, 수박의 품질도 관행재배 대조구와 동일했다. < 제4세부과제 > ○ 절화 장미 ‘15R1-17’, ‘18R19-27’, 비모란 선인장 ‘원교 G1-324’, ‘원교 G1-325’, ‘원교 G1-326’, 거베라 ‘11B3-274’, ’15B3-244’, 팔레놉시스 ‘GW112’ 등 8계통, 심비디움 ‘원교 F1-76’, ‘원교 F1-77’을 농가에서 현장 실증하였다. 장미, 비모란선인장, 거베라, 심비디움은 화형, 화색, 초장 등 품질평가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아 품종 출원이 예상된다. < 제5세부과제 > ○ 미세조류(클로렐라) 엽면살포의 복숭아 당함량 및 생리활성물질 증진 효과 실증 < 제6세부과제 > ○ 품질을 고도화시킨 포도 ‘샤인머스켓’ 규격과를 시범수출하여 매우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우리 신품종 포도 ‘홍주씨들리스’도 해외시장 진입이 가능함을 실증하였다. ○ 우리 품종 사과 ‘감홍’ 해외시장 진입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나 원물가격 차이가 걸림돌 이었음을 확인하였다. < 제7세부과제 > ○ 인삼 터널식 해가림 시설에 고온기에 검정색 2중직 차광망 설치시 인삼의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이 양호하였고, 시설 내 온도와 인삼 잎의 온도 경감 효과가 우수하였다. 또한 광량 측정 결과 외부 차광재료가 녹색차광지 및 청백필름 모두에서 낮은 투광량을 유지하여 고온기에 활용할 수 있는 최적의 차광재료로 나타났다. < 제8세부과제 > ○ 유통종사자 대상 신품종 시장성평가는 배, 복숭아, 딸기 등 9품목 15품종에 대하여 실시하여 신품종의 보급확대에 기여하고 농업 R&D 효율성을 제고하였다. ○ 또한, 상품성을 인정받아 농가에 도입된 신품종 배, 마늘, 플럼코트 등 8품목 12품종에 대하여 컨설팅 및 대형마트 판촉행사 등 마케팅 지원을 실시하였다. ○ 신품종 플럼코트(하모니·티파니·심포니), 마늘(홍산) 도입농가의 경제성 진단을 통해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제1세부과제 > ○ 부지갱이를 시작으로 울릉군 특산 산채류 신선유통에 확대 적용하여 산채농가의 소득증대와 더불어 울릉군의 산채가 신선하게 유통 기술정착은 물론 실증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관련 영농활용, 매뉴얼 작성, 교육 등에도 할용하고자 한다 < 제2세부과제 > ○ 상추 직파를 통한 수량 증대, 생력화 및 노동력 절감 ○ 소형양배추 고온기 안정생산 개발로 수출작목으로 자리 매김 및 지역 생산자단체, 농가소득에 기여. 고온기 준고랭지 지역 안정 생산 기술 개발 ○ 소형양배추 작기 개발로 농가의 소득 및 연중 안정생산에 기여 ○ 소형양배추 품종 개발과 활용을 위한 기반 조성 ○ 소형양배추 시장의 국제경쟁력 향상에 따른 국내 재배면적 확대 및 해외시장 개척 가능 < 제3세부과제 > ○ 현장실증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영농활용 및 홍보, 신기술 보급 사업 제안 등으로 농가에 보급하여 수박 재배 노동력 절감을 통한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할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제4세부과제 > ○ 화훼 3차 우량계통의 현장 실증을 통해 재배상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하여 품종을 출원하여, 화훼 품종의 농가 보급 확대에 기여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제5세부과제 > ○ 복숭아 품질향상 친환경 기술로 신기술보급사업 제안하며 미세조류 (클로렐라)의 과실품질 향상 효과를 타과종에서도 검토 < 제6세부과제 > ○ 시범수출을 통해 획득한 정보의 농업현장 전파 및 관련 시범사업 보급지침 방향설정에 활용 ○ 수출 대상국의 현지 맞춤형 수출상품 개발로 국산 과실의 수출경쟁력 향상 < 제7세부과제 > ○ 2021년 현장 보급 예정인 인삼 터널식 해가림 재배기술의 조기정착을 위해 현장실증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신기술 시범사업 기술서에 반영하였으며 원예특작산업 발전에 이바지 할 것으로 예산한다. < 제8세부과제 > ○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물과 그 활용계획은 첫째, 신품종 농산물에 대한 시장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대응과제를 도출하여 R&D 방향설정에 활용하고, 둘째, 신품종 도입농가 생산 효율성 증대 및 판로확보를 등을 통한 농가소득을 증대시키며, 셋째, 신품종 생산량 확보 및 시장조기정착으로 국내산 농산물 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다. (출처 : 요약문 5p)
    • 연구책임자 : 노정호
    • 주관연구기관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채소;과수;화훼;특작;농업경영; 2. vegetable;fruit;flower;herbal;market testing;
  • 11811

    2020.12.31

    ㅇ 한미 공동 파이로 연계 선진핵연료주기 경제성 평가 수행 ㅇ 핵연료주기 분석 및 경제성 평가 모델 개발 ㅇ 핵연료별 파이로 공정 기준물질수지 도출 및 폐기물 특성평가 수행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남효온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파이로;핵연료주기;경제성;공동연구; 2. Pyroprocessing;Nuclear Fuel Cycle;Economics;Joint Study;
  • 11810

    2021.01.31

    3D 프린팅 기술을 원전 부품제작에 아용하기 위해서는 제조한 소재의 건전성 및 원전환경 적용성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원자력 부품소재 가운데 널리 사용되는 스테인리스강 및 코발트 합금을 3D 프린팅 장치로 제작하고, 그 소재의 미세조직 및 기계적 물성을 평가하였다. 원자로 제어봉의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 카드의 주요 소재인 스테인리스강 304L 및 제어봉구동장치 부품소재인 코발트 합금을 대상으로 생산한 물성자료 가운데 중요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 두 가지 3D 금속 프린팅 (PBF, DED) 방식으로 제작한 스테인리스강 304L 특성을 비교·평가하여, DED 방식으로 제작한 소재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인장 및 내마모)과 조사 저항성(내방사선)을 확인하였다. • 3D 프린팅 소재에서 발생하는 균열 및 공극의 최소화를 위하여 프린팅 공정 조건의 최적화를 수행하였으며 결함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후처리 가공기술도 평가하였다. PBF 방식의 프린팅 장치를 이용하여 축소된 노심부품 (가이드카드)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 대상소재(스테인리스강 304L 및 Haynes 25)는 제어봉구동장치와 관련된 소재로 마모 특성이 중요하다. 부품 적합성 평가에 활용할 목적으로 ASTM 기술기준에 따른 Pin-on-disk 마모시험을 수행하여 3D 프린팅 제작 소재의 우수한 내마모 특성을 확인하였다. • 3D 프린팅 소재의 원전 적용을 위해서는 방사선 조사시험으로 소재의 손상거동 평가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호주 ANSTO 기관과 공동으로 헬륨 이온조사 시험을 수행하여 조사특성 평가자료를 생산하였다. 특히 이온조사 시편의 얇은 손상층에서 미소시험편을 정밀 가공하여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89p)
    • 연구책임자 : 권준현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3D 프린팅;후처리;내마모;내방사선;조사시험;제어봉구동장치;가이드카드; 2. 3D printing;post-processing;wear-resistance;radiation-resistance;irradiation test;control-rod drive mechanism;guide c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