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9 Page 87/1,246

검색
  • 11599

    2021.02.28

    □ 연구개요 만성 간염 환자에서 간 섬유화 정도를 비침습적으로 진단하는 검사법들의 표준검사법 개발과 다양한 검사법들의 간섬유화 진단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초음파, MR 기반 간탄성도 검사의 표준검사법 개발 ; 간의 capsule에서 1-2cm 아래에서 측정, beam이 수직으로 입사할 때 값이 잘 나옴 fibrosis와 연관이 있는 혈중 marker를 찾아냄 ; fibrosis와 correlation이 잘 되는 혈중 마커를 찾아 분석함 US elastography, MR elastography, 혈중 바이오마커등의 비침습적 간섬유화 평가법들의 간섬유화 진단능 비교 분석 ; 한 환자에서 여러 가지 검사를 함께 시행하여 간섬유화 진단능을 비교 분석하였음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만성간질환의 유병률이 늘어남에 따라 환자들은 본인의 간의 상태에 대해 관심히 증가하였고, 이를 조직검사등이 아닌 비침습적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은 본 연구의 가장 큰 기여라고 생각한다. US 영상은 쉽게 시행할 수 있고 radiation hazard가 없다는 점에서 만성간염환자들의 추적검사에 이용되고 있으나 결과가 주관적이라는 제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검사값들의 연관성을 알 수 있었고, 그 값들은 신뢰성 및 재현성이 있었다. 이에 따라 만성간염환자의 진료에 중요한 검사방법으로 자리 매김하게 될 것으롤 기대된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정은
    • 주관연구기관 : 충남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간섬유화;탄성검사;초음파;자기공명영상;만성 간염; 2. Liver fibrosis;Elastography;Ultrasound;Magnetic Resonance Imaging;Chronic hepatitis;
  • 11598

    2021.10.31

    Ⅳ. 연구개발결과 - 방사광가속기 기반 소재 분석 고도화) 금속, 세라믹. 기능성 나노 박막 소재 등 다양한 재료에 대한 미세 구조 평가 및 비파괴 내부 구조 가시화 가능성 평가 실시. 특히 국내에서는 시도된 적이 없는 금속 소재 결정립 가시화 장치 최적화 및 데이터 분석 수행 프로세스 마련 - 방사광기반 분석 기법의 소재 개발 확대 적용) 상용화된 장비에서 제약을 가지는 실시간 구조 분석 기술의 자기 냉각 소재에의 적용 가능성 평가 완료. 또한, 고종회비의 3차원 미세 패턴 제작이 가능한 방사광 기반 X-선 리소그래피 기법을 기능성 소재 성형 공정에 필요한 미세 패턴 제작에의 적용 가능성 평가 완료 - KIMS-PAL 협업 플랫폼 구축) 방사광 기반 분석 기술 이해도 제고를 위한 기술교류회 및 방사광 분석 가능 정보 가시화 추진. 또한, 방사광가속기 인프라 구축을 위한 소재 이해도 제고 및 협력 체계 구축을 위한 실무 협의 추진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박이호
    • 주관연구기관 : 한국재료연구원
    • 발행년도 : 20211100
    • Keyword : 1. 방사광;X-선 이미징;소각 X-선 산란;X-선 회절 이미징;고분해능 분말 회절;X-선 리소그래피; 2. Synchrotron radiation;X-ray imaging;Diffraction computed tomography;Small angle X-ray scattering;High resolution powder diffraction;X-ray lithography;
  • 11597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열복사를 고려한 OpenFOAM과 DETCHEMTM 적용 촉매/화염 복합연소기 성능 및 배기저감 해석기술 개발 ■ 전체 내용 (1) 1차년도 • 촉매부와 화염부를 결합한 촉매연소기 반응해석 알고리즘 분석 및 선정 • OpenFOAM을 적용한 복합연소기 화염부 비반응 유동해석 프로그램 개발 • DETCHEMTM 적용 복합연소기 촉매부의 1차원 촉매연소 해석 프로그램 개발 • OpenFOAM 적용 열복사 해석 프로그램 개발 (2) 2차년도 • OpenFOAM 및 DETCHEMTM 적용 화염부 반응 유동 해석 프로그램 개발 • 비회체 열복사 해석 프로그램 개발 및 검증 (3) 3차년도 (4차년도) • OpenFOAM 및 DETCHEMTM을 적용한 복합연소기의 3차원 촉매/화염 복합연소 연계해석 프로그램 개발 • 비회체 열복사 연계 촉매/화염 복합연소기의 연소 특성 분석 • 운전조건에 따른 촉매/화염 복합연소기의 작동특성 및 배출 가스 특성 분석 □ 연구개발성과 (1) SCI 논문발표 1건, 학진등재지 논문발표 1건, 학술대회 논문발표 5편 (2) 대학원생 (석사) 배출 2명, 박사과정 1명 지원중 (3) 가스터빈 촉매연소 해석코드 개발 (4) 상용코드 활용 통상/촉매 복합연소 해석코드 개발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1) 연구내용 정리 국내외 학술지 및 학술대회 논문발표 (2) 촉매연소 해석코드 적용 위성체 추력발생기 및 항공/산업용 가스터빈 엔진 배기저감 후속 연구 활용 (3) OpenFOAM 코드 추가 개발을 통한 열복사 연계 촉매/통상 복합연소 해석 코드 개발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만영
    • 주관연구기관 : 전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가스터빈연소기;촉매연소;촉매/화염 복합연소;저공해연소기술;열복사; 2. Gas Turbine Combustor;Catalytic Combustion;Coupled Catalytic and Flame Combustion;Low Emission Combustion Technology;Thermal Radiation;
  • 11596

    2021.02.28

    □ 연구개요 동물의 번식생리 및 성장 그리고 인간에서 성장관련 유전자의 작용기전과 영향 등을 규명하기 위해, 개의 성장과 관련된 유전자를 탐색함과 동시에 이를 유전자 교정기술과 체세포 복제기술을 이용하여 성장유전자가 조절된 형질전환 복제견을 생산하고 이를 토대로 성장에 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자 함. 본 연구과제의 목표는 개의 품종 간 성장관련 유전자를 탐색 및 선발하고, 개 체세포 복제 기술과 유전체 교정 기술을 이용하여 성장 조절 유전인자의 특성을 확인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SNP을 비교 분석하여 대형견, 중형견, 소형견에서 IGF1, IGF1R, GHR1/2, STC2, HMGA2의 경향이 다름을 확인함 ❍ GHR-1과 HMGA2를 타겟 유전자로 선정 ❍ 새로운 유전자 편집 기술인 prime editor vector를 구축하여 형질전환 세포주 생산하는 방법을 구축함 ❍ 삽살개세포를 이용하여 FGFR3유전자가 point mutation한 세포주 구축하고, 성장관련 유전자가 형질전환된 재구성 수정란 생산 및 GFP발현을 확인함. ❍ 성장관련 유전자가 형질전환된 복제견 생산하였지만, 사산됨. 그러나 사산된 복제견에서 GFP발현과 성장관련 유전자가 교정됨을 확인함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방안 > ❍ 유전체 교정 기술 및 개 체세포 복제 기술 등에 관련한 우수한 학술적 성과를 국내·외 학술지 게재 ❍ 형질전환 복제견 생산 효율 향상을 통한 복제견 연구분야의 세계적 우위를 지속적 유지 ❍ 도출 및 개발된 연구결과를 향후 형질전환 질환모델 생산연구의 기초 자료로 적극 활용 < 기대성과 및 파급효과 > ❍ 기존의 근친교배에 의한 품종고정을 새로운 유전체 교정기술과 복제 기술을 활용하여 단기간에 정확하고 안전하게 생산할 수 있는 기술 개발 ❍ 개의 유전체 탐색을 통한 품종 간 육종자료를 수집할 수 있으며, 계통별 형질,마커 등을 구축할 수 있는 기반 조성 ❍ 향후 유전자 교정기술을 이용한 질병 치료 및 인간의 성장과 관련된 유전자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함 ❍ 가축 개량 및 품종 개발에 안전하게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지혜
    • 주관연구기관 : 충남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성장관련 유전자;유전자 교정기술;체세포 핵이식;형질전환;유전자 가위; 2. growth related gene;gene editing;somatic cell nuclear transfer;transgenic;CRISPR/cas9;
  • 11595

    2021.01.31

    □ 국제적 수준의 방사선비상진료시스템 구축 및 비상진료 기술 선진화 ㅇ 방사선비상진료 관련 국내·외 학술발표(1회) 및 학술지 게재(국외 2건) ㅇ 방사선비상진료 고유업무(진료, 비상발령 접수, 교육훈련) 수행 ㅇ 직종별 방사선비상진료 특성화교육 기본·심화과정 운영(7회) ㅇ 방사선비상의료지원본부 가동훈련(4회) 및 현장의료정보 앱(K-REM) 운영(5건) ㅇ 방사선비상진료 유관기관 교육·훈련 지원, 재난 및 응급의료체계의 외부 교육과정 실시·지원 (61건) 및 비상진료 자문위원회 개최(2회)를 통한 분산수용 네트워크 강화 ㅇ 한국방사선비상의료지원단(K-REMAT) 역량개발 교육․훈련 운영(4건) 등 현장 대응능력 및 전문성·실효성 강화 ㅇ 방사선비상진료 매뉴얼․지침서 개정 및 비상진료 실무 연구 및 교육·훈련센터 건립 준비 수행(6건) □ 선량평가 기술 국제인정 유지 및 연구개발 역량강화 ㅇ 방사선비상진료기술 및 피폭선량평가 관련 국내·외 학술발표(1회) 및 학술지 게재(국외 5건) ㅇ 방사선영향클리닉 내원객 대상 내·외부오염검사 및 생물학적 선량평가 수행으로 방사선비상진료 검사 서비스 제공 * 연구과제 수행 실적 포함 ㅇ 국내·외 교차분석프로그램 참가로 피폭선량평가에 대한 측정 소급성 유지 및 숙련도 향상 - 내·외부 오염검사(2건) - 생물학적선량평가(3건) ㅇ ISO 17025에 대한 공인시험기관(1건) 국제공인인정 유지 및 ISO 15189에 따른 공인메디컬시험기관(1건) 국제인정 유지로 피폭선량평가 기술에 대한 표준화 및 선량평가 결과에 대한 신뢰성 향상 - 방사능분석장비, 자동 염색체 분석 시스템 현미경 자체교정 및 정기성능평가로 선량평가 서비스의 품질관리시스템 향상 - 외부 전문가 초청세미나 개최로 최신 기술에 대한 정보 공유 및 피폭선량평가에 대한 기술 역량 강화 - 내부피폭세미나 개최로 국내 유관기관 전문가와의 기술협력 강화 및 내부피폭선량평가와 관련된 국내 현안 공유 ㅇ 방사능분석장비, 자동 염색체 분석 시스템 현미경 자체교정 및 정기성능평가 - 알파/베타, 감마 핵종 방사능 분석 장비 내부점검(3건) - 자동 염색체 분석 시스템 현미경 점검(3건) ㅇ 피폭선량평가 분야 기술교류세미나 개최 - 아시아 선량평가 네트워크 활성화 및 관련 기술 교류(3건) * Asian Radiation Dosimetry Group; ARADOS, Preliminary online meeting 참석을 통한 워크그룹 간 기술교류 및 제 6차 ARADOS annual meeting 계획 논의 (2010.27, QST-NIRS, Japan 주관) / ARADOS-Working Group3(Biological Dosimetry) Inter-comparison Exercise 주관 및 교차분석 참가(2020.10.05.~2020.10.23.)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방비센터 보건물리 및 생물학적 선량평가 기술 교류; 양 기관 협력체계의 중기 계획 협의 및 기술체계를 위한 연구파트별 세부 일정 논의 * KREDOS EPR 화상 회의 / 국내 생물학적 선량평가분야 교차분석 결과 토의 및 기술검토; Hydroxyapatite 관련 결과정리 및 논문 작성, 상호교차분석 결과 및 재실험 논의, 시료 기관별 재고조사 등 / 이동원-전좌염색체 이미지 교차분석 결과 토의 및 선량평가 기관 간 판독기준 검토 ㅇ 방사선비상의료대응 연구 역량 강화(4건) - 딥러닝 기법을 활용한 염색체 이상 판독 자동화 연구개발 수행 - 몬테카를로 전산모사기반 전신계수기 측정방법 검증 - 방사선 피폭에 대한 사후선량평가 최적화 기술 개발 - 방사선 노출 백혈병 위험성 평가를 위한 독성발현경로(AOP) 응용 기반 연구 □ 방사선비상진료 분야 국제협력 전략적 강화 ㅇ 방사선비상진료 관련 해외 현안 조사 및 해외 유관기관과 화상회의 개최 - 의학원-일본 히로사키대학교 방사선비상진료 화상회의 개최(2020.11.17.) (출처 : 요약서 5p)
    • 연구책임자 : 조민수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방사선비상진료;방사선비상대응;방사선비상의료지원본부;한국방사선비상의료지원단;방사선영향클리닉;직종별 특성화 교육;방사선비상진료 국제공조;생물학적선량평가;내부/외부 선량평가; 2. Radiation Emergency Medicine;Radiation Emergency Medical Response;Korean Radiation Emergency Medical Assistance Team;Radiation Effect Clinics;Radiation Emergency Medical Education;International Cooperation;Biological Dosimetry;Inter・External Physical Dosimetry;
  • 11594

    2020.12.31

    - 본 연구과제의 주요 취지는 우리나라 원자력 기술의 국제협력 활성화를 통하여 기술을 홍보하고 전문가의 네트워크를 강화함으로서 향후 기술수출, 전문가의 해외 진출 등에 간접 기여 하고자 함에 있음. - 본 연구과제를 통하여 2018년 5건, 2019년 4건, 2020년 1건 등 총 10건의 국제회의개최를 지원하였으며 일부 회의는 직접 참여 하여 회의 추진 내용을 모니터링 함. - 주요성과로는 RCA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국내 핵의학 기술 홍보, IAEA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국내 SMR 기술 홍보, IAEA Quanum 워크숍 유치를 통한 핵의학 진료 기술 홍보 등이 있음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정홍화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협력재단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국제협력;국제회의;국제원자력기구;네트워크;해외진출; 2. International Cooperation;International Conference;IAEA;Network;Overseas Expansion;
  • 11593

    2020.12.31

    미래 원자력 연구개발용 조사시험 기술을 개선하고 설비운영을 통한 국가 주요 원자력 연구개발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하나로 조사시험 설비 운영 과제를 수행하였다. 과제는 크게 세 가지 분야로 나누어 수행하였는데, 첫 번째 조사시험 설비 유지보수 및 성능 개선에서는 하나로 조사시험 설비의 성능을 점검하였고, 필요 시 시설의 성능을 개선하였다. 또한 노외시험 장치를 운영하여 조사시험의 안전성 분석과 원자력발전소계측 시스템의 성능 검증을 지원하였다. 두 번째로 조사시험 설비 운영 및 안전성 평가를 통하여 다양한 조사시험 캡슐을 설계 및 제작하였고, 하나로 및 대체시험 시설을 활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비록 장기간의 하나로 가동정지로 인하여 다수의 시험을 수행하지 못하였지만 가용 조사공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정체된 시험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세 번째로 이용자 지원 및 이용활성화는 조사시험을 많이 활용하는 원자력 연구개발 분야 뿐만 아니라 계장기술 및 첨단소재 연구를 수행하는 이용자를 집중적으로 지원하였다. 다수의 학회 활동, 세미나 및 워크샵 개최를 통해 이용자들이 쉽게 하나로 조사시험 분야에 접촉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하나로 조사시험의 수행을 통하여 상용로, 연구로, 미래 원자력시스템을 포함한 국가 중장기 원자력 기술개발 사업을 성공적으로 지원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신형원전의 압력용기 건전성 검증, 연구로 핵연료 및 동위원소 생산 기술 검증, 미래 원전재료 검증을 통한 국내 원전 기술 향상 및 수출 촉진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국내 산·학·연 기술협력을 통해 계장기술의 국산화 및 산업화에 기여할 수 있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151p)
    • 연구책임자 : 양성우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하나로;조사시험;제어시설;노외시험;안전성평가;이용자지원;이용활성화; 2. HANARO;Irradiation Test;Control Facility;Out-of-reactor Test;Safety Evaluation;User support;Activating Utilization;
  • 11592

    2021.01.31

    3D 프린팅 기술을 원전 부품제작에 아용하기 위해서는 제조한 소재의 건전성 및 원전환경 적용성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원자력 부품소재 가운데 널리 사용되는 스테인리스강 및 코발트 합금을 3D 프린팅 장치로 제작하고, 그 소재의 미세조직 및 기계적 물성을 평가하였다. 원자로 제어봉의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 카드의 주요 소재인 스테인리스강 304L 및 제어봉구동장치 부품소재인 코발트 합금을 대상으로 생산한 물성자료 가운데 중요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 두 가지 3D 금속 프린팅 (PBF, DED) 방식으로 제작한 스테인리스강 304L 특성을 비교·평가하여, DED 방식으로 제작한 소재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인장 및 내마모)과 조사 저항성(내방사선)을 확인하였다. • 3D 프린팅 소재에서 발생하는 균열 및 공극의 최소화를 위하여 프린팅 공정 조건의 최적화를 수행하였으며 결함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후처리 가공기술도 평가하였다. PBF 방식의 프린팅 장치를 이용하여 축소된 노심부품 (가이드카드)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 대상소재(스테인리스강 304L 및 Haynes 25)는 제어봉구동장치와 관련된 소재로 마모 특성이 중요하다. 부품 적합성 평가에 활용할 목적으로 ASTM 기술기준에 따른 Pin-on-disk 마모시험을 수행하여 3D 프린팅 제작 소재의 우수한 내마모 특성을 확인하였다. • 3D 프린팅 소재의 원전 적용을 위해서는 방사선 조사시험으로 소재의 손상거동 평가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호주 ANSTO 기관과 공동으로 헬륨 이온조사 시험을 수행하여 조사특성 평가자료를 생산하였다. 특히 이온조사 시편의 얇은 손상층에서 미소시험편을 정밀 가공하여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89p)
    • 연구책임자 : 권준현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3D 프린팅;후처리;내마모;내방사선;조사시험;제어봉구동장치;가이드카드; 2. 3D printing;post-processing;wear-resistance;radiation-resistance;irradiation test;control-rod drive mechanism;guide card;
  • 11591

    2020.12.31

    현행 조사처리식품 확인시험법들은 신속하나 감도가 낮아 스크리닝법으로 사용되거나 감도가 높아도 2일 이상의 분석시간이 소요되는 등 각각의 단점을 가지고 있어 신속성과 정밀성 모두를 만족하는 신규 조사처리식품 확인시험법의 신설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후보 분석법들의 비교를 통해 SPME-GC/MS 분석법을 선정하였고 이분석장비에 가장 효율적인 판별마커로써 1,7-hexadecadiene을 선정하였으며, 반응표면분석을 통해 시헙법 분석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이후 검지마커가 조사처리에 의해서만 발생한다는 uniqueness 확인 및 LOD, LOQ, Accuracy 등 신규 검지법의 신뢰성 검증 완료하고 저장온도/기간 및 혼입율 변화에 따른 검지 가능 여부 확인을 통해 상온에서 1년의 저장기간 동안 판별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모델식품 이외에도 4개 품목 및 식품조사처리에 사용 가능한 모든 방사선 선종(감마선, 전자선, 엑스선)으로 조사처리한 시료의 검지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시험법은 0.1 kGy 이상의 흡수선량으로 조사처리된 시료를 3시간 이내에 분석이 가능하며, 현행 시험법들과의 비교 실험을 통해 우수성을 재확인하였다. 아울러 ㈜ 농심과의 실험실간 블라인드 검증 실험 및 수입 유통제품의 모니터링을 통해 본 시험법이 실제적으로 활용될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 및 검증된 신규 조사처리 확인시험법의 식품공전 일반시험법 신설을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요청서를 제출하였으며, 등재 시 식품 생산업체의 품질관리 비용 절감 및 조사처리식품의 유통질서 확립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97p)
    • 연구책임자 : 송범석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조사처리식품;확인시험법;고체상미량추출;가스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고감도;신속성; 2. Irradiated food;Identificition method;Solid 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High sensitivity;Rapidity;
  • 11590

    2021.02.28

    □ 연구개요 Menin은 MLL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암촉진자의 역할을 한다고 알려짐. 본 연구진은 Menin과 MLL의 상호작용 외 다른 Menin의 암 촉진 기능을 밝히기 위해, Menin이 DAXX와 결합한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DAXX에 의한 heterochromatin 조절 경로에 Menin이 영향을 미칠 가능성과 암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자 하였음. 또한 Menin이 ALT(Alternative lengthening of Telomere)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Menin-DAXX를 제어하는 것이 ALT-positive 및 암을 억제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제 개발 대안이 되는지 확인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Menin은 Luminal, HER2, TNBC 유방암에서도 암과의 상관관계가 높았고, 유방암 세포주에서 발현 레벨이 증가되어 있음. subtype과 상관없이 Menin kd이 암세포 성장저해를 유도함. (2) 유방암에서 Menin의 레벨에 따라 DAXX의 예후가 달라짐을 확인. (3) TNBC 세포주에서 Menin inhibitor 처리 및 Menin kd 할 경우 PML, DAXX의 총 양은 변하지 않지만 DAXX의 경우, nuclear level이 증가하고, 특히 PML-DAXX와의 colocalization이 증가. 뿐만 아니라 Menin kd에 의해 DAXX-H3.3의 interaction이 증가. (4) Tet-on Menin kd TNBC 세포주를 확립하고 Menin kd 및 MI503 처리에 의한 RNA-seq 분석을 통해, Menin kd과 MI503는 공통적이면서도 특이적인 유전자 발현 변화를 보임. (5) DAXX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측되었던 LTR repeat elements 관련된 lncRNA의 경우, Menin이 LTR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지만 유방암 특징적인 LTR expression 패턴을 보이지는 않았음. (6) TNBC DEG 분석을 위해, 각 유전자들의 repeat element를 기준으로 6개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별 발현 패턴 변화를 분석한 결과, Menin에 의해 발현이 증가하는 유전자들은, 19, 22번 염색체와 관계있으며 Low complexity (simple repeat, low complexity) 패턴이 있음을 확인. 즉, 특정 genomic barcode를 갖는 유전자들이 좀 더 선택적으로 Menin의 영향을 받는다는 결과를 얻음. 특정 그룹 유전자들의 suppression 기전으로 DAXX의 downstream subpathway가 존재 및 작용하는지 추가연구가 필요함. (7) ALT+의 경우 telomere의 유지가 암세포에 중요하므로 Menin이 telomere repeat의 유지에 중요하게 작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ALT+ U2OS의 ALT signature에 대한 Menin의 영향 분석함. Menin inhibition에 의해 APB, TIF 및 Cell viability가 감소함. (8)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AR-independent pathway에서 Menin의 기능을 밝히기 위해 전립선암에서도 분석을 진행함. 이를 통해 Menin은 AR 비의존적으로 Apoptosis, metastasis 경로를 조절함을 확인.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항암치료제 타겟으로써 Menin과 DAXX의 상관관계의 규명; Menin과 DAXX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함으로써 genomic repeat element suppression 이상에 의한 유전체 불안정화, 비정상적 유전자 발현의 원인을 확인함. (2)Heterochromatin, 특히 Low complexity-associated gene의 조절 가능성 제시; genomic repeat elements에 따라 유전자들을 분류하고 이에 근거하여 heterochromatin 및 gene suppression경로의 유전자들을 선별함. 이에 따라 Aberrant cancer epigenome 복구를 위한 새로운 치료제 개발의 이론적 근거 제시.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조은정
    • 주관연구기관 : 성균관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메닌;닥스;유방암;이질염색질;유전체 반복서열; 2. menin;DAXX;Breast cancer(TNBC);heterochromatin;genomic repeat el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