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거짓쌀도둑거저리 ERR에 의한 선천면역 조절 기전을 통한 다른 곤충에 해가 없는 거짓쌀도둑거저리 선택적 방제에 대한 가능성 검증 ◼ 전체 내용 거짓쌀도둑거저리 ERR을 확보하고, 거짓쌀도둑거저리 선천면역에서의 ERR의 기능 및 조절 기전 규명 ◼ 1단계 ❏ 목표 거짓쌀도둑거저리 ERR에 의한 선천면역 조절 규명 및 방제 가능성 검증 ❏ 내용 - ERR의 구조 및 특성 분석 - 발달 단계 및 조직별로 ERR 및 AMPs mRNA 발현 분석 - ERR knockdown을 통한 타겟 AMPs 유전자 발굴 및 Promoter assay를 통한 타겟 AMPs 유전자 발현 조절 분석 - 박테리아 감염 후 시간대별 ERR 및 AMPs 유전자 발현 변화 분석 - 선천면역 경로를 통한 ERR 발현 조절 기전 분석 - ERR 유전자 knockdown 하여 박테리아 감염 후 거짓쌀도둑거저리 생존율 및 체내의 박테리아 수 분석 □ 연구개발성과 곤충은 많은 병원체에 노출된 생활 환경에서 서식하며, 적응면역의 부재로 선천면역이 매우 생존에 중요함. 본 연구에서는 해충인 거짓쌀도둑거저리에서 핵수용체인 ERR을 확보하였으며, E. coli 감염 시 선천면역 경로인 IMD 신호 경로를 통해 조절되는 것을 확인하였음. 또한, 선천면역의 핵심인 AMP 유전자의 전사조절인자임을 규명하였음. 추가로, E. coli 감염 시 ERR의 부족은 AMP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체내의 E.coli 수가 증가하여 거짓쌀도둑거저리의 생존률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음. 이러한 결과는 ERR에 의한 해충 거짓쌀도둑거저리의 선천면역 조절은 새로운 살충제 개발에 원천 기술을 제공할 수 있음.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현재 농업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살충제들은 환경오염, 저항성, 독성 및 이로운 곤충까지 죽이는 등 여러 단점을 가지고 있음. 그러므로 핵수용체에 의한 해충 선천면역 조절 기전을 규명하고 이를 조절하는 물질을 발굴한다면 현재 살충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해충 방제의 원천 기술 확보할 수 있음. - 현재 살충제 저항성으로 인해 해충 방제 효과가 줄어들어 피해가 심각하며 그로 인해 해충 방제에 관한 연구는 매우 필요한 실정임. 또한, 세계 해충 방제 시장 규모 또한 꾸준히 성장하고 있음. 따라서 해충 핵수용체에 의한 선천면역 조절 연구가 성공적으로 수행될 경우 국내 핵수용체 기반 살충제 원천 기술 연구 및 개발 활성화를 유도하며, 세계 해충 방제 시장에서 우위 선점이 가능함. (출처 :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최병윤
- 주관연구기관 : 전남대학교
- 발행년도 : 20230600
- Keyword : 1. 핵수용체;선천면역;향균 펩타이드;유전자발현조절;거짓쌀도둑거저리; 2. Nuclear receptor;Innate immunity;Antimicrobial peptide;Gene regulation;Tribolium castane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