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9 Page 82/1,246

검색
  • 11649

    2020.12.31

    식량안보, 기후변화, 글로벌화 등 종자산업을 둘러싼 국내외 환경변화는 국내 종자산업을 국가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육성􌝆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하고 있다. 기존의 방사선육종 연구를 좀 더 발전시키기 위해 새로운 육종 플랫폼의 구축 및 적용, 변이유기 효율 증대를 위한 육종기술 개발, 자원 대상으로 한 기초연구 역량 강화를 해당 과제의 주요한 성과목표로 설정하였다. 성과목표 1. 『ICT기반 고효율 육종플랫폼 구축 및 적용연구』 분야에서는 국내 종자기업의 고부가가치 종자개발과 글로벌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ICT기술과 방사선육종 기술 접목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코자 했다. 이를 위해 KIST(강릉분원) 기술력 기반 생육정보 자동 선발 분석시스템을 적용한 생장실용과 온실 컨베이어용 육종플랫폼을 구축하고 그 실증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성과목표 2. 『돌연변이 유기효율 극대화 유종기술 개발』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단순한 방사선조사를 통한 선발과정에서 벗어나 단순 방사선조사 후 특이개체 선발의 다소 수동적인 방사선육종 기술을 여러조합의 병행처리(Sucrose, 광조건 변화, DNA methyltrasferase, 화기 방사선조사 등)를 통하여 능동적으로 변이효율을 높이는 방사선육종기술을 확립코자 하였으며 실제적으로 방사선 단일 조사 대비 변이효율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과목표 3. 『방사선육종 유전자원 대상 변이메카니즘 기초연구』 자원대상 유전체 연구에 국한되었던 기초연구 분야를 대사체 영역까지 확대시키고 이들 연구 중에 발생되는 모든 데이터를 포괄하여 변이메카니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해석을 가능케 하는 􍾢omics 분석 파이프라인의 구축을 통해 향후 개발 자원에 대한 해석방향 제시하고자 했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111p)
    • 연구책임자 : 김진백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ICT기묙 육종플랫폼;표현체학;돌연변이 유기;변이효율 증대;기초연구;유전체;대사체; 2. ICT-based breeding platform;Phenomics;Mutation induction;Increase mutation efficiency;Basic research;Genomics;Metabolomics;
  • 11648

    2021.02.28

    □ 연구개요 ○ 본 연구에서는 대장암 마우스 종양 모델에서 방사선 조사 후 면역학적 종양 미세환경의 시간 순차적 변화를 관찰하고, PD-1/PD-L1 억제제의 차등적 방사선 민감 작용 발생에 관한 전임상적 근거를 구축하고자 함. [1차] 방사선 조사 후 관련 면역 세포들의 총체적 & 역동적 변화 양상과 기전에 대한 평가 [2차] 시간 흐름에 따른 면역 세포들의 기전 변화로 인한 PD-1/PD-L1 억제제의 방사선 민감 효과 차등 관련성 확인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차년도 목표 연구내용] ○ CT26 종양 조직에 방사선 조사 (2 x 5 Gy, 7.5 x 1 Gy)를 적용하여 치료 전후 5가지 시점(방사선 조사 시작일 Day 1을 기준으로 Day 0-2-7-14-21) 을 정의하여 mouse colon cancer model을 수립함. ○ 7.5 x 1 Gy, 2 x 5 Gy 간에 면역학적 종양 미세환경의 변화가 유도되는 시기에 차이가 있었음. 아래 항목에서 7.5 x 1 Gy에서는 이른 시기에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한 반면, 2 x 5 Gy는 치료 후 종양이 줄어들면서 비교적 중반 이후의 시기에서 더욱 뚜렷한 변화가 발생했음: ▪ PD-L1 on CD45(-) ▪ CD8+ T population ▪ PD-1 on CD8+ T ▪ M1 macrophage population ○ 방사선치료 후 CD45(-) cell에서의 PD-L1 발현은 방사선 조사 초기에 증가했다가 Day 14 전후로 다시 감소, CD8+ T cell에서의 PD-1 발현과 M1 macrophage/MDSC 등에서의 PD-L1 발현 증가는 Day 14-21까지 지속되는 것을 확인함. ➜ 임상에서도 전통 분할 또는 고분할 방식에서는 방사선치료 반응이 지연성으로 관찰되는데, 방사선치료 후 면역학적 미세환경의 변화가 발생하는 시기 또한 종양이 감소하는 치료 반응의 출현 시기와 유사한 것으로 판단됨. [2차년도 목표 연구내용] ○ 방사선 조사와 α-PD-L1 억제제의 병합을 설계하되, 초기 “early phase”에 국한된 병합 방식과 치료 효과가 끝나고 종양의 재성장이 시작되는 “late phase”까지 포함하여 병합했을 경우에 최종 치료 효과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살펴보았음. 병합 치료를 진행하는 세 가지의 실험군 모두 방사선치료를 진행하는 기간 동안 동시에 α-PD-L1 억제제를 동시에 투여 했음. 하지만 각 실험군마다 병합 치료 기간을 1주/ 2주/ 3주로 나누었고, late phase까지 약제를 동시 투여했는지 여부에 있어서 각 군별로 차이를 두도록 했음. ➜ 각각의 치료 적용 후 종양 용적을 추적 관찰한 결과, α-PD-L1 억제제 병합 기간 1주/2주/3주에 따라 종양 성장 지연 효과에 뚜렷한 차이가 관찰되었음. 2 x 5 Gy 방사선치료 단독 치료에 비해 1주/2주/3주간의 α-PD-L1 억제제 적용 그룹에서 각각 2주/3주/4주간의 종양 재성장 지연 효과가 관찰되었음. 또한 α-PD-L1 억제제를 1주간 적용한 실험군에 대해 나머지 2-3주 적용 그룹들을 비교했을 때에도 각각 종양 재성장 지연 효과에 있어서 약 10일/15일 가량의 차이가 나타났음.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α-PD-L1 억제제를 방사선치료 기간에 “함께” 투여하는 것과 동시에 방사선 치료가 종료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투여한다면 치료 반응에 있어서 더 높은 상승 작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이러한 전임상 데이터를 근거로 임상 분야 프로토콜 정립을 위한 전향적 임상 연구 설계가 가능할 것임. ○ 전임상 데이터 기반 전향적 임상 연구를 통해 면역 검문소 조절 약제로 대표되는 최신 면역 암 치료 기술이 새로운 방사선 민감 작용으로서의 작용할 수 있을지에 관한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종양면역학 분야를 개척함으로써 임상에서의 구체적 적응증과 활용 방식을 수립할 수 있음. ○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방사선 치료와 같은 세포독성 치료 적용에 따른 immunophenotype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머신러닝 분석 기법을 기반으로 종양 조직의 immune contexture를 비침습적으로 규명하는 radiomics 기반 모델 개발의 가능성에 주목하고 신규과제를 진행할 계획임.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임유진
    • 주관연구기관 : 경희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방사선 치료;면역학적 종양미세환경;대장암;종양특이면역반응;PD-1/PD-L1 억제제; 2. Radiotherapy;Immunological tumor microenvironment;Colon cancer;Tumor-specific immunity;Anti-PD-1/PD-L1 inhibitor;
  • 11647

    2021.11.30

    1. Research Purpose During the normal operation of the nuclear power plant, several different corrosion products such as Co, Ni, Fe ions can be produced owing to the normal degradation of the structural materials. The build-up of these corrosion species beyond a certain limit can not only deteriorate the coolant performance also can reduc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fuel cladding. These corrosion products after irradiation and becoming radioactive can cause high radiation levels which may contribute to the radiation doses of the radiation workers during the routine maintenance work. In order to overcome the issue of these corrosion products, an ion exchanger system is used to continuously remove unwanted ionic or non-ionic species from the coolant by utilizing the ion exchange resins. The synthetic ion exchange (IEX) resins are made of polystyrene cross-linked with divinyl benzene. Some of the major applications of IEX resins in the nuclear industry include primary water coolant purification, fuel storage pond water treatment, drainage water treatments. However, the use of ion exchange resin also has a number of immobilization issues as follows. (source : 1. Research Purpose 3p)
    • 연구책임자 : 류호진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 11646

    2021.02.28

    □ 연구개요 The second-year work is devoted to a) acceleration of the fixed-point iteration algorithm; b) validation, verification and sensitivity analysis of the MPCORE multi-physics code; c) calculation of the control rod ejection accident (REA) for full-core benchmark; d) coupling of the CTF thermal-hydraulics code; and e) analysis of the global truncation error.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Overall, by the end of the second year the research project completeness is about 75%. 1. Development of the FRAPI module (100%) 2. Sensitivity analysis of the FRAPI models (100%) 3. Development of the time marching scheme (100%) 4. Development of the core multi-physics module (100%) 5. Development of the JFNK1 solver (100%) 6. Analysis of the JFNK1 efficiency (50%) 7. Conjunction of multi-physics and time marching modules (100%) 8. Development of the PCA-based fixed-point search algorithm (50%) 9. Analysis of the accuracy of the integrated multi-physics model (80%) 10. Development of the global truncation error estimation algorithm (40%) 11. Improvement of the multi-physics code efficiency (10%) 12. Verification of the developed multi-physics code (80%)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Overall, the second-year research is focused on the analysis of computational performance and acceleration of the multi-physics coupling algorithm, as well as on the verification of the multi-physics results. There are several major changes of the initial second-year research plan: 1) Jacobi-Free Newton Krylov (JFNK) method experiences divergence due to large numerical errors from the derivative calculation, hence the method has been replaced on the more robust Anderson’s acceleration approach; 2) the multi-physics pin-by-pin transient simulation shows about two-three iteration per step are required to solve the non-linear equation withing each time step; therefore,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cceleration method for transient acceleration has been decided to be excessive and has not been implemented; 3) calculation of LOCA accident have been postponed to the next year due to extensive analysis of the REA case and verification of the multi-physics code; 4) the global truncation error analysis was implemented for a point neutron kinetics equation only; the implementation of the global error analysis algorithm for the multi-physics code obstacles the lack of adjoint equation solver for linearized multi-physics system; 5) a multiple-step selection method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accelerate the time integration routine. (source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Cherezov Alexey
    • 주관연구기관 : 울산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과도 상태 해석;압축코드 개발;다물리;다물리 해석; 2. REA;PCA;multiphysics;
  • 11645

    2021.02.28

    연구개요 열의 전달자인 포논의 관점에서, 포논 파장보다 작은 스케일의 전자소자 활성층에서는, 포논의 입자성에 기반한 푸리에 법칙을 따르지 않고 파동성을 따르는 새로운 양자 물성이 구현됨. 이에 따라, 포논을 파동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이론 정립 및 해석 기법 개발이 필요함. 구체적으로, 포논의 위상을 수학적으로 기술하고, 포논 신호의 위상 해석을 통해 포논의 산란 시간과 포논 위상 사이의 관계를 정립함. 더 나아가, 위상이 결맞는 포논을 활용한 포논 메타소재인 포논 Distributed Bragg Reflector(DBR)을 구현하고, 이를 활용하여 포논 전파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물질의 열 전달 특성 조절이 가능함을 실험적으로 증명함. 또한, 열 제거의 새로운 기법이 될 수 있는 전자-포논 상호작용에 의한 전자기파 발진을 실험적으로 확인하고 이론적 모델을 정립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나노스케일 포논-광자 상호작용의 규명을 위해, 포논의 위상 해석 및 포논-광자 상호작용에 의한 전자기파 발진의 이론적 모델을 정립하고 실험적으로 규명함. 구체적으로, 포논 위상의 수학적 기술 및 정량화를 기반으로 포논 신호 위상 해석을 통해 포논의 산란 시간과 포논 위상의 관계를 정립함. 특히, 포논 위상의 변화에서 정량화되는 디페이징 시간(dephasing time)으로부터 고체의 포논 산란 시간을 주파수의 함수로 측정하고, 나노 구조에서의 소재의 열 전도도의 실험적 규명의 방법론을 제시함. 더 나아가, 포논-전자의 상호작용에 의한 전자기파 발진의 이론적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실험적으로 규명함. 이러한 결과는, 향후 반도체 물질에서 새로운 열 제거기법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상기의 이론 정립을 토대로, 포논 위상의 결맞음을 활용한 포논 위상 메타소재를 구현하여 열 전달 특성을 인위적으로 조절 가능함을 확인함. 구체적으로, 주기적인 구조에서 포논 파동의 중첩을 활용한 포논 DRB을 성장하여 특정 주파수의 포논이 반사될 수 있는, 포논 메타물질을 구현하였으며, 이러한 물질에서 열전도도 측정 기법을 활용하여 포논 DRB에 의한 열 전달 특성(계면 및 수직 방향 열 전도도)의 조절이 가능함을 실험적으로 입증함.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나노스케일에서 포논의 파동적 특성을 활용하여 새로운 열 전달 해석 방법을 제시하고, 고체의 열 전달 특성을 결정하는 포논(원자의 진동에 대한 물리학 개념)을 조절하는 분야를 개척함. 구체적으로, 포논 메타소재를 활용하여 인위적으로 열 전달을 조절하였으며, 이러한 연구는 추후 반도체에서 주된 열 전달자인 2~5 THz 포논의 전파 특성 조절에도 활용 가능함. 한편, 열 제거의 새로운 기법이 될 수 있는 전자-포논 상호작용에 의한 전자기파 발진을 규명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조영달
    • 주관연구기관 : 광주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포논 파동성;포논 위상;포논 메타소재;열 전도도;전자기파 발진; 2. Phonon wave property;Phonon phase;Phonon meta-material;Thermal conductivity;Terahertz radiation;
  • 11644

    2020.12.31

    - 본 연구과제의 주요 취지는 우리나라 원자력 기술의 국제협력 활성화를 통하여 기술을 홍보하고 전문가의 네트워크를 강화함으로서 향후 기술수출, 전문가의 해외 진출 등에 간접 기여 하고자 함에 있음. - 본 연구과제를 통하여 2018년 5건, 2019년 4건, 2020년 1건 등 총 10건의 국제회의개최를 지원하였으며 일부 회의는 직접 참여 하여 회의 추진 내용을 모니터링 함. - 주요성과로는 RCA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국내 핵의학 기술 홍보, IAEA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국내 SMR 기술 홍보, IAEA Quanum 워크숍 유치를 통한 핵의학 진료 기술 홍보 등이 있음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정홍화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협력재단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국제협력;국제회의;국제원자력기구;네트워크;해외진출; 2. International Cooperation;International Conference;IAEA;Network;Overseas Expansion;
  • 11643

    2021.02.28

    본 SFR 연구개발 사업관리 (단위)과제는 사업운영과 기술관리로 나뉜다. 사업운영 업무는 크게 사업운영(사업예산 평가·확보, 사업과제 협약·정산, 사업과제 발굴, 운영위원회 운영·관리, ANL 공동설계, 연구원과 공조), 정책개발 (국가 에너지 믹스, 사용후핵연료 법제화, 미래원자력 장기전략, SFR도입 시나리오 및 편익분석, 파이로 및 TRU 연계), 중장기 계획 수립 (장기 미래원자력 로드맵, 원자력 진흥종합계획), 대외홍보 (홍보자료 제작·배포, 기술전시회 참가, 홈페이지 관리) 등의 주요 업무로 구성되어 있다. 기술관리 업무는 크게 인허가 지원 (인허가 추진전략 수립, 인허가 문서관리, 규제기관과 협력 등), 기술관리(품질보증, 사업공정관리, NSSS-BOP 연계관리, 설계문서 관리 등), 기술기획 (사업과제 실적ㆍ계획 평가, 사업과제 기획 등), 국내ㆍ외 협력 (ANL 공동설계, 국제협력, 국외 전문가자문회의 운영, 국내 전문가 자문회의 운영 등)의 4가지 주요 업무로 구성된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70p)
    • 연구책임자 : 이동욱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소듐냉각고속로;원형로;사업운영;정책개발;사용후핵연료 법제화;중장기계획 수립;미래원자력 로드맵;파이로 연계;대외홍보;설계인가;안전성분석보고서;금속핵연료;사용후핵연료;재순환 핵연료;특정기술주제 보고서;인허가;SFR 기술 인증;고속로 연구개발 DB; 2. SFR;prototype reactor;policy development;project planning;pyroprocessing and TRU;public relations;specific design;sodium cooled fast reactor;design criteria;progress control;quality control;quality assurance;database;Topical Report;Licensing Support;SFR Technology Qualification;Fast Reactor R&D Database;
  • 11642

    2021.02.28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미래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사선 분야 국내외 정책, 연구, 기술, 산업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래 발전 방향 모색 - 방사선 기술별 미래 유망 방사선 기술 및 산업 발굴 및 정책 제언 (1) 방사선 분야 국내외 정책 및 R&D 환경 연구 ■ 국내외 방사선 및 방사선 이용 기술 분야 정책 조사 및 분석 ■ 국내외 방사선 관련 R&D 및 사업화 지원 현황 조사 및 분석 ■ IAEA 연구 지원 현황 및 분야 분석 ■ 해외 중요 연구기관 연구 분야 분석 (2) 방사선 분야 국내외 산업 및 기술 개발 환경 연구 ■ 방사선 대표 기술 분야에 대한 조사 및 세부 기술 분석 ■ 방사선 기술이 적용되고 있는 산업 조사 및 분석 ■ 4차산업 혁명에 따른 방사선 기술 산업 분야의 메가트렌드 분석 (3) 국내외 환경 변화에 따른 미래 방사선 기술/산업 발굴 및 정책 제언 ■ 메가트렌드 기반 미래 방사선 기술 분야 탐색 ■ 연구 분석 결과와 방사선 기술의 특수성을 반영한 미래 발전 방향 모색 ■ 요약 및 정책제언 ▣ 연구개발성과 ▢ 해외 34개 방사선 분야 연구 기관의 연구 역량 및 연구 분야 분석을 통하여 국내 R&D 지원 방향 설정을 위한 자료 활용 가능 ▢ 국내 1세대부터 3세대까지 방사선 분야 연구 지원 현황과 키워드 분석을 통하여 2021년 이후 4세대 방사선기술의 방향 설정 ▢ 국내외 R&D 및 정책동향을 기반으로 포스트코로나 시대 방사선 기술이 적용되어야 할 4개 메가트랜드 및 30개 미래 기술 발굴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국내외 동향과 정책 현황을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사선 정책 수립에 활용 ▢ 방사선 기술 기반 국가 경제 발전 및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마련에 활용 ▢ 수입 의존 기술의 자립화를 통한 국가 경제 손실 최소화, 방사선 기술의 세계시장 진입 발판 마련을 위한 정책 수립 등 (출처 : 요약문 5p)
    • 연구책임자 : 이남호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정책연구;4차산업;방사선 기술;방사선 산업;포스트코로나; 2. Research Policy;Fourth Generation Evolution;Radiation Technology;Radiation Industry;Post-Corona;
  • 11641

    2021.02.28

    ▣ 연구개요 • 기존 연구는 TEAD 전사인자를 Hippo pathway의 ‘YAP/TAZ coactivator의 transcription factor’로써 연구가 진행됨. 즉, YAP/TAZ-dependent 암유발 타겟 유전자를 발현시킴으로써 암줄기세포, 암전이, 약물내성, 암면역 조절 관련 기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 특히, 제약/임상 적용성을 위한 YAP/TAZ-TEAD 억제제 신약개발이 세계적 제약회사에서 경쟁적으로 진행되고 있음. • 국제적 연구방향과 차별적이고 독창적인 가설을 바탕으로, 본 신진과제에서는 최초로 TEAD complex2 인 ‘TEAD-DDR (DNA Damage Repair) complex2’의 심화된 분자기전 및 기능을 규명하고, 신규 TEAD 억제제의 1) Complex2 억제제의 항암 적응증 및 2) 유전자 가위 촉진제 (CRISPR Enhancer) 역할을 최초로 제시함으로써 전세계적으로 DNA damage, Gene editing 및 신약개발 분야에 대단한 파급력을 기대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1단계 목표: TEAD 전사인자의 DDR 핵심인자로써의 역할 최초 규명 □ [연구결과 ⓵] 기존 TEAD의 암유발 기능과의 차별성, 독창성 및 파급효과 • Chromatin-bound TEAD는 전사인자로서 암유발 관련 타겟유전자를 발현시킴. 하지만, 새롭게 규명한 Nucleoplasm-fraction TEAD는 DDR (DNA damage repair) machinary와 결합하여 유전자손상 복구 역할을 담당함. 기존의 TEAD-YAP/TAZ 결합을 ‘TEAD Complex1’으로 명명함. 최초로 발굴한 TEAD-DDR 결합을 ‘TEAD Complex2’로 명명함. • TEAD complex2 관련 signaling, protein-protein interaction, post translational modification의 분자기전을 새롭게 규명함. □ [연구결과 ⓶] TEAD complex2 발견을 통한 분자기전 및 DDR 역할 규명 • HR 관련된 RAD51, RPA, BRCA1와 NHEJ 관련된 Ku70/80, PARP, 53BP1 등과 결합 및 신호전달 조절을 통해 DDR의 새로운 조절자로써 TEAD 전사인자를 재조명함. ■ 2단계 목표: TEAD complex2를 통한 NHEJ/HR의 DDR pathway 조절기전 최초 규명 □ [연구결과 ⓵] TEAD complex2의 NHEJ/HR 조절 기전 규명 및 암세포 사멸 전략 연구 • TEAD complex1 억제제는 항암효과를 나타내는데 반해 TEAD complex2 억제제는 다음의 기전들을 통해 암을 악성화 시킬 것으로 사료됨. 1) complex1 & 2는 서로 antagonistic relationship을 보임. 따라서, complex2 억제제는 complex1을 강화시킴으로써 암 악성화에 기여함. 2) Chemotherapy+TEAD complex2 inhibitor 병용요법은 NHEJ 억제를 통해 화학 약물에 의한 유전자 손상(DSB)을 HR로 수복시킴으로써 항암제 내성 획득에 기여함. ■ 3단계 목표: TEAD complex2 분자기전 기반 제어기술 개발의 기초/제약/임상적 의의 규명 □ [연구결과 ⓵] TEAD complex2의 NHEJ/HR 조절 기전 규명 및 Complex2 억제제 개발 • 본 과제를 통해 전세계 최초의 TEAD complex2 inhibitor hit compound Hit 물질도출 및 명확한 MOA (mode-of-action)를 규명함으로써 TEAD 신약개발을 본 연구그룹이 국제적으로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TEAD가 억제되면 DSB에 의한 DNA 손상 복구 효율이 증대되고, 이를 통해 암세포 사멸이 억제되는 놀라운 현상을 최초로 밝힘. □ [연구결과 ⓶] TEAD complex2 inhibitor를 활용한 분자기전 및 임상 적용성 제시 • 본 연구단이 최초로 규명한 TEAD complex2는 DNA damage 유발 시 TEAD가 NHEJ를 활성화 시킴으로써 DDR을 촉진시키고 암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기능을 규명함. 그렇다면, TEAD complex2의 항암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플랫폼 구축을 위해 ‘HR이 결핍된 BRCA mutant cancer cell’을 선정함. 즉, BRCA mutant 시 TEAD complex2 inhibitor를 처리하면 NHEJ/HR 모두 억제되어 암세포사멸이 촉진됨을 밝힘. □ [연구결과 ③] TEAD complex2 Post translational modification 분자기전 및 역할 규명 • TEAD methylation, ubiquitination, parylation의 분자기전 및 신규 기능을 최초로 규명함.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국제적 연구방향과 차별적이고 독창적인 가설을 바탕으로, 본 신진과제에서는 최초로 규명한 TEAD complex2 인 ‘TEAD-DDR (DNA Damage Repair) complex’의 심화된 분자기전 및 기능을 규명하고, 신규 TEAD 억제제의 1) HRD 항암 적응증 및 2) 유전자 가위 촉진제(CRISPR Enhancer) 역할을 최초로 제시함으로써 전세계적으로 DNA damage, Gene editing 및 신약개발 분야에 대단한 파급력을 기대함. ■ DNA 손상 수복 전사인자 TEAD 재발견을 통해 명확한 MOA (mode-of-action) 규명을 통해 TEAD complex2 관련 분자기전 연구 및 신약개발을 국내외 다양한 공동연구를 통해 국제적으로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TEAD complex2는 TEAD-DDR complex에 기반한 모듈로서 기존에 연구되어 온 Hippo pathway 핵심 전사인자 TEAD와 전혀 새로운 활용 가능성 및 파급효과를 지님. 본 과제를 통한 기초/제약/임상의 활용범위 및 파급효과는 다음과 같음. 1) TEAD complex2 분자기전 규명을 통해 DNA damage 분야의 새로운 핵심인자를 발굴함. 이를 바탕으로 세포의 유전자 손상 복구 기전의 큰 파급력을 기대함. 2) 현재 전 세계적으로 경쟁 중인 TEAD inhibitor의 활용에 대한 새로운 항암전략을 제시함. TEAD complex1 inhibitor과 차별적으로 TEAD complex2 inhibitor는 DNA damage를 유발하는 chemotherapy와 병용투여 시 HR을 증가시킴으로써 항암약물내성을 유발시키므로 기존 TEAD 활용 방안에 주의를 요함. 3) TEAD complex2 inhibitor의 항암효과는 BRCA-/-와 같은 HR 결핍 암종에 탁월한 항암효과를 보이며 기존의 PARP inhibitor 내성암종의 세포사멸도 유발시킴. 4) TEAD complex2 inhibitor는 DSB의 HR 복구를 촉진시킴으로 CRISPR 유전자가위의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CRISPR enhancer로 개발 가능함을 밝힘. 5) ‘DNA 손상 복구 전사인자’의 다중 기능 nuclear protein family 정립을 통해 유전자 복구 및 전사에 대한 새로운 시각 필요성을 제시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박현우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히포 신호전달;TEAD 전사인자;유전자손상;암; 2. Hippo pathway;TEAD TF;DNA damage;PARP;Cancer;
  • 11640

    2021.02.28

    □ 연구개요 방사선 치료 후 살아남은 암세포는 방사선 저항성을 획득하거나 전이가 촉진되는 등의 부작용이 있음이 알려져 있음. 방사선 치료 후 발생하는 전이는 암의 치사율을 높이는 중요한 원인이나 이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한 실정임. 본 연구 과제에서는 이온화 방사선(Ionizing radiation, IR) 조사 후 발생할 수 있는 암세포의 방사선 내성(radioresistance)과 전이능(metastasis) 획득에 관여하는 새로운 분자를 다운증후군 중요유전자1 (DSCR1/RCAN1)을 타겟으로 하여 발굴하고 그 조절 기전을 밝혀 방사선 치료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전략을 제시하였음. □ 연구 목표대비연구결과 ◯ 1차년도: RCAN1 발현량 차이에 따른 radiosensitivity 분석 (달성도 100%) - Cell viability 측정: RCAN1의 knock-down된 암세포의 경우 방사선 조사 후 세포사멸이 증가 - Survial 관련 분자 분석: RCAN1이 과발현된 암세포에서 방사선 조사 후 apoptosis 마커 단백질들의 cleavage가 감소한 것을 확인. - Cell migration assay: RCAN1이 과발현된 암세포에서 방사선 조사 후 migration과 invasion이 감소한 반면, RCAN1이 knock-down된 암세포는 migration과 invasion이 증가 - RNA-seq 분석: RCAN1이 과발현된 암세포에서 방사선 조사 후 HIF1, TGF-β, Hippo 신호 전달 기전 관련 유전자들이 변하는 것을 확인. ◯ 2차년도: 암세포의 방사선 내성과 전이능에 영향을 미치는 신규 분자 발굴 및 신호전달 기전 분석(달성도 100%) - 방사선 내성 획득 관련 유전자의 신호전달 기전 분석: RCAN1이 과발현 암세포는 방사선 조사 후 HIF-1α의 발현량과 Akt의 인산화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 - 전이능 관련 유전자의 신호전달 기전 분석: RCAN1이 knock-down된 암세포는 EMT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고 RCAN1이 과발현된 암세포는 EMT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이 감소되어 있음. - 신규 분자의 관련 신호전달 기전 분석: STRING 데이터베이스에서 protein-protein association network를 확인하여 EMT 관련 유전자 중 하나인 Twist1의 전사인자인 STAT3가 관련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함. 이를 토대로 RCAN1이 과발현되자 STAT3의 인산화가 감소하고, STAT3의 단백질 발현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일어나는 현상임을 확인. ◯ 3차년도: 동물 모델을 이용한 방사선 내성 및 전이능 제어 전략 수립 (달성도 100%) - in vivo mouse xenograft model: tumor xenograft 실험을 통해 RCAN1 transgenic 마우스는 방사선 조사 후에도 tumor size가 감소한 것을 확인함. - RCAN1 transgenic, RCAN1 knock-out mouse를 이용한 종양미세환경 분석 - Human sample과의 비교 분석: TCGA database를 통해 분석한 결과 간암환자와 결장암환자 집단에서 RCAN1의 발현량이 높은 환자들의 생존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신장암환자 집단의 경우 RCAN1의 발현량이 높고, STAT3의 발현량이 낮은 환자들의 생존율이 높을 것을 확인함.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방사선 치료는 외과적 수술과 함께 고형암의 대표적인 치료법 중 하나이나, 방사선 치료 장비들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방사선 허용량의 제한과 다양한 부작용으로 인해 치료 효과를 거두기 위한 충분한 양의 조사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방사선 치료의 가장 큰 부작용 중 하나는 암환자의 면역 체계를 약화시키는 것인데, 암의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약화된 면역 체계를 강화시킴으로써 면역세포가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함.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방사선 치료와 더불어 암세포에 대한 면역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면역 치료의 병용에 대한 시도들이 많은 주목을 받고 있음. 본 연구과제와 후속 연구과제의 성공적인 수행은 방사선 치료 후 유발될 수 있는 부작용을 줄이고 치료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타겟 분자와 관련 신호전달 기전 수립을 통해 난치성 질환인 암 극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임.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서수련
    • 주관연구기관 : 강원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방사선 내성;방사선 치료;다운증후군 중요 유전자1; 2. Radioresistance;Radiotherapy;DSCR1/RCAN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