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9 Page 85/1,246

검색
  • 11619

    2021.01.31

    3D 프린팅 기술을 원전 부품제작에 아용하기 위해서는 제조한 소재의 건전성 및 원전환경 적용성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원자력 부품소재 가운데 널리 사용되는 스테인리스강 및 코발트 합금을 3D 프린팅 장치로 제작하고, 그 소재의 미세조직 및 기계적 물성을 평가하였다. 원자로 제어봉의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 카드의 주요 소재인 스테인리스강 304L 및 제어봉구동장치 부품소재인 코발트 합금을 대상으로 생산한 물성자료 가운데 중요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 두 가지 3D 금속 프린팅 (PBF, DED) 방식으로 제작한 스테인리스강 304L 특성을 비교·평가하여, DED 방식으로 제작한 소재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인장 및 내마모)과 조사 저항성(내방사선)을 확인하였다. • 3D 프린팅 소재에서 발생하는 균열 및 공극의 최소화를 위하여 프린팅 공정 조건의 최적화를 수행하였으며 결함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후처리 가공기술도 평가하였다. PBF 방식의 프린팅 장치를 이용하여 축소된 노심부품 (가이드카드)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 대상소재(스테인리스강 304L 및 Haynes 25)는 제어봉구동장치와 관련된 소재로 마모 특성이 중요하다. 부품 적합성 평가에 활용할 목적으로 ASTM 기술기준에 따른 Pin-on-disk 마모시험을 수행하여 3D 프린팅 제작 소재의 우수한 내마모 특성을 확인하였다. • 3D 프린팅 소재의 원전 적용을 위해서는 방사선 조사시험으로 소재의 손상거동 평가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호주 ANSTO 기관과 공동으로 헬륨 이온조사 시험을 수행하여 조사특성 평가자료를 생산하였다. 특히 이온조사 시편의 얇은 손상층에서 미소시험편을 정밀 가공하여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89p)
    • 연구책임자 : 권준현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3D 프린팅;후처리;내마모;내방사선;조사시험;제어봉구동장치;가이드카드; 2. 3D printing;post-processing;wear-resistance;radiation-resistance;irradiation test;control-rod drive mechanism;guide card;
  • 11618

    2020.12.31

    현행 조사처리식품 확인시험법들은 신속하나 감도가 낮아 스크리닝법으로 사용되거나 감도가 높아도 2일 이상의 분석시간이 소요되는 등 각각의 단점을 가지고 있어 신속성과 정밀성 모두를 만족하는 신규 조사처리식품 확인시험법의 신설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후보 분석법들의 비교를 통해 SPME-GC/MS 분석법을 선정하였고 이분석장비에 가장 효율적인 판별마커로써 1,7-hexadecadiene을 선정하였으며, 반응표면분석을 통해 시헙법 분석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이후 검지마커가 조사처리에 의해서만 발생한다는 uniqueness 확인 및 LOD, LOQ, Accuracy 등 신규 검지법의 신뢰성 검증 완료하고 저장온도/기간 및 혼입율 변화에 따른 검지 가능 여부 확인을 통해 상온에서 1년의 저장기간 동안 판별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모델식품 이외에도 4개 품목 및 식품조사처리에 사용 가능한 모든 방사선 선종(감마선, 전자선, 엑스선)으로 조사처리한 시료의 검지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시험법은 0.1 kGy 이상의 흡수선량으로 조사처리된 시료를 3시간 이내에 분석이 가능하며, 현행 시험법들과의 비교 실험을 통해 우수성을 재확인하였다. 아울러 ㈜ 농심과의 실험실간 블라인드 검증 실험 및 수입 유통제품의 모니터링을 통해 본 시험법이 실제적으로 활용될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 및 검증된 신규 조사처리 확인시험법의 식품공전 일반시험법 신설을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요청서를 제출하였으며, 등재 시 식품 생산업체의 품질관리 비용 절감 및 조사처리식품의 유통질서 확립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97p)
    • 연구책임자 : 송범석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조사처리식품;확인시험법;고체상미량추출;가스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고감도;신속성; 2. Irradiated food;Identificition method;Solid 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High sensitivity;Rapidity;
  • 11617

    2020.12.31

    ㅇ 본 과제에서는 깨끗하고 안전한 수자원 확보를 위한 방사선 접목 중합 및 작용기 도입 반응 제어를 통해 더 친환경적이고 가격 경제성이 높은 수중 유해 금속이온 흡착제 제조기술과 금속 촉매 첨가 방사선 산화반응 이용 수중 난분해성 유기화학물질 분해 및 분해 메커니즘 규명 연구를 수행하였음. - 수중 유해 금속이온 흡착제 연구에서는 (1) 비수계 전자선 접목중합 반응을 통한 상용 입자형 대비 높은 흡착처리 속도와 흡착용량을 갖는 수중 금속염 흡착제 제조기술, (2) 높은 반응효율(≧ 90%전환율)과 높은 재현성(3% 상대표준편차)을 갖는 수계 전자선 접목중합반응 이용 기능성 고분자 제조기술 및 (3) 전 제조 공정(전자선접목중합 및 나노구조체 도입)에서 친환경 용매인 물을 사용한 프러시안 블루(PB)가 고밀도로 집적화된 나노복합 흡착제(PP-g-PAA-PB) 제조기술을 개발하였음 - 수중 난분해성 유해 화합물질 분해 연구에서는 (4) Sulfamethoxazole의 방사선 산화분해에 적합한 광촉매의 밴드구조 제시, (5) 방사선과 다중금속촉매의 사용으로 난분해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방안을 개발하였고 (6) 정량 및 정성 분석을 통한 금속촉매/방사선 이용 Sulfamethoxazole 분해부산물 규명하였음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211p)
    • 연구책임자 : 신준화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방사선;접목중합;금속염 흡착제;방사선 고도산화;유기화학물질;분해; 2. Radiation;Graft polymerization;Metal ion adsorbent;Advanced Oxidation;Organic chemical compound;Degradation;
  • 11616

    2021.02.28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미래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사선 분야 국내외 정책, 연구, 기술, 산업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래 발전 방향 모색 - 방사선 기술별 미래 유망 방사선 기술 및 산업 발굴 및 정책 제언 (1) 방사선 분야 국내외 정책 및 R&D 환경 연구 ■ 국내외 방사선 및 방사선 이용 기술 분야 정책 조사 및 분석 ■ 국내외 방사선 관련 R&D 및 사업화 지원 현황 조사 및 분석 ■ IAEA 연구 지원 현황 및 분야 분석 ■ 해외 중요 연구기관 연구 분야 분석 (2) 방사선 분야 국내외 산업 및 기술 개발 환경 연구 ■ 방사선 대표 기술 분야에 대한 조사 및 세부 기술 분석 ■ 방사선 기술이 적용되고 있는 산업 조사 및 분석 ■ 4차산업 혁명에 따른 방사선 기술 산업 분야의 메가트렌드 분석 (3) 국내외 환경 변화에 따른 미래 방사선 기술/산업 발굴 및 정책 제언 ■ 메가트렌드 기반 미래 방사선 기술 분야 탐색 ■ 연구 분석 결과와 방사선 기술의 특수성을 반영한 미래 발전 방향 모색 ■ 요약 및 정책제언 ▣ 연구개발성과 ▢ 해외 34개 방사선 분야 연구 기관의 연구 역량 및 연구 분야 분석을 통하여 국내 R&D 지원 방향 설정을 위한 자료 활용 가능 ▢ 국내 1세대부터 3세대까지 방사선 분야 연구 지원 현황과 키워드 분석을 통하여 2021년 이후 4세대 방사선기술의 방향 설정 ▢ 국내외 R&D 및 정책동향을 기반으로 포스트코로나 시대 방사선 기술이 적용되어야 할 4개 메가트랜드 및 30개 미래 기술 발굴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국내외 동향과 정책 현황을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사선 정책 수립에 활용 ▢ 방사선 기술 기반 국가 경제 발전 및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마련에 활용 ▢ 수입 의존 기술의 자립화를 통한 국가 경제 손실 최소화, 방사선 기술의 세계시장 진입 발판 마련을 위한 정책 수립 등 (출처 : 요약문 5p)
    • 연구책임자 : 이남호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정책연구;4차산업;방사선 기술;방사선 산업;포스트코로나; 2. Research Policy;Fourth Generation Evolution;Radiation Technology;Radiation Industry;Post-Corona;
  • 11615

    2021.01.31

    KURT 기반의 처분환경 진화를 고려한 사용후핵연료 처분시스템 성능 검증을 위해 KURT를 활용한 처분시스템 구성요소의 공학규모 성능 검증기술을 개발하고, 처분환경 진화를 고려한 처분시스템 종합성능 평가체계를 개발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여 4개 기술분야 별로 세부과제를 구성하여 연구를 수행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음. ○ 처분시스템 성능평가체계 개발 분야 - 국내 발생 모든 사용후핵연료 대상 처분효율을 향상 시킨 처분개념(KRS+)을 개발하였으며, 국내 원안위 고시에 근거한 처분장 운영중 회수방안 설정 - 처분시스템 내 복합현상들을 단위모듈화하여 연계한 프로세스 기반 종합성능평가체계(APro 알파버전) 개발 - 모델 불확도 정량화 방법론과 처분용기당 붕괴열 조합 방법론 개발 ○ 공학적방벽 복합거동 검증기술 개발 분야 - KURT 기반 공학적방벽 복합거동특성 현장시험(In-DEBS)의 THM 특성 DB 구축 - 공학적방벽 성능 규명 및 모델 해석을 위한 완충재 열-수리 복합물성 평가 기술 개발 및 공학적방벽 THM 복합거동 진화모델 개발 및 국제공동연구 검증 - 다중 처분공 간섭현상 현장시험(In-DEBS-M) 개념설계(안) 제시 ○ 처분 지질환경 진화모델 개발 분야 - 심층처분장 건설 및 운영단계에서의 근계영역 천연방벽 특성 변화를 평가하고 모델화하기 위해, 처분터널 및 처분공 주변에서 발생하는 응력, 단열특성 및 수리특성 변화를 현장시험과 모델링을 통해 평가 - 처분용기재료에 대해 무산소 조건의 장기부식시험을 착수하고, 1차 모듈 해체 결과를 토대로 한 구리부식모델 개발 ○ 다중방벽 핵종 지화학거동 평가 - 지화학 인자의 영향을 고려한 사용후핵연료의 방사성핵종 조화 유출 모델 개발 - 처분환경의 변화에 따른 용기부식생성물 및 완충재의 특성 변화와 그에 따른 핵종 수착특성 자료 구축 - KURT 기반 근계영역의 산화환원환경 변화에 따른 용질의 이동/지연 현상 평가 (출처 : 서지정보양식 360p)
    • 연구책임자 : 조동건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공학적방벽;사용후핵연료;성능검증;심층처분시스템;종합성능평가체계;지하처분연구시설;지화학 거동;처분 안전성;처분환경 진화;천연방벽; 2. Engineered barrier;Natural barrier;Spent nuclear fuel;Deep geological disposal sysetm;Evolution of disposal environments;Total system performance assessment framework;Performance verification;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KURT);Geochemical behavior;Disposal safety;
  • 11614

    2021.11.30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텍스트 기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분석 플랫폼 ○ 전체 내용 ○ 본 과제는 텍스트 기반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하여 북한의 핵활동을 상시 감시할 수 있는 핵활동 분석 플랫폼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북한의 미신고 핵활동을 적시에 탐지할 수 있는 국가 능력을 배양함을 최종목표로 함. 북한의 비핵화 과정에서 과거 핵활동의 이력과 핵물질 및 핵시설의 존재 여부 등 북한이 제공하는 정보의 일치성과 완전성을 검증함을 그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제1단계(2019-2022년)에서는 ‘텍스트 기반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핵활동 분석시스템’을 개발하였음. ○ 1단계 □ 목표 ○ 텍스트 기반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하여 북한의 핵활동을 상시 감시할 수 있는 핵활동 분석 플랫폼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북한의 미신고 핵활동을 적시에 탐지할 수 있는 국가 능력을 배양함. 일차적으로는 비핵화 과정에서 과거 핵활동의 이력과 핵물질 및 핵시설의 존재 여부 등 북한이 제공하는 정보의 일치성과 완전성을 검증하는 데 활용하고, 더 나아가 향후 북한의 핵활동 관련 연구 및 정책 수립 · 이행을 위한 기본정책도구로 활용하고자 함. □ 내용 ○ 본 과제는 텍스트 기반의 공개정보를 활용하여 북한의 핵활동 이력과 핵물질 및 핵시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전문가의 분석과 평가를 통해 유용하게 사용가능한 정보로 가공하는 등 북한의 핵활동을 상시 감시할 수 있는 공개출처정보 기반의 핵활동 분석 플랫폼을 개발함을 최종목표로 함. 이를 위하여 연차별로 다음의 연구를 수행하였음. ■ 텍스트 기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핵활동 분석 플랫폼 설계 - 기존의 공개출처정보 기반 핵활동 분석 사례 조사·분석 - 미신고 핵활동 탐지를 위한 정보수집 범위 설정 및 방법 도출 - 미신고 핵활동 탐지를 위한 핵활동 분석 플랫폼 구축전략 수립 ■ 텍스트 기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핵활동 분석 플랫폼 개발 - 공개출처정보 기반 미신고 핵활동 분석 알고리즘 개발 - 공개출처정보 기반 미신고 핵활동 분석 프로그램 개발 - 공개출처정보 기반 미신고 핵활동 분석 플랫폼 개발 ■ 텍스트 기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핵활동 분석 플랫폼 검증 - 공개출처정보 기반 미신고 핵활동 분석 플랫폼 검증 - 공개출처정보 기반 미신고 핵활동 분석 플랫폼 최적화 □ 연구개발성과 ○ 텍스트 기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핵활동 분석 플랫폼 설계 - N-STAR 기술보고서(1건), 신규 고용창출(2건) ○ 텍스트 기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핵활동 분석 플랫폼 개발 - N-STAR 기술보고서(1건), S/W 프로그램(2건) ○ 텍스트 기반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핵활동 분석 플랫폼 검증 - N-STAR 기술보고서(1건)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활용계획 - 북한의 비핵화 과정에서 과거 핵활동의 이력과 핵물질 및 핵시설의 존재 여부 등 북한이 제공하는 정보의 일치성과 완전성을 검증하는 데 활용 - 향후 북한의 핵활동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우리나라의 대북 정책을 수립 · 이행하는 데 기본 정책도구로 활용 ○ 기대효과 - 북한의 군사적 안보위협과 테러리즘에 대응하는 효과적인 사회안전망 구축을 통해 국가 안보에 기여하는 한편, 국민의 불안 해소 - 북한의 비핵화 과정에서 당사국으로서의 직접적 · 주도적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국제핵비확산 분야에서의 국가 위상 제고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권은하
    • 주관연구기관 : 미래전략컨설팅
    • 발행년도 : 20211200
    • Keyword : 1. 미신고 핵활동;공개출처정보;데이터 분석;텍스트 마이팅; 2. Undeclared Nuclear Activity;Open Source Intelligence;Data Analysis;Text Mining;
  • 11613

    2021.02.28

    □ 연구개요 The second-year work is devoted to a) acceleration of the fixed-point iteration algorithm; b) validation, verification and sensitivity analysis of the MPCORE multi-physics code; c) calculation of the control rod ejection accident (REA) for full-core benchmark; d) coupling of the CTF thermal-hydraulics code; and e) analysis of the global truncation error.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Overall, by the end of the second year the research project completeness is about 75%. 1. Development of the FRAPI module (100%) 2. Sensitivity analysis of the FRAPI models (100%) 3. Development of the time marching scheme (100%) 4. Development of the core multi-physics module (100%) 5. Development of the JFNK1 solver (100%) 6. Analysis of the JFNK1 efficiency (50%) 7. Conjunction of multi-physics and time marching modules (100%) 8. Development of the PCA-based fixed-point search algorithm (50%) 9. Analysis of the accuracy of the integrated multi-physics model (80%) 10. Development of the global truncation error estimation algorithm (40%) 11. Improvement of the multi-physics code efficiency (10%) 12. Verification of the developed multi-physics code (80%)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Overall, the second-year research is focused on the analysis of computational performance and acceleration of the multi-physics coupling algorithm, as well as on the verification of the multi-physics results. There are several major changes of the initial second-year research plan: 1) Jacobi-Free Newton Krylov (JFNK) method experiences divergence due to large numerical errors from the derivative calculation, hence the method has been replaced on the more robust Anderson’s acceleration approach; 2) the multi-physics pin-by-pin transient simulation shows about two-three iteration per step are required to solve the non-linear equation withing each time step; therefore,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cceleration method for transient acceleration has been decided to be excessive and has not been implemented; 3) calculation of LOCA accident have been postponed to the next year due to extensive analysis of the REA case and verification of the multi-physics code; 4) the global truncation error analysis was implemented for a point neutron kinetics equation only; the implementation of the global error analysis algorithm for the multi-physics code obstacles the lack of adjoint equation solver for linearized multi-physics system; 5) a multiple-step selection method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accelerate the time integration routine. (source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Cherezov Alexey
    • 주관연구기관 : 울산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과도 상태 해석;압축코드 개발;다물리;다물리 해석; 2. REA;PCA;multiphysics;
  • 11612

    2021.02.28

    Ⅳ. 연구개발결과 - 240 keV 정전형가속기 빔 인출 : COVID-19로 인한 계획변경, 240 keV 정전형 가속기 설치 및 진공시험 - 1.5 MeV 정전형가속기 설계 및 부품 제작 : 빔 스트리핑 터미널 개발을 위한 시스템 구축 및 시작품 개발 착수 국내기술을 통한 1.2MeV급 직류전원장치 공동개발 빔 집중도 향상을 위한 이온소스 후의 인젝션 구간의 최적화 - 타겟 BSA 통합 설계 : 통합성능 기술문서 - 양성자 및 중양자 1.5 MeV 기준 KINS 시설 인허가준비 가속에너지 500keV 이상의 H+를 기준으로 Al타겟에서 차폐계산 및 가속기 시험을 위한 시설 인허가 완료 - 식약처 인허가를 위한 성능평가 지표 도출: 기술문서를 구성하기 위한 인덱스를 정의, 필요한 리스트 작성 (출처 : 요약문 5p)
    • 연구책임자 : 홍봉환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정전형가속기;절연 트랜스포머;대전류 아르곤가스 스트리퍼 중성자 발생 타겟;중성자 성형장치; 2. Electrostatic accelerator;Isolated Transformer;High current Argon gas stripper;Neutron Target;BSA;
  • 11611

    2021.08.31

    연구개요 구강 건조증은 두경부암의 방사선 치료, 쇼그렌 병, 노화에 의한 타액선의 기능 저하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구강 건조증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로는 Pilocarpine이 유일하며, 이 또한 타액선 기능이 남아있는 경우에만 유용하다. 현재, 타액선 기능 저하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타액선 성체 줄기세포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가장 실현 가능성이 높은 치료방법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에 본 저자는 타액선 기능 저하 질병 동물모델을 개발하여, 방사선 조사 후 타액선 조직의 미세 환경을 이해함으로써, 조직재생 연구에 유용한 프로토콜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환자 유래 타액선 조직 줄기세포 기반 다종 타액선 줄기세포 형성기술의 개발 및 3차원 생체재료 기반 오가노이드의 최적화 구조를 만들고자 하였다.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방사선을 타액선에 조사 한 군과 조사하지 않은 대조군과의 7일 뒤, 마우스의 몸무게, 악하선의 무게와 크기, 타액 분비량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대조군에 비하여, 방사선을 조사한 마우스의 몸무게, 악하선의 무게와 크기 및 타액의 분비량이 감소하는 양상을 관찰하였다. 또한, 방사선 조사 악하선을 분리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으며, 병리학적으로 세포의 퇴행 (Degradation)과 액포화(Vacuolization), 핵농축(Pycnosis)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콜라겐 Type I 면역형광염색에서는 콜라겐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중합 효소 연쇄반응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Tumor necrosis factor(TNF)-α,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CTGF), Cyclin D1(CCND1), P21은 증가 되는 소견을 보이는 반면, Sex determining region Y-Box transcription factor 2(SOX2)와 Amylase 1(Amy 1), Lamin A/C(LMNA)는 감소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환자 유래 타액선 조직 줄기세포의 분리는 배양 2일 째부터 여러 가지 형태로 자라나면서, 군락을 형성하기 시작하여 6일째에 이르러서는 하나의 큰 군락을 형성하였다. 이후, 3차원 배양을 통하여 타액선 스페로이드(Spheroid)로 분화하는데 성공하였으며, 유세포 분석 분석을 통한 환자 유래 타액선 줄기세포에서 줄기세포 표지자들인 CD44, 73, 166, 105가 약 90% 이상 발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CD31, 34, 45 에서는 발현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성장인자를 넣은 배지를 통해, 선방세포(Acinar cell)로의 분화에 성공하였으며, Amylase 1A와 Keratin 5 유전자 발현의 증가를 통해 선방세포의 기능을 확인하였다.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타액선 기능 저하 동물모델 개발 및 미세 환경의 분석으로 반복적인 방사선 조사는 타액선 조직의 DNA 손상 및 활성화 산소를 발생시켜 국소 염증 반응을 일으키고 이는 결국 섬유화 반응으로 진행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자들은 3차원 배양법을 이용하여 환자 유래 타액선에서 스페로이드(Spheroid) 분리 배양에 성공하였으며, 이는 기존의 골수나 지방 등에서 유래한 줄기세포와 다르게 상피세포 표현형도 발현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번 연구를 통해 고기능성 타액선 오가노이드 형성기술에 한발 다가서게 되었다.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주현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900
    • Keyword : 1. 타액선;줄기세포;오가노이드;재생;구강 건조증; 2. Salivary gland;Stem cell;Organoid;Regeneration;Xerostomia;
  • 11610

    2021.09.30

    □ 연구개발 목표 해체 비용의 30%∼40%을 좌우하는 해체 엔지니어링 기술 및 해체폐기물 처리기술 분야와, 해체 부지 복원분야에 대해서 세계적으로 아직까지 기술이 정립되지 않은 핵심 요소기술에 대해 국내 전문성 있는 대학 및 연구기관과 연대하여 독창적 원천 기반기술을 개발하고, 해체 산업에 요구되는 전문인력 양성 및 관련 산업의 인프라를 구축함. □ 연구개발 내용 ∙ 부지 환경 복원을 위한 지하수 수중 저준위 방사능 모니터링 기반기술 구축 - 섬광체를 활용한 해체 부지 수중 방사능 측정 기술 개발 - 현장에서 적용가능한 전처리 및 계측 시스템 개발 ∙ 확률론적 인지기법을 이용한 원전 해체 위험도 평가기법 및 저감화 기반기술 개발 - 고방사능 시설 해체공법 휴먼에러에 의한 안정성 평가 - 위험도 저감화 기반기술 개발 ∙ 난처리성 제염폐액 처리 나노복합체 제조 원천기반 기술 및 처리 신공정 개발 - 제염폐액 내 계면활성제, 착화제의 분리 및 처리기술 - 제염폐액 내 핵종제거를 위한 흡착 유기구조체신소재 제조 및 처리기술개발 ∙ 방사성핵종의 선택적 제거를 위한 차세대 자가추진 마이크로모터 원천기술 개발 - 친환경성 마이크로/나노 추진체 개발 - 방사성 핵종/유기물 제거를 위한 마이크로/ 나노모터 개발 ∙ 제염해체 및 환경복원 산업 전문인력 양성 및 학연간 기술교류 협력체계 구축 - 제염해체 기술 교재 개발 및 제염해체 기술 역량 보유 멤버십 기업 맞춤형 교육 - 제염 해체 관련 인력 파견, 학부/대학원 강의 개설 - 세부 과제별 기술정보 교류: 주기적 연구발표회 및 세미나 개최 □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 제염 해체 과정 중 오염물질 현장 누출감시 및 해체 부지의 환경복원 후 중장기적 방사능 오염물 확산 감시에 활용 ∙ 확률론적 인지기법을 이용한 인적오류평가 기술 적용으로 원전해체 안전성을 증진시키고 이해관계자들에게 안전성을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함. ∙ 국내외 원전해체 안전성평가 수행, 관련 절차서 작성의 기본 자료로 활용되며, 또한 해체엔지니어링 분야의 기술력 제고에 기여함. ∙ 원자력시설의 해체시 다량발생하는 난처리성 제염폐액을 처리하기 위한 기반기술로 활용하며 국내 고유의 폐기물처리 기반 기술 확보를 통한 국가경제 이바지함. ∙ 자가추진 마이크로모터 기반의 차세대 방사성 폐액처리 기술 확보로 고방사성 해체폐기물 및 지하수 복원기술로 적용이 가능하여,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같은 대형 원전사고시 발생되는 대량의 방사성 오염수 처리기술로 활용 ∙ 제염 해체 관련 기관간의 기술 교류 및 교육 기회 제공을 통한 전문 인력양성을 통하여 제염 해체 산업 발전에 직접적으로 활용함.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김희령
    • 주관연구기관 : 울산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1000
    • Keyword : 1. 제염 해체;방사능 모니터링;폐기물 처리;위험도 평가;피폭 저감화;나노섬유;마이크로 모터;인력 양성; 2. Decontamination/dismantling;Radioactivity monitoring;Waste treatment;Risk assessment;Reduction of exposure;Nanofiber;Micromotor;Manpower trai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