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9 Page 74/1,246

검색
  • 11729

    2021.10.31

    □ 기업의 애로사항 ○ 방폭모터의 발열 문제 ○ 방폭모터용 펌프헤드 설계 □ 지원(해결) 내용 ○ 유도전동기 등가회로 정수 도출을 통한 손실추정 ○ CFD를 통한 열전도 해석 ○ 열전달 개선을 위한 방법제시 ○ 모터펌프 3D 설계를 통한 설계기술 확보 □ 지원 성과 ○ 정성적 성과 - 열전도 에폭시 및 구리스를 적용한 방열효과 개선 ○ 추가 성과 - 오픈소스(Openfoam)를 통한 CFD해석 기술 획득 - 모터등가회로 해석을 통한 모터 정수추정 기술 획득 ○ 기술스펙 달성 성과 □ 기술적 우수성 ○ 방폭모터의 방열해석 및 구조개선 - 방열모터의 수학적 모델링을 통한 손실 해석 - 오픈소스(Openfoam)을 활용한 CFD열전달 해석 수행 - 열전달 개선을 통한 방폭모터의 안정성 향상 □ 성과활용 ○ 신규 방폭모터 개발에 방열구조 개선 활용 ○ 제품 방열 안전성에 관한 해석 자료로 활용 (출처 : 지원 사례 요약 4p)
    • 연구책임자 : 신진옥
    • 주관연구기관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발행년도 : 20211100
    • Keyword : 1. 방폭모터;펌프;방열;열전달;시뮬레이션;다이아프램; 2. Explosion proof;Pump;Heat radiation;Heat transfer;Simulation;Diaphragm;
  • 11728

    2021.11.30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화염시험 방법론 및 연소특성에 대한 안전규제기술 개발 ○ 전체 내용 - 케이블의 난연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분석 - 케이블의 연소시험을 통한 연소생성물 분석 - 원전에 적용되는 케이블 화염시험 방법론 평가 및 제시 - 케이블 연소생성물을 고려한 화재·피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별 분석 및 PRISME 실험결과에 대한 화재모델링 검증 ○ 1단계 □ 목표 ◯ 국내 원전 일반케이블 및 광케이블의 난연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분석 ◯ 국내 원전 케이블 연소생성물 영향 분석 ◯ 케이블의 난연성능 확보를 위한 가속열화방식 분석 및 화염시험 방법론 제시 □ 내용 - 케이블의 방사선 및 열적 가속열화 기간에 따른 난연성능 변화시험 - 케이블의 방사선 및 열적 가속열화 기간에 따른 연소생성물 분석시험 - 방사선 및 열적 가속열화 기간에 따른 케이블 난연성능 및 연소 생성물 변화 분석과 방법론 제시 ○ 2단계 □ 목표 ◯ 국내 원전 케이블에 대한 선정지침 개발 방향 제시 ◯ 케이블 연소생성물을 고려한 운전원 현장조치/화재진압절차 평가기술 개발 □ 내용 - 케이블의 가속열화온도 및 가속열화 경년수준에 따른 난연성능 및 연소생성물 변화 분석과 방법론 제시 - 케이블의 가속열화온도 및 가속열화 경년수준에 따른 케이블 난연성능 변화 시험 - 케이블의 가속열화온도 및 가속열화 경년수준에 따른 케이블 연소생성물 변화 분석 및 독성지수 분석 실험 - 케이블 연소생성물을 고려한 화재·피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별 분석 및 PRISME 실험결과에 대한 화재모델링 검증 □ 연구개발성과 ○ 규제·기술지침 개발 - 케이블 재질 별 연소생성물에 따른 운전원 조치 및 화재진압절차에 대한 안전규제기술, 원전 케이블 화염시험 방법론에 대한 안전규제기술, 케이블 연소생성물에 따른 원전 케이블 선정 지침 ○ 학회 논문 ○ PRISME3 실험결과에 대한 모델링 수행 및 표준 입력값 개발을 통한 해설서 개발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국내 원전 케이블 화염시험 방법론에 대한 안전규제기술 개발과 국제적인 케이블 수출기업 및 시험기관 양성 - 국내 원전에 설치되는 케이블에 대한 화염시험 방법론을 정립하여 케이블의 수명기간 동안의 난연성능을 사실적으로 검증할 수 있음. - 수명기간 동안의 난연성능을 검증할 수 있는 케이블 화염시험 방법론을 정립할 수 있음. - 케이블의 난연성능을 사실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화염시험 방법론을 연구하여 케이블 화염시험을 수행하는 국내시험 인증기관의 기술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 ○ 케이블 연소생성물의 특성에 따른 운전원 조치 및 화재진압절차에 대한 안전규제기술 개발 - 케이블 연소 시 생성되는 연소생성물의 종류 및 발생량을 고려하여 원전 케이블 화재발생 시, 운전원 조치에 대한 절차를 개선할 수 있음. - 케이블 연소 시 발생하는 연기의 밀도가 운전원 및 초동소방대의 가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화재진압절차의 개선점을 도출할 수 있음. - 케이블의 연소생성물이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을 분석하여 국내 원전에 설치되는 케이블의 선정지침 개발방향을 제시할 예정임.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상규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케이블 화염시험 케이블 난연성능 케이블 연소생성물 운전원 조치 화재진압절차; 2. cable flame test;fire retardant performance;cable combustion products;operator action;fire pre-plan;
  • 11727

    2021.02.28

    □ 연구개요 상부소화기암 (구강암, 비부비동암, 인두암, 식도암, 갑상선암등)의 암치료를 위한 필수부위 방사선 치료의 적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방사선 조사 기법의 발전에도 상부소화기암 방사선 조사 후 발생하는 영구적 삼킴장애 (17%)는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 발생 역시 해결해야 할 숙제로 남아있음.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조사로 손상된 상부소화기관의 재생을 위한 주사형 유전자 이입 간엽줄기세포 치료제를 개발하였음. 본 연구 개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 유전자 클로닝 hMSC의 제조 - 유전자 전달세포의 생물학적 평가 (유전자 이입 효율 및 줄기세포성 변화) - 방사선 조사 후 fibrosis 유도 마우스 동물모델에의 적용 및 효능 평가 - 유전자 치료 기전 규명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유전자이입 MSC의 제조 - 식도근육 유전자의 plasmid DNA내 유전자 재조합 - Electroporation technique을 이용한 MSC내 식도근육 유전자의 이입 및 이입효율 확인완료 • 유전자 전달세포의 생물학적 평가 - MSC에 각각의 유전자 이입 후 Pluripotent gene의 발현양상을 확인완료. - Myogenesis관련 유전자의 gene expression을 real time PCR를 통해 분석완료 - MSC에 각각의 유전자 이입 후에 western blot를 통해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확인완료 • 동물모델에의 적용 및 효능 평가 - 식도 점막층의 조직학적 변화 관찰 및 정량분석 완료 - 식도 점막하층의 콜라겐층의 분포에 대한 조직학적 분석 완료 - 식도 근육층의 morphological 변화 분포의 정량적 분석 완료 - 점막근층 (muscularis mucosa)의 재생유무 확인 완료 • 유전자 치료 기전 규명 - 재생조직내 방사선 조사관련한 fibrosis 관련 마커의 발현양상 확인 (재실험중) - Paracrine effect 및 재생조직내 분자생물학적 평가 (현재 추가적인 분석 진행중)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유전자 클로닝 줄기세포 치료 시스템을 이용한 상부소화기관 방사선 손상 재생치료의 가능성을 밝혀, 현재 난치 영역인 영구적 삼킴장애의 치료 가능성을 확인함. • Non-viral vector를 이용한 유전자 이입된 줄기세포 제제는 기존의 viral vector에 비해 임상적인 안전성이 크며, 여러 기타장기의 활용적 측면에서 효과적인 유전자 전달법을 제시함. • 본 연구를 통한 상부소화기관 방사선 손상 재생 치료용 주사제 개발로 전세계적 광범위한 수요를 통한 경제적, 학문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 상부소화기관 방사선 치료 환자군에서 유전자 이입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을 통한 사업화 전략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정은재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두경부암;방사선 치료;간엽줄기세포;방사선 섬유화;유전자 치료; 2. Head and neck cancer;Radiation therapy;Mesenchymal stem cell;Radiation-induced fibrosis;Gene therapy;
  • 11726

    2021.11.30

    □ 연구내용 ○ (실용화기술 개발) 지역산업 연계 원전해체 핵심기반 기술 실용화 - 핵심기반기술 중 지역산업과 연계된 제염, 절단, 폐기물 처리의 실용화 기술 개발 -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지역내 산업체 참여를 통한 기술이전 및 실용화 기술 개발 - 향후 해체시장해체산업 기술 고도화 지원의 허브 역할 ○ (기업 기술지원) 원전해체 중소기업 기술고도화 지원 및 육성 - 원전해체 기술분야별 기업수요 맞춤형 기술지원 및 육성 - 원전해체 핵심기술 및 실용화 기술 검증을 위한 실증 시설, 장비 등을 활용한 시험·분석 지원 □ 연구개발 성과 ○ 정성적 성과 - 전문인력이 부족한 중소업체의 원전해체 관련 기술력 확보 및 R&D역량 강화 - 기술 경쟁력 향상으로 인한 부품 국산화와 국외 수출을 통한 동남지역 부품소재 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 ○ 정량적 성과 □ 기술적 우수성 ○ 환경오염물질 저감 및 제거 기술 - 에너지 생산 및 제조 공정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및 폐수 중에 포함된 환경오염물질을 제거, 저감 및 폐기하는 기술 ○ 극한로봇 솔루션기술 - 사람이 작업하기 어려운 제조환경이나 조작하기 어려운 물체를 핸들링하기 위한 기술 ○ 안전보호 제품화 및 소비재 안전보장기술 - 미래산업현장의 위험요소로부터 인력을 보호하는 제품을 제조하고, 유통 및 사용환경에서 소비재와 소비자를 보호하는 기술 □ 성과활용 계획 ○ 산업적 성과 - 전문가 신속연계 지원을 통한 현장애로기술 해결 - 공동장비의 활용으로 수익성 제고 및 실용화 기술과제의 발굴, 민간수탁과제 활성화 - 고부가가치 창출형 글로벌 기업으로의 체질 개선 ○ 기술적 성과 - 전문인력이 부족한 중소업체의 원전해체 관련 기술력 확보 및 R&D역량 강화 - 기술 경쟁력 향상으로 인한 부품 국산화와 국외 수출을 통한 동남지역 부품소재 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 - 원전해체 기술 고도화를 통하여 신성장동력산업 육성 기여 (출처 : 요약서 4p)
    • 연구책임자 : 남대근
    • 주관연구기관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원전해체;원전산업;제염;절단;폐기물 처리; 2. Nuclear Decommissioning;Nuclear Industry;Decontamination;Cutting;Waste Treatment;
  • 11725

    2021.02.28

    - 대기, 해양, 육상, 빙권의 기후변화감시요소 관측 자료의 융합정보 시스템 구축 기술 고도화 - 지상, 위성, 해상, 항공 관측 자료 융합에 따른 양질의 기후변화감시자료 활용 기술 확보 - 기후변화감시요소와 기후시스템의 변화경향 및 변동성에 대한 상호 기여도의 정량적 평가기술 확보 - 다양한 국내외 기관에서 수집하고 재생산한 자료를 일괄적으로 수집 및 가공함으로써 국내연구기관 및 현업기관에서의 활용 - 기후변화감시요소와 대규모 기후시스템과의 상호연관성 분석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김상우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기후변화 감시요소;관측 자료;기후시스템;장기변동;상호 연계성; 2. climate change monitoring element;observation dataset;climate system;long-term trend;interrelationship;
  • 11724

    2021.02.28

    □ 연구개요 생리적 노화의 주요 분자생물학적 원인인 lamin에 의한 핵구조 결손과 생체내 줄기세포 고갈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조절할 수 있는 화합물을 선별하여 노인성 심혈관질환에 대한 치료제로 발굴하고자 함 - lamin에 의한 핵구조 결손에 의한 노인성 심혈관질환의 상관성 규명 - 생체내 줄기세포 고갈과 노인성 심혈관질환 상관성 규명 - lamin에 의한 핵구조 결손에 의한 생체내 줄기세포 고갈 작용기전 규명 - lamin에 의한 줄기세포 고갈 억제 기전을 기반으로 한 노인성 심혈관질환 치료제 발굴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노인성 심혈관질환 연구모델 정립 및 lamin에 의한 핵구조 결손과 생체내 줄기세포 고갈의 노인성 심혈관질환과의 상관성 규명 • 핵구조 결손과 줄기세포 고갈에 의해 발생되는 노인성 심혈관질환 모델 구축 • 확립된 질환 모델에서의 심혈관질환의 병리학적 분석 • lamin에 의한 핵구조 결손이 심혈관조직 구성 세포의 생리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확인 • 노인성 심혈관질환 모델에서의 줄기세포의 생리적 활성 변화 여부 확인 2) 핵구조 결손에 의한 생체내 줄기세포 생리적 활성 감소와 노인성 심혈관질환과의 상관성 규명 • 핵구조 결손에 의한 혈관평활근세포, 혈관내피줄기세포, 중간엽줄기세포의 증식능 변화 분석 • 핵구조 결손에 의한 혈관평활근세포, 혈관내피줄기세포, 중간엽줄기세포의 증식능 표지인자 및 전사인자의 변화 분석 • 핵구조 결손에 의한 혈관평활근세포, 혈관내피줄기세포, 중간엽줄기세포의 세포이동능 비교분석 • 핵구조 결손에 의한 혈관내피줄기세포의 membrane stiffness 변화 분석 • 핵구조 결손에 의한 혈관평활근세포, 혈관내피줄기세포, 중간엽줄기세포의 분화능 비교 분석 3) 핵구조 결손에 의한 생체내 줄기세포 생리 활성 감소 제어를 기반으로 하는 노인성 심혈관질환 치료제 발굴 및 효과 검증 • 핵구조 결손 저해제를 활용한 동물모델의 치료효과 검증 • 노인성 심혈관질환 환자로부터 획득한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활용한 핵구조 결손 저해제의 치료효과 검증 • 핵구조 결손 저해제의 치료 작용 기전 연구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노인성 심혈관질환 치료제 개발에 대한 원천기술 개발로 세계적 경쟁력 확보 및 그에 따른 기술 경쟁력 확립 • 세계 최초로 노인성 심혈관 질환에 대한 치료제가 개발된다면 빠른 채택률을 보일 것이며, 개발된 노인성 심혈관 질환 치료제의 활용은 또 다른 경제적 측면에서 막대한 파급효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장우철
    • 주관연구기관 : 부산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라민;핵구조 결손;줄기세포 고갈;노인성;심혈관질환; 2. lamin;defect in nuclear architecture;stem cell exhaustion;aging;cardiovascular diseases;
  • 11723

    2021.04.30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유욱재
    • 주관연구기관 : 오르비텍
    • 발행년도 : 20210500
    • Keyword : 1. 근적외선 형광영상;전리방사선 섬광영상;일체형 영상 계측시스템;인도시아닌 녹색 염료;림프관 조영술; 2. near-infrared fluorescence imaging;ionizing radiation-induced scintillation imaging;all-in-one image sensing system;indocyanine green dye;lymphography;
  • 11722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지방세포 또는 기질혈관분획의 주입을 통하여 방사선에 의해 만성적으로 손상된 피부의 회복을 확인하고 지방조직에 포함되어 있는 줄기세포의 분화와 관련된 기전을 규명한다. ■ 전체 내용 □ 방사선에 의한 만성피부손상이 지방이식에 의한 회복과 그 기전을 확인 □ 방사선에 의한 만성피부손상이 기질혈관분획에 의한 회복과 그 기전을 확인 ▣ 연구개발성과 방사선유도 만성피부손상은 지방이식 또는 기질혈관분획의 주입으로 회복될 수 있다.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임상적으로 방사선을 조사한 부위에 지방이식과 기질혈관분획을 주입하는 것은 법적인 제약 없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연구의 가설을 입증한다면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연구를 계획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 할 수 있음 □ 방사선 피부손상의 합병증을 치료할 수 있으며, 예방적인 접근도 기대할 수 □ 방사선 부작용의 경감은 방사선 조사선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때문에 부수적으로 종양에 대한 치료계수를 향상시킴 □ 줄기세포의 분화능을 임상적으로 이용하는 사례가 될 경우 재생의학적인 impact가 클 것으로 예상됨 □ 개발된 기술들을 바탕으로 지적 재산권화 가능 □ 최근 관심이 높은 세포치료제 개발 시 참고가 될 수 있음 □ 방사선에 따른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예방 및 치료는 장기적으로 국가의료비지출의 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동원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방사선;지방;기질혈관분획;만성피부손상; 2. Radiation;Fat;Stromal Vascular Fraction;Chronic Dermatitis;
  • 11721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본 연구 개발은 음향 방출 신호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계통 내부의 비등 열전달 현상 및 비등 영역을 진단하고, 이를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 개발 목표를 설정하였다. ○ 음향 방출 신호 측정을 통하여 유동의 비등 열전달 영역, 유동 영역 및 임계 열유속 지점을 진단할 수 있는 기초 연구 수행 ○ Machine-learning을 기반으로 하여 측정된 음향 방출 신호를 바탕으로 실시간 진단 및 대응이 가능한 기본 알고리즘 개발 □ 연구개발 내용 본 연구 과제를 통하여 연구 개발하고자 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비등 열전달 영역별로 측정되는 음향 방출 신호를 데이터베이스화 • 비등 열전달 과정에서 변화하는 유동 영역별 음향 방출 신호를 데이터베이스화 • 비등 열전달의 한계점인 임계열유속 지점에서 발생하는 특징적인 음향 방출 신호를 데이터베이스화 • 개발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Machine-learning 기술을 이용하여 음향 방출 신호와 열전달 영역, 유동 영역, 임계 열유속 지점 간의 연관성을 파악 • 개발된 Machine-learning 기술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열전달 영역, 유동 영역, 임계 열유속 지점을 진단할 수 있는 체계를 수립 • 수립된 Machine-learning 기반 실시간 진단 체계를 실험적으로 검증 □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포함) ○ 열전달 및 유동 영역, 임계열유속과 음향 방출 신호 간의 연관성 파악 및 데이터 베이스화 ○ 직접 계측이 힘든 계통의 비등 열전달 현상을 진단하고 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필요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 ○ 진단 기술을 기반으로 한 Machine-learning 기술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계통의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한 대응을 수행할 수 있는 자동 대응 체계를 수립하는데 기초 연구로 활용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방인철
    • 주관연구기관 : 울산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음향방출 신호 측정;비등 열전달;비등영역 구분;기계 학습;수조 비등;유동 비등;인공 지능;원자력 안전; 2. Acoustic emission signal measurement;Boiling heat transfer;Boiling regime identification;Machine-learning;Pool boiling;Flow boiling;Artificial intelligence;Nuclear Safety;
  • 11720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태양계 행성 주변의 고에너지 전자 분포 영역, 흔히 방사선대라 부르는 곳은 우주탐사선에 매우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 지구와 목성 방사선대의 경우 다양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확도 높은 예측모델이 정립되어 있지만, 토성 방사선대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덜 주목을 받아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임무를 마친 토성 탐사선 Cassini의 방대한 관측 결과로부터 토성 방사선대 생성 및 소멸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정립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차기 우주탐사선의 보호에 활용될 토성 주변 방사선대 입자 환경변화 예측모델을 개발하고자 1) 우주탐사선 관측자료 처리 및 분석 2) 세계 최초로 인공신경망 기술을 이용한 방사선대 예측 알고리즘 개발 3) 새로운 토성 방사선대 3차원 물리 모델 개발을 수행하고자 하며 이 연구결과는 향후 개발될 우주탐사선의 안정적인 임무 완수를 위한 설계에 활용될 것이다. □ 연구개발 내용 토성 방사선대 변화 예측모델 개발을 위해 1) 우주탐사선 Cassini의 플라즈마 파동 및 입자 관측자료 처리?분석 기술을 습득하여 입자 관측자료 검?교정 및 플라즈마 파동 검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2)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인공신경망 기술을 이용하여 토성 주변 방사선대 내 파동 및 입자 환경변화 예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3) 아울러, 개발된 예측모델의 검증을 위해 물리적 이론에 바탕을 둔 토성의 3차원 물리 모델 또한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기 다른 플라즈마 파동이 토성 방사선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토성 방사선대 고에너지 전자 생성 및 소멸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포함) 토성 방사선대 입자 환경 모델 개발에 있어서 세계 최초로 인공신경망 기술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방사선대 생성과 소멸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플라즈마 파동-입자 상호작용을 직접 모델에 도입한 새로운 예측모델을 완성하였다. 이는 유사한 환경을 가진 지구 및 목성 방사선대 연구에서도 현재까지 시도해보지 못한 기술로 본 연구에서 소개하는 모델 개발 방식은 향후 관련 분야의 새로운 표준화 기술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토성 방사선대와 유사한 환경을 지닌 목성 방사선대 모델 개발에 이바지할 것이며, 이는 유럽우주국에서 2022년에 발사 계획 중인 목성의 거대 위성 탐사선의 기본 개발 툴로서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김경찬
    • 주관연구기관 : 충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토성 방사선대;플라즈마 파동;고에너지 대전 입자;플라즈마 파동-입자 상호작용;카시니 탐사선;인공신경망;물리 모델;예측모델; 2. Saturn radiation belts;Plasma wave;High-energy charged particle;Plasma wave-particle interaction;Cassini;Artificial neural network;Physical model;Prediction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