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9 Page 23/1,246

검색
  • 12239

    2023.01.31

    Ⅳ. 연구개발결과의 기대효과 1. 현재 난치성 폐암의 예후는 매우 불량하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표준 치료인 세포 독성 항암 치료보다 우월한 치료법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면, 치료 성적의 향상으로 인한 경제적 효과뿐만 아니라 부작용 감소에 따른 치료비용의 절감, 삶의 질 향상에 따른 비용 효과 등 사회 경제적으로 큰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유방암 환자의 치료에 가능한 원천물질 발굴 및 작용 기전 규명을 통하여 새로운 신약개발의 기초자료 data를 얻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기관으로는 특허 출원 등이 가능하며, 타 장기 암으로의 연구 확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 폐경 전 유방암 환자 연구 및 2차암 예후 연구를 통하여는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따른 치료방향 결정을 위한 임상 연구의 기초자료 마련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4. 전임상 시험모델로서 3D 오가노이드 배양 기반 플랫폼은, 약물 스크리닝, 환자 오가노이드 바이오뱅킹과 이를 기반으로 한 환자별 맞춤형 약물 스크리닝, 환자의 생명 정보 분석과 연계한 정밀의학의 플랫폼, 유전체 교정 기술과 연계한 재생 의학 분야의 적용 가능하다. 5.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유전체-임상정보 통합 플랫폼을 통한 방사선 치료분야의 정밀의료 프로토콜을 확립하고 임상연구기반 강화 및 치료효과 증진에 이바지한다. 6. 기존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오가노이드 기반 비임상 연구기반을 확립하여 약물 및 방사선 치료 분야 연구를 활성화하고 방사선 민감성 조절관련 신규약물들을 발굴하여 신약개발 및 유효성 검증 패널을 개발한다. 7. 환자 유래 암 오가노이드 바이오뱅크 구축 및 이를 바탕으로 한 대내외 연구기관과의 협력 연구를 활성화하여 새로운 사업 모델의 발굴하고 협력연구를 활성화한다. 8. 난치성 암종의 세포 내 신호 전달 인자 및 관련 변화 분석을 통한 방사선 치료 효율을 증진시킨다. 9. 방사선의학연구에 특화된 인체자원 인프라 구축으로 방사선의학 기초 및 임상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한다. 10. 암의학 관련 분야의 연구에 지원함으로써 신약개발, 정밀의료 등 차세대 보건의료연구의 발전에 기여한다. 11. 연구자 니즈를 충족한 인체자원의 체계적 수집을 통해 인체자원 활용도 제고 12. KOLAS 공인생물자원은행 인정 유지를 통한 인체자원 질 향상과 고객 만족 기여 13. 인체자원 분양을 통한 국내 바이오산업 경쟁력 제고 (출처 : 요약문 7p)
    • 연구책임자 : 송강현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30200
    • Keyword : 1. 방사선의학;임상시험;오가노이드;방사선치료;유방암;정밀의료;표적 항암제;유전체분석;바이오뱅크;인체자원;육종;바이오마커;알파핵종; 2. Radiology;Clinical Precision Medicine;Organoid;Investigator-Initiated Trial;Clinical Research;Bio-marker;Breast Cancer;Genomics;Biobank;Human biospecimen;
  • 12238

    2023.01.31

    Ⅳ. 연구개발결과 ○ 공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바이오마커 후보의 전사체 분석 ○ 바이오마커 후보의 전사체 분석을 통해 활용 가능한 화합물 발굴 및 평가 ○ 동물모델에서 방사선보호제 후보물질의 개체수준 유효성 평가 ○ 방사선보호제 후보물질의 작용기전 확인 ○ 혈액 분리칩과 후보물질 감지칩이 통합된 진단키트 개발 ○ 암 진단·치료용 후보인자 패널 탐지 바이오칩 기술의 유효성 평가 ○ 후보물질 정밀 탐지를 위한 전기화학적 시료(바이오마커-프로브) 반응 분석용 소프트웨어 구축 ○ 후보물질 정밀 탐지 시료 반응 정량화 및 최적화 ○ 혈액생검 분석 키트(카트리지) 전용 리더 장치 시작품 제작 ○ 혈액분리 바이오칩 시작품 제작 ○ 혈액분리 바이오칩에서 혈구 계측 효율 측정을 위한 백혈구 염색법 구축 ○ 신규 방사선 바이오마커의 암 진단 및 치료 세포 내 유효성 평가 ○ 신규 방사선 바이오마커의 암 진단용 압타머 개발 및 최적화 ○ 바이오마커의 압타머 활용 암 진단 및 치료용 바이오키트 시작품 개발 ○ 암 진단 및 방사선치료 예후 예측용 신규 바이오마커 HRP-3의 생물학적 유효성 평가 완료 ○ 신규 바이오마커 HRP-3 활용 진단용 바이오키트 제작을 위한 압타머 최적화 실시 완료 ○ HRP-3 바이오마커 및 압타머 이용한 바이오키트 시작품 1종 개발 및 제작 완료 ○ HRP-3 압타머쌍을 이용한 진단용 바이오키트 시작품 사용 최적 프로토콜을 완성 ○ 딥러닝 기반 방사선 반응 조절 인자 탐색 생명정보공학 소프트웨어 개발 ○ 내방사선 기능 구현을 통한 방사선 환경 적합 IoT 커넥터 성능 개선 및 시제품 제작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안지연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30200
    • Keyword : 1. 방사선의공학;바이오칩;바이오키트;바이오마커;플랫폼;IoT커넥터; 2. Radiation medical engineering;Bio-chip;Bio-kit;Bio-marker;platform;IoT connector;
  • 12237

    2023.02.28

    □ 연구개요 ● NFAT5(Nuclear factor of activated T cells 5)는 Ton EBP라고도 알려져 있는 전사인자로, 최근에는 염증반응의 유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보고들이 발표되고 있음. 본 연구자는 신손상을 유도하는 동물 모델의 사구체에서 NFAT5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NFAT5가 다양한 사구체 질환의 발생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가정하였음. 현재까지 관련 보고가 없는 바, NFAT5가 사구체 질환의 치료법 개발에 새로운 표적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함. ● 한편, Nano particle은 합성된 물성에 따라 조직-특이적인 전달이 가능하고, 특히, 신장 질환의 치료법으로써 매우 유용한 약물 전달체계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번 과제를 통하여, 사구체 내 NFTA5 제어를 목표로 신약후보 물질 발굴 및 Nano particle 합성을 통한 신장-선택적 약물 전달의 원천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DOCA/salt-induced hypertensive mouse, Col4a3-/- mouse, I/R injury model, Unilateral ureteral obstruction model 등의 신장질환 모델을 확립하였으며, NFAT5의 발현을 확인함. ● Pdgfrb-CreERT2, Yap flox, Taz flox, Lats1/2 flox, Rpl22-HA, Cx3cr1gfp/gfp, Col4a3-/- 등의 Mouse를 Jackson Lab.에서 구입하여, 가설검증에 필요한 분자생물학적인 준비를 완료함. ● Loss-of-function study로써, Cx3cr1+/gfp vs. Cx3cr1gfp/gfp mouse에서의 급성기 Phenotype에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규명하여, I/R injury mouse model의 급성기 손상에 있어 Cx3cr1 유전자의 역할이 중요함을 발견함. ● Nanomicelle의 일종인 Hydrophobically-modified glycol chitosan (HGC)을 이용하여 신장-특이적 약물 전달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Col4a3-/- mouse에서 치료적 효과를 확인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NFAT5를 표적으로 하는 신장 질환 치료법은 연구된 바가 전무하기 때문에, 본연구가 진행되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수많은 후속 연구들이 파생되어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신약개발과정에서 발생하는 특허 비용이 국외로 유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NFAT5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제는 현재까지 연구된 바가 없으므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신약개발을 위한 원천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궁극적으로 국가 경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Nano particle을 약물 전달체로 이용하여 의약품으로 개발한다면 임상으로의 실용화가 상대적으로 용이할 것으로 기대되므로, 본 연구과제의 성과가 단지 기초연구에 그치지 않고 사업화를 통해 수익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됨. 또한, 본연구에 사용된 모델을 이용하거나 추가 개발하여 다른 유전자와 약재 관련된 연구 및 다른 장기의 질환 연구에 응용할 수 있어 다른 후속 연구로 다양하게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만성 신질환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함께 더 가속화 될 것으로 생각됨. 본 연구과제 성과에 기반한 치료기술의 개발을 통해 만성 신질환 치료의 새로운 장을 열어, 국민보건복지 수준의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서상헌
    • 주관연구기관 : 전남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사구체;신장질환;신약개발;나노 입자; 2. NFAT5;Glomerulus;Kidney disease;Drug discovery;Nano particle;
  • 12236

    2022.12.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박유수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30100
    • Keyword : 1. 첨단재생의료;세포처리시설;자연살상세포;항암면역세포ᆞ유전자치료;전임상연구;임상연구;방사선; 2. Advanced regenerative medicine;Cell processing facility;Natural killer cells;Anti-cancer immune cell and gene therapy;Pre-clinical study;Clinical study;Radiation;
  • 12235

    2022.12.31

    비공개항목입니다.
    • 연구책임자 : 최원호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 발행년도 : 20230100
    • Keyword :
  • 12234

    2023.05.31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방사선 식도염 환자에서 추출한 상피조직을 이용하여 생체모사체를 대량 배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방사선 식도염 치료제로 개발하는것 ◼ 전체 내용 식도 생체모사체 배양 기술확립 식도 생체모사체의 치료 효과 검증 및 치료기전 확립 식도 생체모사체의 치료 효과의 최적화 및 치료 프로토콜 확립 ◼ 1단계 ❏ 목표 식도 생체모사체 확립 및 치료 효과의 검증 ❏ 내용 방사선 식도염 치료 효과 검증을 위한 식도 생체모사체 대량 배양 조건 확립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본 제안과제로 확립한 기반 기술을 임상시험 단계로 진입시켜 방사선 식도염 치료제를 개발에 활용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김미선
    • 주관연구기관 : 연세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600
    • Keyword : 1. 식도 생체모사체;식도 줄기세포;방사선 식도염;세포치료제;질병 모델링; 2. Organoid;Esophageal stem cells;Radiation esophagitis;Cell therapy;Disease modeling;
  • 12233

    2023.02.28

    연구개요 언둘레이터(undulator)는 방사광가속기에서 방사광을 발생시키기위해 사용된다. 언둘레이터의 길이를 줄이기위한 여러 마이크로 언둘레이터들 중 플라즈마 언둘레이터에 대해 연구하였다. 최근 연구들은 레이저를 이용한 플라즈마 언둘레이터였으나, 본 과제에서는 전자빔을 이용하여 EUV용 플라즈마 언둘레이터를 위한 플라즈마 설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2개의 전자빔을 이용하여 앞서가는 전자빔(드라이버)은 플라즈마 언둘레이터를 생성하고, 따라오는 전자빔(삽입 전자빔)은 방사광을 만드는 것에 참여한다. 20 nm의 방사광을 만들기 위해 1018cm-3 의 플라즈마 밀도에서 400 MeV의 드라이버와 삽입전자빔이 필요하리라 예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빔과 플라즈마간 상호작용을 계산하였고 전자빔의 synchrotron 움직임으로부터 발생하는 방사광을 계산하는, 크게 2가지의 서로 다른 계산 알고리즘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또한 실제 플라즈마를 생성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진행하여 전자빔 플라즈마 상호작용 계산을 위해 particle-in-cell (PIC) 코드를 이용하되 수치오류가 없는 field 계산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전자빔의 움직임으로 발생되는 방사광은 Lienard-Wiechert Potential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실제 플라즈마 채널을 발생하기위한 가스 capillary를 개발, 이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가속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PIC 시물레이션에서 얻은 전자빔의 궤적으로부터 synchrotron radiation 계산을 하였다. 실제로 얻은 파라미터는 200 MeV, 100 MeV의 전자빔 에너지와 1017cm-3 의 플라즈마 밀도였고 이는 초기 예상했던 수치와는 많이 낮은 것들이었다. 또한 전자빔의 길이는 수 마이크로미터로 좁아야했으며 전자빔의 에너지 분산이 예상과 다르게 큰 편이었다. 이는 드라이버 전자빔의 에너지 손실에 큰 영향을 줘 수십 cm의 긴 언둘레이터 플라즈마로를 만들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초기에 기대하였던 FEL 효과는 에너지 분산이 커짐에 따라 EUV를 목표로하기에는 어려운 조건이었다. 본 연구과제를 통해 PIC에서의 field 알고리즘 개발, PIC 결과를 그대로 이용하여 synchrotron radiation 모듈등을 PIC 코드에 삽입하였다. 개발된 코드는 github를 통해 공개하였다. (https://github.com/scienter/jopic.git) 플라즈마 언둘레이터를 구현하기위한 일체형 가스 capillary를 개발 실험에 응용하였고 전자빔 가속, 방전 플라즈마 실험 등을 통해 개발된 capillary가 유용함을 보였다.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플라즈마 언둘레이터 주제는 아직 연구단계이며 극복해야할 주제임이 분명하지만 수미터의 언둘레이터길이를 100분의 1수준으로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기에 그 효과는 상당하리라 생각된다. 본 과제를 통해 개발한 플라즈마 소스와 시물레이터는 관련 연구의 기초를 닦았다는 점에 기여를 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공동연구를 통해 박사과정 학생 3명, 박사후연구원 2명 등 관련 전문 연구원들 육성에도 기여하였다. 본 과제에서 개발한 플라즈마 소스는 IBS 초강력레이저 연구단에서 수행하고 있는 플라즈마 가속 소스에 기여할 수 있어 추가적으로 공동 실험을 추진중에 있다. 특히 플라즈마 소스를 이용한 플라즈마 렌즈 응용 실험은 포항가속기연구소의 eLabs 시설에서 기획되고 있으며 본 과제를 통해 마련한 실험 챔버를 이용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EUV용 플라즈마 언둘레이터를 목표로한 본 과제에서 FEL특성을 보여주지는 못하였다. 이는 EUV가 아닌 THz 영역에서 오히려 가능한 주제가 아닐까 본 과제를 수행하면서 판단되었다. 플라즈마 언둘레이터에서 발생되는 전자빔 에너지 분산 증가 이슈는 짧은 파장의 FEL에는 부족한 것으로 결론지었다. 향후 THz에서의 플라즈마 언둘레이터 연구를 이어서 진행할 예정이다.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조명훈
    • 주관연구기관 : 포항공과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300
    • Keyword : 1. 플라즈마;언둘레이터;플라즈마 렌즈;전자가속; 2. plasma;undulator;plasma lens;electron accelerator;
  • 12232

    2022.12.31

    Ⅳ. 연구개발결과 1. 저선량 방사선 생체 영향, 선량률의 역할 규명 연구 및 다양한 실험동물 연구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시설 유지 및 지원 2. 동물실험 윤리위원회 개최를 원활하게 지원함 3. 실험동물위령제 개최를 지원함 (출처 : 요약문 3p)
    • 연구책임자 : 이창근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30100
    • Keyword : 1. 저선량 방사선;저선량률 방사선;실험동물;동물실험 윤리위원회; 2. low-dose rdaition;low-dose rate radiation;experimental animal;IACUC;3R;LMO;
  • 12231

    2022.12.31

    Ⅳ. 연구개발결과 ⦁ 9 MeV 가속기와 세부시스템들을 통합한 원격제어, 모니터링 및 구동 플랫폼을 구현하였음. 기존의 6 MeV 가속기와 달리 반도체 펄스전원장치를 기반으로 전용 제어 및 구동 프로그램 구현과 특화된 인터락 및 안전장치와 연계하여 방사선 안전관리하에 가동하도록 구축하여 해당 신규 개발 전자가속기 KINS 사용허가를 획득하였음. 전자빔 조사장치로 사용중인 6 MeV 가속기의 성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부품 수리, 교체, 재보정을 수행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함. ⦁ 연구용 가속기의 전자빔을 이용해서 동물 및 세포 실험용 조사장치로 활용하기 위해 선원-표면 거리에 따른 전자선 어플리케이터 설계 및 제작하였으며 마커스 챔버를 이용한 고선량률 전자빔 선량 측정 기술 연구하였음. ⦁ 전자총의 빔전류 및 빔형태 제어방법 연구하여 전자가속기의 핵심부품 확보 및 가속기 빔의 성질을 향상시키고자 함. 따라서 고출력 전자총 특성 연구를 위한 테스트 시스템 구현 및 국내에서 생산한 캐소드를 사용한 실시간 빔출력 제어 타입의 전자총 개발하였음.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임희진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30100
    • Keyword : 1. 방사선치료기;제어시스템;인터락;전자총;조사장치; 2. Radiation Therapy machine;Control system;Interlock;Electron-gun;Irradiator;
  • 12230

    2022.12.31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필요에 따라 제목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안구 림프종 방사선 치료 시 3D 프린터를 이용한 수정체 차폐의 유용성 검증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필요에 따라 제목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1. 금속 3D 프린터 물질 조사 및 특성 연구 - 몬테카를로 전산모사를 위한 전자선 가속기 모델링 및 빔 매칭 - 몬테카를로 전산모사를 이용한 후보 물질의 차폐성능 평가 2. 3D 프린팅 차폐체 제작 및 차폐성능 평가 - 전산모사 데이터와 실측 데이터 비교를 통한 차폐 적정성 평가 - 3D 프린팅 차폐체의 모양 재현성 및 선량 특성 평가 - 3D 프린팅 차폐체의 차폐성능 비교 3. 맞춤형 차폐체 제작 및 방사선 치료에 적용 - 전자선 치료 시 3D 프린팅 수정체 차폐체와 기존 수정체 차폐체 사용에 따른 안구 주변 선량 분포와 비교 분석 -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수정체 차폐 유용성 평가 Ⅳ. 연구개발결과 (필요에 따라 제목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1. 금속 3D 프린팅 차폐체 제작 2. 고에너지 전자선 차폐효율 검증 3. 금속 3D 프린팅 기반의 수정체 차폐체 제작 및 검증 Ⅴ.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필요에 따라 제목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1. 3D 프린터를 활용한 전자선 차폐체는 기존 전자선 차폐체와 비교하여 차폐성능 및 선량분포의 큰 차이가 없다면 안구 림프종 방사선 치료에 적극적으로 활용 가능함. 2.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차폐체 물질 및 제작공정의 가이드 라인을 제시. 3. 환자 맞춤형 차폐체를 이용하여 방사선에 민감한 수정체 및 안와 주변의 정상조직을 보호하면서 정확한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문영민
    • 주관연구기관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발행년도 : 20230100
    • Keyword : 1. 방사선치료;방사선 차폐;금속 3D 프린터;고에너지 전자선;원발성 안와 림프종; 2. Radiation theraphy;radiation sheilding;metal 3D printer;high energy electron;Primary Intraocular Lympho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