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9 Page 92/1,246

검색
  • 11549

    2020.12.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임만성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 11548

    2020.12.31

    IV. 사업결과 교육 및 대외협력 분야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 선언 ( 3월 ) 으로 교육 및 워크숍이 전면 연기 혹은 취소됨에 따라 관련 추진계획 및 예산을 전면 재수정하였다. 이에 그간 예산 및 인력 부족으로 보류하였던 교육 인프라 개선, 신규 콘텐츠 개발 등에 관한 과업을 신규 과업으로 설정하고 추진하였다. 당초 계획이었던 3S 훈련프로그램, 내부자위협 워크숍에 대한 교육 개최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개최일자는 차년도 ( 6월 )로 연기되었다. 또한, ASEAN 맞춤형 핵감식 훈련과정 개발을 위해 ASEAN의 핵감식 역량과 훈련과정에 대한 수요 파악을 위한 워크숍을 개최하였으며 IAEA 국가핵안보교육훈련센터 설립지침서를 검토하고 INSA운영체제와의 상호비교를 통해 개선안을 도출함으로써 INSA 운영체제를 점검하였다. 원자력안전규제 인력양성을 위한 현장실습 교육과정을 기획하고 관련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개최하였다. 또한, INSA 교안의 품질 제고를 위해 교육 교재 현행화 및 양식 표준화 사업을 수행하였으며 국제 유관기관의 전문가 협력을 통한 사이버보안 실습 프로그램 기획을 추진하였다. 교육 인프라 고도화를 위해 온라인 교육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HTML5 기반 온라인교육 이러닝 콘텐츠를 개발하였으며 품질경영시스템 ( ISO 9001 : 2015 ) 인증을 유지하고 교육 분야 특화 국제표준인증 ( ISO 21001 : 2018 ) 추가 취득을 위한 계획안을 수립하였다. 또한, 교수요원 역량강화 및 전문지식 함양을 위한 교수 역량강화 계획 ( 안 ) 을 수립하고 세미나를 추진하였으며 INSA 멀티미디어실 및 실습실과 전산자원 ( PC, 시뮬레이터 등 ) 을 확장·확보하였다.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신동훈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핵비확산;핵안보;국제교육;핵안보교육훈련센터;교육 기획/운영;인프라 개선; 2. Nuclear Nonproliferation;Nuclear Security;International Training;INSA;Training Planning/Management;Infrastructure Improvement;
  • 11547

    2021.01.31

    □ 연구개요 - 희귀 동위원소 빔을 이용한 알파 입자 산란 실험 측정 결과를 이용, 18Ne+α 시스템을 직접 분석하였음. - 22Mg 불안정 원자핵의 높은 에너지 영역대에 대한 에너지 레벨 정보를 제시하였음. -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 원자핵 내부의 알파 클러스터 구조 및 핵반응률 획득에 응용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차년도 연구 수행을 통해, 당해연도 연구목표를 모두 달성하였음.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음. - thick target에서의 reaction vertex 역추적. - 18Ne(α,α)18Ne 의 미분 산란 단면적 획득. - 22Mg 원자핵의 여기함수 획득. - SAMMY8 code를 이용하여 R-matrix 계산 수행. - 실험 데이터와의 fitting을 통해 22Mg 원자핵의 resonance parameter 획득. - 22Mg 원자핵의 Ex > 13 MeV 영역에 대하여 최초로 에너지 레벨 정보를 제시.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18Ne+α 시스템의 직접 측정을 통한 22Mg 불안정 원자핵의 에너지 레벨 특성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세계 최초로 22Mg 원자핵의 높은 에너지 영역대에 대한 에너지 레벨 정보를 제시하였음. - 본 연구에서 제시한 22Mg 원자핵의 에너지 레벨 정보를 이용하여 shell model calculation 및 다양한 알파 클러스터 모델과 같은 이론 계산에서 예측하는 에너지 레벨의 존재 여부를 규명할 뿐 아니라, 모델의 수정 및 보완하는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에너지 레벨 정보를 바탕으로 18Ne(α,p)21Na 핵반응률의 upper limit을 제시하면, 추가 실험에 활용할 뿐 아니라 HCNO-cycle break out reaction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차수미
    • 주관연구기관 : 성균관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핵천체물리;양성자과잉핵종;핵반응률;희귀동위원소;알파클러스터구조; 2. R-matrix;22Mg;
  • 11546

    2021.02.28

    연구개요 □ 질화붕소 나노시트/금속 하이브리드 소재를 이용한 복합방사선 차폐기술 개발 - 2차원 질화붕소 나노시트 (BNNS, boron nitride nanosheet) 기반 복합방사선 (중성자/감마선) 차폐 가능 고분자 나노복합소재 원천기술 개발 - 하이브리드 나노소재가 균일 분산된 중성자/감마선 동시 차폐 및 기계적/열적 물성 향상 다기능성 고분자 나노복합체 개발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1차년도: 방사선 차폐용 2차원 질화붕소 기반 하이브리드 나노소재 제조 기술 개발 - BNNS 제조를 위한 볼밀링 공정 최적화 (크기: 1.5-2 um, 두께: 3 nm 이하) - BNNS-금속나노입자 하이브리드 나노소재 합성기술 최적화 (텅스텐 나노입자 크기: 15-30 nm) - BNNS-금속나노입자 간 계면 젖음성 문제개선을 위한 표면개질 공정 최적화 - 방사선 차폐용 고분자 수지 선정: 폴리에틸렌 ○ 2차년도: 복합방사선 차폐용 하이브리드 나노소재의 고분자 기지 균일 분산 기술 개발 - 복합체 제조용 다기능성 하이브리드 나노소재 분산기술 확보 (7일 후 60% 이상 분산성 유지) - 하이브리드 나노소재 적용 복합방사선 고분자 차폐 소재 제조기술 최적화 - 고분자 기지 복합방사선 차폐 소재의 기계적 특성 평가 (f-W-BNNS/PE 복합재료: 0.268 GPa(탄성계수), 13.5 MPa(항복강도)) ○ 3차년도: 고분자 기지 복합방사선 차폐 소재의 차폐 성능 평가 및 최적화 - 복합방사선 차폐 특성 시험 평가 방법 선정: 중성자 및 감마선 차폐능 평가 (f-W-BNNS/PE 복합재료: 0.306 (중성자 차폐), 0.093 cm2/g (감마선 질량감쇠계수)) - 차폐물질 함량, 두께에 따른 내방사선 특성 평가 및 해석 - 복합 방사선 차폐용 고분자 나노복합체 성능 향상을 위한 최적화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현장적용 방안 (일반환경 및 사고환경):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되는 BNNS/금속 하이브리드 나노소재가 함유된 고분자 복합방사선 차폐재는 중성자와 감마선을 동시에 차폐할 수 있고, 높은 열전도 특성과 구조적 안정성으로 일반 방사성 환경 및 원전 사고 발생 시 개인 및 시설방호에 적용할 수 있음. □ 원자력산업의 안전성 및 신뢰성 확보: 방사선을 효과적으로 차폐하고, 동시에 물성이 크게 향상된 새로운 방사선 차폐 소재의 개발은 국가 사회적으로 원자력 및 방사선 안전성 향상을 통해 국민의 신뢰를 확보하는데 매우 중요함. □ 미래원천기술 확보: 원자력 발전을 포함하여 다양한 산업의 안전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가져올 수 있으며, 국방 분야에서의 방사선 방호, 우주항공 산업에서 전자회로 기기의 우주방사선 및 의료분야에서의 검사/치료용 방사선으로부터의 차폐재로 사용할 수 있는 소재 원천 기술 및 지적재산권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동주
    • 주관연구기관 : 충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질화붕소 나노시트;텅스텐 나노입자;하이브리드 소재;나노복합재료;방사선차폐; 2. Boron nitride nanosheet;Tungsten nanoparticle;Hydrid materials;Nanocomposites;Radiation shielding;
  • 11545

    2021.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차세대 신물질로서 태양전지 및 발광다이오드로 그 응용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OHP 물질들의 시편 제작을 통하여, 시편 상에 발생하는 새로운 구조의 표면과 그 표면상에 다양한 추가 박막 증착 (예: 정공 전송 물질, 정공 공급 물질 - 유기물, polymer 등)을 통해 발현되는 계면의 화학적/원자적 상태를 방사광을 이용한 XPS, GIXD 기법 등을 사용하여 정확히 관찰하고 그 안에 있는 물리적 의미/이해 및 응용 소자로서의 가치를 높이는 데에 그 최종 목표를 두고 있다. ○ 전체 내용 본 연구는 OHP 기반 박막의 응용 소자로서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방사광을 이용한 고해상도 측정 기법들을 활용하여 표면과 계면상의 화학적/원자적 구조 연구를 제안한다. ○ 1단계 ● 목표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Organometal halide perovskite) 시편을 다양한 기법으로 제작하고 박막 상에 발생하는 (1) 재구조화된 표면과 (2) 그 표면 위에 소자 응용을 위한 추가 박막 증착을 통해 형성된 계면의 화학적/원자적 상태 분석을 방사광 기법을 기반으로 하여 정확히 관찰하고 그 안에 있는 물리적 의미를 파악 및 이해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내용 (1) 용액 코팅 증착 및 진공 증착 기반의 OHP 박막 표면의 화학적/원자적 상태 연구 (2) AMX3 상의 다양한 물질들을 이용한 시편 형성 및 그 표면과 벌크의 화학적/원자적 상태 차이 연구 (3) 형성된 박막 표면의 후열처리에 따른 화학적/원자적 상태 변화 연구 □ 연구개발성과 차세대 신물질이라 평가받고 있는 OHP 물질들의 연구에 있어 표면 및 계면의 기초 물리적/화학적 접근은 현재 이 물질을 기반으로 한 응용 소자의 가치를 극단적으로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연구개발성과라고 할 수 있다.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본 연구를 통하여, 표면 및 계면의 화학적/원자적 상태 정보 획득을 통하여 OHP 물질내의 유기물 파트와 무기물 파트의 물리적/전기적 역할 등을 이해함으로서 하이브리드 물질의 이해를 높일 수 있어 중요하다. 그리고 얻어지는 정보들을 통하여 OHP 물질에 대한 새로운 연구 분야, 특히 기본-응용 연구가 조화를 이루고 있는 분야로 형성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이영미
    • 주관연구기관 : 포항공과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유기금속 할라이드계 혼합 페로브스카이 물질;방사광;분광 및 산란법;전자 구조;화학적 상태; 2. organometal halide hybrid perovskite;synchrotron radiation;spectroscopy and diffraction;electronic structure;chemical state;
  • 11544

    2021.05.31

    □ 연구개요 -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은 간 내 지방침작이 일어나는 만성적인 간 질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성인의 약 25%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을 겪는 것으로 예측됨. 우리나라도 서구화된 식습관, 운동 부족, 생활양식의 변화, 비만 인구 증가 등의 요인으로 인해 유병률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음. - 현재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치료는 체중 감소, 지방 축적 감소, 염증 완화 등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 감소 같은 치료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음. 따라서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치료를 위해 새로운 분자 기전 및 치료제 발굴 연구가 절실히 요구됨. - 최근 본 연구책임자는 Thrap3라는 단백질이 염증 유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수 있고, 간세포 및 대식세포에서 Thrap3가 결손된 마우스의 표현형을 관찰한 결과 대식세포의 활성화가 감소하고 지방조직 및 간 조직에서의 염증반응이 완화됨을 확인함. - 따라서 본 연구는 Thrap3 결손 마우스 연구를 통해 Thrap3가 간세포의 만성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구체적인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방간 발병에 있어 Thrap3의 생리적 기능을 규명함으로써 생체에너지 대사제어 기술구축을 최종 목표로 함. 목표 1. Thrap3에 의한 간세포 염증 조절 분자 기전 규명 목표 2. Thrap3 조절을 통한 에너지 대사 제어 및 항상성 복원 기술 구축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연구개발내용 1: Thrap3에 의한 간세포 염증 조절 기전 규명 - 간세포 특이적 Thrap3 결핍 마우스를 활용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에서 Thrap3의 역할에 대하 분석을 RNA-seq과 ATAC-seq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인슐린 신호와 면역반응에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 변화 그리고 RNA를 조절하는 인자의 발현 변화를 통해 이러한 작용을 나타냄을 확인하고 또한 에너지 대사에 중요한 AMPK 신호 경로와 autophagy 관련 유전자 발현 변화를 통해 실제 에너지 대사를 변화시킴을 확인함 ■ 연구개발내용 2: Thrap3의 선택적 발현 조절을 통한 에너지대사 제어 및 항상성 복원 기술 구축 - miR-20b가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도 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anti-miR-20b가 비알코올서 지방간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음. miR-20b가 nuclear receptor 조절을 통해 이러한 영향을 나타냄을 규명하고 있으며 논문으로 발표 준비하고 있음. - 에너지대사 제어 및 항상성 복원 물질을 찾기 위한 스크리닝 진행 결과 Vernicia fordii 추출물 VF5가 인슐린 분비 향상을 통해 항상성을 복원 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실제 마우스 모델에서 검증하여 논문을 발표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기술적 측면 -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Thrap3에 의한 새로운 염증 조절 기전을 제시할 수 있으며 에너지 대사 조절 기전을 제시 할 수 있음 또한 이를 통해 지방간 및 당뇨병과 같은 대사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여 기존 대사질환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가능성을 제시해 줄 것임 - RNA 조절과 염증, autophagy 등과 같은 에너지 대사 과정에서 Thrap3라는 새로운 연결 고리를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에서 주목하지 못했던 새로운 생체 조절 기전을 찾을 수 있는 단서를 제공 할 것이며 이러한 과정을 조절 할수 있는 새로운 물질을 탐색함으로써 기존과는 다른 방식의 치료제 개발이 가능할 것임. - 본 연구를 통해 발굴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도하는 miR-20b와 지방간 개선 효과를 지니는 anti-miR-20b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연구라고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임. miR-20b에 의해 nuclear receptor들이 특이적으로 조절된다는 연구 결과를 얻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방간 발병 기전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임. 이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발병과 진행에 miRNA가 중요함을 강조해 주는 결과로써 이 분야의 연구를 촉진 하게 될 것임. - 본 연구 결과 새롭게 발굴한 인슐린 분비 촉진 물질을 바탕으로 비만 당뇨와 같은 대사성 치료제 개발뿐만 아니라 새로운 조절 기전을 확인하기 위한 단초를 제공할 것임. - 본 연구의 최종 결과를 통해 얻어진 치료 선도 물질을 기반으로 국내외 산업체 및 제약회사와의 긴밀한 소통 및 후속연구를 통해 새로운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 물질을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경제, 산업적 측면 -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급격한 증가 추세임. 글로벌 지방간, 간경화 치료시장은 2020년 50~80억 달러로 예상됨. 향후 10년 이내에 그 규모는 5~6배 이상 급증할 것으로 예측됨. - 한국인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유병률은 25%이지만, 당뇨병 환자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유병률은 이보다 훨씬 높은 50~70% 정도임.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탐지와 진단이 어렵고 FDA 승인된 치료제가 거의 없음. 따라서 본 과제의 결과물인 anti-miR-20b와 VF5 등 신약 후보 물질은 엄청난 잠재력을 가지며 세계 신약 시장의 중요한 turning point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최장현
    • 주관연구기관 : 울산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대사질환;염증반응;에너지 항상성;비알코올성 지방간;유전자 발현; 2. Metabolic disease;Inflammatory responses;Energy homeostasis;Non-alcoholic fatty liver;Gene expression;
  • 11543

    2020.12.31

    본 연구는 원전 해체 작업 시 필요한 원전 해체 작업복 및 차폐막 등에 적용할 수 있도록 경량화 및 유연성을 갖는 나노 금속과 고분자 차폐 소재를 개발하였고 기존 제품 대비 15% 이상의 차폐율 성능이 향상된 차폐소재에 대한 설계, 생산, 인증 평가를 완료하였음. 원전 해체 공정 및 작업별 분석을 통해서 필요한 차폐 재료와 성능 기준을 제시하였고, 다양한 크기의 텅스텐-비스무트 중량비, 혼합비별 해석을 통하여 기존 소재 대비최적화 소재 비율을 제시하였고, 감마선 피폭 소재와 섬유 융착 시편을 통해서 방사선 조사 및 섬유 영향도 분석 및 최종 차폐 작업복에 대한 내구성 및 기계적 물성 평가와 방사선 차폐 평가 수행하였고 실제 원전에서 사용 평가 실험 수행 및 개발 제품을 일본 후쿠시마 원전에 수출 완료함. 본 연구를 통해서 원천특허기술 (국내특허출원 8건, 국외특허출원 2건, 국내특허등록 2건)을 확보함. (출처 : 보고서 요약서 4p)
    • 연구책임자 : 이승엽
    • 주관연구기관 : 서강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100
    • Keyword : 1. 방사선 차폐소재;원전 해체;차폐 해석;설계 최적화;고분자 복합재; 2. Radiation Shielding Material;Nuclear Decommissioning;Shielding Analysis;Design Optimization;Polymer Composite;
  • 11542

    2021.01.31

    ○ 해방풍의 발아, 수경재배 시스템, 환경조건, 전용양액 재배 포로토콜 확립 ○ 해방풍의 육묘 및 재배 시스템 제작 ○ 순환 배양액 살균기술 확립 및 살균시스템 최적화 ○ 인공지능을 활용한 해방풍의 생육 변화 예측 ○ 양액 내 개별 이온 균형 제어시스템, 양액 내 조성 변화 모니터링 기술 확보 ○ 센서 드리프트 보정이 가능한 이온 모니터링 알고리즘 제작 (출처 : 요약서 3p)
    • 연구책임자 : 오명민
    • 주관연구기관 : 충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200
    • Keyword : 1. 약용작물;식물공장;고부가가치;대량생산;환경조절; 2. Medicinal plant;Plant factory;High-value added;Mass production;Environment control;
  • 11541

    2021.05.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이상민
    • 주관연구기관 : 경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600
    • Keyword : 1. 쇼그렌증후군;타액선;방사선치료;당단백질; 2. Sjogrens syndrome;Salivary gland;Radiation therapy;Aquaporin 5;O-GlcNAc;
  • 11540

    2021.02.28

    연구개요 · Boron nitride nanotube (BNNT)의 내·외부에 수소를 저장/흡착시킨 Radiation shielding exotic materials (RSEM)의 개발 및 고분자 수지와 복합화한 섬유기반 방사선 차폐소재를 개발 하고자 함. 최종적으로 제조된 섬유기반 방사선 차폐소재 복합재료 표면에 방사선 차폐금속을 코팅하여 X선, 감마선, 중성자에 대한 total 차단성을 가지면서 방사선 차폐 효율을 극대화 시킨 웨어러블 방사선 차폐용 복합소재를 개발 하고자 함. · 연구 개발 목표치: 중성자 차폐성(Absorption Coefficient):≥1.7 mm-1, BNNT 수소 함유량: ≥4.5 wt%, 인장강도: ≥10 MPa (LDPE 기준)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end-tip 오픈구조를 갖는 O-BNNT표면에 Ni-V 이종금속 thin layer를 표면에 형성한 후 1bar하에서 수소충진 실험을 진행하여 약 4.61%의 수소함유율을 갖는 H-rich BNNT 하이브리드 소재를 개발함. (연구 개발 목표→수소함유량 >4.5 wt%) · 용융전기방사공정을 통해 BNNT-g-PE 또는 BNNT;Ni-V가 모제인 LDPE 중량비 대비 10 wt%의 고함량으로 충진된 PE 복합소재 나노섬유매트를 제작하는 공정을 확보하였으며 Raw LDPE 나노섬유 매트와 비교하여 약 57%향상된 26.7 MPa의 인장강도를 갖는 BNNT;Ni-V/LDPE 복합소재 나노섬유매트를 개발함. (연구개발 목표→인자강도: > 10 MPa) · 용융전기방사공정을 통해 BNNT;Ni-V/LDPE 복합소재 나노섬유 매트를 제작 하였으며 해당 소재의 열중성자 차폐특성 확인 결과 약 0.9 mm-1의 열중성자 감쇠계수 값을 갖는 방사선 차폐소재를 개발함. 또한 압축공정을 통해 1.57mm-1의 열중성자 감쇠 계수값을 갖는 BNNT;Ni-V-g-PE/LDPE 필름를 개발함. (연구개발 목표→중성자 차폐성: > 1.7 mm-1)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본 과제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Total solution형 웨어러블 방사선 차폐용 복합 소재” 는 원천 특허 및 기술 확보의 가능성이 매우 큰 신규 소재로 지속적 발전 및 활용이 필요한 원자력 발전에 대한 두려움과 거부감을 해소할 수 있는 안정성을 확보하고 유사시 즉각적으로 국민을 보호할 수 있는 개인 방사선 방호복 및 텐트를 제공할 수 있는 제품의 제조에 관한 핵심 기술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됨. · BNNT기반의 RSEM 제조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차폐용 섬유 기반 복합소재를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는 현재 시작 단계로서 소재 제조 및 응용에 관한 원천기술의 확보가 용이하여 본 연구를 통해 방사선 차폐 소재 분야에서 새로운 연구의 패러다임을 이끌어 갈수 있는 기술을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또한, 개발된 웨어러블 방사선 차폐 고분자 복합소재는 다가오는 우주시대의 가장 큰 문제점인 우주 방사선인 중성자와 이차중성자를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어서 우주·항공 소재 분야에서 소재 관련 핵심 기술을 확보하여 기술적 우위를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고려되며 이를 통해 우주 강국으로서 국가적 위상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박옥경
    • 주관연구기관 : 전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10300
    • Keyword : 1. 방사선 차폐;폴리에틸렌 섬유;보론나이트라이드 나노튜브;복합소재;직물소재; 2. Radiation shielding;Polyethylene fiber;Boron nitride nanotube;Composite materials;Fabric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