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12,459 Page 98/1,246

검색
  • 11489

    2020.05.31

    □연구개요 나비목의 대표적 미소나방그룹이자 가장 큰 상과인 뿔나방상과(Lepidoptera: Gelechioidea)는 분류·생태학적으로 연구가 시급한 범세계적 광식성 해충과 경제적으로 중요한 다수의 농업 및 검역해충을 포함하는 분류군으로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연구는 주로 소수의 연구진에 의해 유럽과 북미지역(구북구 유럽 역과 신북구)을 중심으로 종 다양성과 계통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전체 아시아지역 (구북구 아시아, 오리엔탈)의 뿔나방상과에 대한 종 다양성 발굴을 기반으로 범세계적인 샘플링을 근거로 한 계통학적 연구를 진행였다. 이를 통해 뿔나방상과 내 미개척 과에 대한 종 다양성을 밝히고, 외부 형태·형질과 분자마커(DNA)를 기반으로 한 계통수를 도출하여 뿔나방상과 분류군간의 명확한 계통관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특히, 다양하고 특이한 먹이기질(식식성, 부식성, 균식성과 육식성)과 이에 따른 다양한 서식지를 가진 그룹간의 진화론적 경로를 밝혀, 뿔나방상과의 기원과 그 진화사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뿔나방상과 내 구성 집단(미개척분류군 중심)에 대한 종 다양성 연구 - 국내·외 조사 및 표본대여를 통해 뿔나방상과그룹의 기록이 미진하였던 구북구아시아, 오리엔탈 지역과 호주구와 아프리카열대구에서의 새로운 종을 발굴하여 분류학적 정리 및 각각의 개체에 대한 분자생물정보인 DNA 확보하였다. 확보된 DNA를 기반, 형태분류종과 분자종결정진단법(ABGD, PTP, bPTP)를 통해 얻은 MOTUs를 비교·분석하여 다수의 Cryptic species를 발굴하였고, 뿔나방상과 내 종(species)를 결정할 종 내 최대값의 임계값(threshould value)을 2.5%로 정립하였다. 상과(superfmaily) 범위에서 최초로 정립된 임계값은 향후 상과 내,종 다양성을 발굴하고 연구하는데 있어 크게 활용 될 것으로 판단된다. 2. 뿔나방상과의 분자계통분석 및 생물학적 특징(먹이기질 및 서식지)에 따른 진화적 가설 정립 - 본 연구를 통해 과거 유럽과 일부 북미지역의 개체군에 국한되어있던 샘플링의 범위를 확장, 범세계적 샘플링을 기반으로 함, 분자계통수를 작성하였다. Mitochondrial genes, Nuclear genes과 Protein coding genes 그리고 전체를 포함한 계통수를 비교·분석하여 유전자별 특징을 파악하였고, 뿔나방상과에 속하는 상위분류군 23개의 과/아과에 대한 계통학적 위치가 재정립되었다. 주요 생물학적 특징인 서식처와 깊게 연관되어있는 먹이기질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화통계학적 분석(RASP, ancestral states)을 한 결과, 뿔나방상과류 조상들의 먹이기질의 조상형질은 식식성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들은 다양한 먹이기질로 진화하면서 다양한 분류군으로 분기·수렴진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상과를 구성하는 분류군별 먹이기질의 조상형질이 파악되어 주요 생물학적 특징이자 서식지와 깊게 연관되어있는 먹이기질에 대한 진화사가 파악되었다. 3. 분자시계기법(Molecular dating)을 활용한 뿔나방상과 분류군의 다윈론적 진화론에 입각한 분화시기 추적 - 본 연구를 위해 5천5백만년~2천3백6십만년 연대로 추정되는 발틱 화석(baltic amber)과 4천만년~1천오백만년 연대로 추정되는 도미니칸 화석(dominican amber)의 데이타를 기반, 분자시계분석법(molecular dating)이 이용하여 과거 뿔나방상과 조상들이 분기가 시작된 연대를 추적하였다. 그 결과, 뿔나방상과의 분화가 시작된 때는 지금으로부터 약1억67만년 전인 중생대 쥐라기시대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주요 분류군들의 분기시점은 속씨식물(angiosperm)의 폭발적 방사가 일어난 9천7백만 년전 이후의 후기 백악기때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중, 뿔나방과가 가장 최근에 분기가 시작된 것으로 확인되어, 이들은 에오세때 분기가 시작되어 오늘날 가장 높은 종 다양성을 보이는 것으로 유추되었다. 9천만년전, 후기 백악기때의 기후가 오늘날 주요 상과 내 분류군의 생태학적 특징과 분포에 큰 영향을 줬을 것으로 유추되었다. 그 당시의 지구는 오늘날보다 훨씬 따뜻한 기후로 극지방에 얼음이 존재하지 않는 시기로, 유라시아대륙과 아프리카, 그리고 호주대륙이 가깝게 위치했던 넓은 대륙지역으로 구성되었고 이러한 환경이 현존하는 분류 초기 분화에 가장 큰 영향을 줬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뿔나방상과 내 새로운 분류군 발굴 및 이들에 대한 분류학적 정리를 시도함으로써, 동물이명 및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아시아지역의 분포등과 같은 기초적인 정보들을 집대성하여 관련 응용분야에서 필요한 분류학적 기초자료 제공 - 뿔나방상과 내 종별, 개체별 분자생물정보(DNA) 구축 - 뿔나방상과 내 생물다양성 측정 및 생물학적 정보 구축 - 뿔나방상과 내의 분류체계 정립 - 뿔나방상과류의 조상형질에 대한 과학적 추론 - 연대기 측정을 통한 서식지의 이동과 이에 따른 먹이기질의 상관관계 이해 (출처 : 요 약 문 2p)
    • 연구책임자 : 김소라
    •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나비목;뿔나방상과;미소나방류;종 다양성;계통수;진화;분자시계분석;
  • 11488

    2020.10.31

    1. 감마선을 이용한 무기 재료의 표면 처리 - 실리카, 이모골라이트, 라포나이트 무기 재료에 감마선을 조사하여 peroxide 및 라디칼을 생성 - 표면개질에 의한 라디칼 고분자 단량체의 중합·가교화 유도 2. 무기입자-고분자 복합재료 합성을 위한 감마선 이용의 방법적 특이성 규명 - Laponite-PNIPAM 하이드로겔의 합성 방법에 따른 재료의 물성 비교 연구 - Laponite-PNIPAM 하이드로겔의 합성 방법에 따른 자가치유 특성 - 합성 방법에 따른 복합재료의 팽윤, 점탄성 특성 및 자가치유 특성 - 합성 방법에 따른 복합재료의 내부 구조 - 감마선을 이용한 단계적 합성 방법의 특징 3. 감마선에 의해 개질된 표면으로부터 박막 합성 기술 개발 - 감마선에 의해 개질된 입자로부터 고분자 중합 메커니즘 규명 - 감마선에 의해 개질된 표면으로부터 박막 제조 4. 응용 소재 개발을 위한 표면 재료 활용 연구 - 그래핀 복합체를 이용한 전자기파 흡수 및 광촉매 응용성 확보 5. 연구결과의 SCI 논문 및 학술 발표 (출처 : 보고서 요약서 4p)
    • 연구책임자 : 손대원
    • 주관연구기관 : 한양대학교
    • 발행년도 : 20201100
    • Keyword : 1. 감마선;표면개질;대면적 기판;그래프팅;중합;라디칼;바이오재료;고분자필름; 2. Gamma Ray;Surface Modification;Wide Substrate;Grafting;Polymerization;Radical;Biomaterial;Polymer Film;
  • 11487

    2020.11.30

    본 연구는 원자력안전법에 따른 원자력이용사설의 안전 운용과 원자력연구개발 과정 에서 받을 수 있는 방사선피폭에 대해 개인에게 유해한 결정적 영향의 발생을 방지하고 확률적 영향을 합리적으로 용인 될수 있는 낮은 ALARA 수준으로 제한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밀봉선원 사용시설, 방사선 발생 장치 사용시설, RI생산 연구시설 등에 대하여 방사선 작업환경감시와 방사선 작업 종사자에 대한 관리 및 연구소 주변 환경 영향평가를 수행하였다. - 방사선관리구역 내 방사선 작업환경감시는 모든 출입자의 출입관리를 포함하여 외부방사선량률, 방사성물질에 의한 표면, 공기 중 및 수중오염도와 배기 중 방사성물질의 농도를 주기적 또는 필요시 측정하여 방사선작업 환경의 방사선/능 준위를 법적 기준이하로 낮게 유지 관리함으로써 방사선안전성을 확보하였다. - 첨단방사선연구소 방사선작업자의 개인피폭선량계 판독건수 연평균 397건 이었다. 연간선량한도를 초과하여 방사선에 피폭된 종사자는 없었다. - 연구소 주변 환경 영향 평가를 위해 연평균 304건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 방사선작업종사자에 대한 방사선장해방어와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신규 및 기존 종사자를 대상으로 장해방지를 위한 교육을 실시하여 총 123명(2019년 기준)이 교육을 수료하였다. (출처 : 서지정보양식 - 초록 259p)
    • 연구책임자 : 최대성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1. 시설관리;방사선방호;첨단방사선연구소; 2. ALARA;γ-radionuclide analysis;environmental radioactivity analysis;radioactivity;meteorology;ARTI;
  • 11486

    2020.06.30

    3. 기술개발 결과요약 □ 개발내용 및 결과 - 현존하는 가장 빠른 반응속도를 갖는 유기섬광센서와 입사된 빛을 100만배 증배하는 실리콘 광증배기를 이용한 섬광방사선 측정기임 - 실시간으로 방사선 측정이 가능하며, 선량계 화면을 통해 방사선 노출량 확인 가능 - BLE 블루투스 기능 탑재로 무선송신 이용하여, 시스템과 연동하여 이력 저장 후 확인 가능 - 제품의 경량화 및 소형화되어 방사선 종사자 휴대에 용이하며 수술 중 착용 가능 -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원하는 부위에 맞춰 사용 가능 □ 핵심기술 검출 속도가 1초 이하인 섬광센서를 이용하여, 작업 중 방사선 노출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신체 착용 방사선량계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 핵심기술개발의 의의 - 신규 개발된 신기술로 제작한 세계최초 제품이자 국산 제품임 - 기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소형화 및 무선통신 기술을 개선하여 개발하여, 선량계의 디스플레이를 확인하지 않고도 시스템화면으로 실시간모니터링 가능함 - 향후 기술 수출이 가능하고 센서의 독점생산으로 당분간 제품의 독점 가능 □ 적용분야 - C-arm을 사용하는 외과 수술이나, 방사성 의약품 제조, 방사선 장비 사용자와 같이 병원 내 의료진 혹은 의료기사, 방사선종사자의 방사선 노출량 파악 - 산업용으로 원자력발전소 근무자등과 같은 방사선종사자 및 점검, 수리자 등의 방사선 노출 여부 확인 (출처 : 요약(초록) - 3. 기술개발 결과요약 5p)
    • 연구책임자 : 서준석
    • 주관연구기관 : 제이에스테크윈
    • 발행년도 : 20200700
    • Keyword : 1. 티엘디;의료용;방사선;모니터링;선량계; 2. TLD;medical;Radiation;Monitoring;dosimeter;
  • 11485

    2020.11.30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망간기반 암치료 나노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1) 방사선 병합치료 기술 개발 2) 면역조절 병합기술의 심화기술을 개발 3) 다양한 종양 이식 동물 모델 (피하 이식 모델/ 동소 이식 모델/전이 모델등)을 활용하여, 항암 효과를 검증하고 그 특성을 규명 4) 최적의 망간기반 암치료 나노플랫폼 기술 도출 ∎ 개발된 심화기술에 기반한 지식재산권 확보 및 창업에 필요한 핵심 요소기술들을 위한 개발 완료하여 상용화를 위한 과학적/임상적 근거를 제시 □연구개발성과 ∎ 논문 (총 5편 게재) -나노플랫폼의 면역치료 적용을 위한 포석으로 다양한 입자와 면역치료제를 병합한 문헌을 정립 -효과적인 Hypoxia 제거를 위한 ROS 반응형 나노 플랫폼 구축을 위한 연구 논문 게재 -Tumor 내 Hypoxia와 연관된 factor인 ROS의 조절에 관한 논문 게재 -나노플랫폼 구축에 따른 확장성(기업으로의 기술이전) 확보를 위한 논문 게재 ∎ 특허 (총 2건 출원) -암치료 나노플랫폼 구성 재료 중 하나인 Lgals3bp 생산 및 이의 용대에 관한 특허 출원 완료 -망간 담지 나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복합치료 약물전달체 개발에 관한 특허 출원 완료 ∎ 국책과제 수주 (국책과제 4건, 연구용역 1건, 총액 88억) ∎ 연구소기업 창업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본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 1) 임상연구 진행단계와 절차 2) 임상시험 승인절차를 확인하여 본 사업 이후(2024년~)에 실질적인 수익 및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노력을 수행할 예정 ∎ 항암 병합요법의 플랫폼이 완성될 경우 다양한 암종에 적용할 수 있음 => 응용 범위 확대, 높은 가치 창출, 연구 활성화의 선순환 도출 (출처 : 요약문 4p)
    • 연구책임자 : 박인규
    • 주관연구기관 : 화순전남대학교병원
    • 발행년도 : 20201200
    • Keyword : 1. 산소발생 나노입자;방사선치료;면역치료;암 저산소증;활성산소종; 2. Oxygenic nanoparticles;Radiation therapy;Immunotherapy;tumor hypoxia;Reactive oxygen species;
  • 11484

    2020.05.31

    □연구개요 ● 연구 배경 - 폐암의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악성 종양 중의 하나이며 우리나라에서 폐암의 5년 생존율은 약 22%에 불과함. - 새로운 예후 인자의 발굴을 통해 개인별 맞춤 치료를 진행하여 생존율을 향상하는 것이 중요함. - NR1D1(Nuclear receptor subfamily 1 group D member 1)은 orphan nuclear receptor의 한 종류이며 일주기 생체리듬 조절자로 알려져 있음. - 여러 orphan nuclear receptor와 암 발생의 연관성이 보고되었으나, 폐암을 비롯한 다른 암종에서 NR1D1과 암 발생의 연관성은 연구된 바가 없음. - 폐암 환자의 임상 데이터베이스 분석 결과, 남성 선암 환자에서 NR1D1의 발현양이 높을수록 생존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폐암에서 NR1D1의 종양 억제 기능이 예상됨. ● 연구의 최종목표 - 폐암에서 NR1D1의 종양억제 기능 확인 및 작용 기전 연구를 통해 NR1D1 유전자의 새로운 종양억제 역할 규명. - 폐암의 발생과 NR1D1 발현의 상관관계를 입증하고 폐암의 예후 인자로 NR1D1의 활용 가능성 제시. ● 연구범위 1) 폐암에서 NR1D1의 종양억제 기능을 in vitro 연구를 통해 확인. - NR1D1 발현양 조절에 따른 폐암 세포주의 세포 성장 변화 관찰. 2) 폐암에서 NR1D1의 종양억제 기능을 in vivo 연구를 통해 확인. - 폐암 발생에 미치는 NR1D1 소실의 영향을 NR1D1 소실 쥐와 쥐 폐암 모델을 활용하여 확인. 3) 폐암에서 NR1D1의 작용 기전 분석. 4) 폐암의 발생과 NR1D1 발현양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종양미세환경에서 NR1D1이 종양억제인자로 작용할 가능성 입증. - in vitro 연구를 통해, NR1D1 은 폐암 세포주의 세포 성장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확인. - NR1D1 소실 쥐와 Kras-LSL 쥐 폐암 모델 및 동소 이식 동계 쥐 모델을 활용하여 NR1D1의 종양미세환경 작용 가능성을 입증. 2) NR1D1의 Th17 세포 조절 가능성 확인. - RNA sequencing을 통해 NR1D1의 면역세포 조절 가능성을 확인. - Immune cell profiling을 통해 NR1D1 소실에 의한 CD4+ T cell 증가 입증. - CD4+ T cell 중, Th17 세포의 주요 싸이토카인 (IL-17A, IL-17F, IL-23)의 발현이 NR1D1 소실에 의해 증가함을 확인. 3) 폐암 발생과 NR1D1 발현의 상관관계 확인. - 임상 데이터베이스에서 폐암 환자의 정상 조직에 비해 폐암 조직에서 NR1D1의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학문적 측면 1) 종양미세환경에서 면역 세포 조절을 통해 폐암 발생을 저해하는 NR1D1의 역할을 처음으로 규명함으로써 NR1D1에 대한 지식을 축적시키는 학문적 가치를 지님. 2)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암에서 NR1D1의 역할에 대한 관심을 높여 향후 다른 암종에서 NR1D1의 역할에 대한 연구 수행을 유도할 것으로 기대됨. ● 기술적 측면 1) 폐암에서 NR1D1의 치료 표적 인자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표적 치료제 개발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음. 이를 통한 폐암 환자의 개인별 맞춤 치료의 기회 제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요 약 문 2p)
    • 연구책임자 : 김선미
    • 주관연구기관 : 국립암센터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1. 폐암;종양미세환경;종양억제; 2. NR1D1;Th17;
  • 11483

    2020.09.30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목표 > TGF-beta 길항제를 이용한 방사선유도 폐섬유화의 치료방법 개발 < 연구개발내용 > 1) 마우스에 전폐 방사선조사 후 TGF-beta 길항제를 투여하여 생존율 변화를 확인 2) 마우스에 전폐 방사선조사 후 TGF-beta 길항제를 투여하여 콜라겐 염색(sirius-red), alpha-smooth muscle actin(SMA) 염색, hydroxyproline assay를 통하여, 폐의 조직학적 변화를 확인 3) 마우스에 전폐 방사선조사 후 TGF-beta 길항제를 투여하여 폐내 면역세포의 변화를 유세포 분석, real-time PCR assay를 통해 확인하여 TGF-beta 길항제가 종양미세환경에 줄 수 있는 영향연구 4) 마우스에 전폐 방사선조사 후 TGF-beta 길항제를 투여 후 심장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함으로서, TGF-beta 길항제의 심독성 확인 및 실험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바이어스 확인 5) 마우스에 부분 폐 방사선조사 후 TGF-beta 길항제를 18개월까지 장기 투여, 장기 투여의 효과 및 부작용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임상시험의 기반 마련 6) 마우스에 종양세포주 이식 후 종양에 방사선조사 후 TGF-beta 길항제를 투여하여 종양의 폐내, 간내 전이의 변화를 확인. □ 연구개발성과 < 정성적 성과 > 1) 마우스에서 TGF-beta 길항제가 방사선유도 폐섬유화를 완화시킴을 입증 2) 방사선유도 정상조직 부작용에 활용 가능한 동물모델 구축 3) 마우스의 동종동소폐암 모델 구축으로 폐암의 전임상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동물모델 구축 4) 마우스의 동종동소폐암 동물모델에 방사선조사 프로토콜 구축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현재 방사선 폐렴은 50 Gy 이상의 흉부 방사선치료를 받는, 폐암환자 및 유방암환자에서 흔하게 발생하며, 전신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외의 치료가 없는 상황임. 본 연구결과로 향후 임상시험의 기반 마련 • 방사선 치료는 3기 폐암의 치료에서 필수적인 치료임. 따라서 방사선 유도 폐 부작용을 낮춤으로서, 환자의 삶의 질 개선 및 적극적인 폐 방사선치료가 가능하여 중앙생존기간이 2년에 불과한 3기 폐암의 치료성적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특발성 폐섬유화증과 같은 다른 간질성 폐질환에 새로운 치료법의 기반 마련 (출처 : 국문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서양권
    • 주관연구기관 : 국립암센터
    • 발행년도 : 20201000
    • Keyword : 1. 폐암;방사선유도 폐섬유화;방사선치료; 2. Lung cancer;Radiation-indu ced pulmonary fibrosis;TGF-beta;radiotherapy;
  • 11482

    2020.05.31

    □연구개요 A technique for fabrication of a complex nanocomposite structure through intense plastic deformation induced by ball collisions has been presented. The technique integrates principles of severe plastic deformation and mechanical alloying. The main objective of this approach is to deliberately introduce a source of desirable alloying elements into the deformation-induced treatment process. During processing, ground media fragments along with target materials are continuously transferred onto metallic surface via ball milling, and mechanical intermixing of various components onto metallic surface results in self-organization of a new composite structure.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CoMoNi)/WC, WFeNi(Ti) and MoFeNi(Ti) alloy layers as well as W(Fe) and Mo(Fe) structures were fabricated onto Ti surfaces from W, Mo, Ni, Co targets through ball collisions initiated by a mechanically vibrated vial. Steel balls or WC balls were used for processing as the Fe source or WC source. The as-fabricated alloy structures could be represented as heterogeneous multi-modal nanocrystalline structures.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deformation-induced chemical interactions between dissimilar atoms affected the structural formation of the alloy layers. The as-fabricated layer exhibited a very high hardness compared to industrial metallic alloys and tool steel materials. The yield stress value of the as-fabricated layers evaluated via nanoindentation was (2.5 ± 0.4) GPa, which was much higher than the yield stress for tungsten heavy alloys.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The experimental data provided insight into the atomic interactions and amorphization processes in the multicomponent systems induced by intense plastic deformation. Insight into the atomic interactions induced by deformation will be of great help in the development of future manufacturing prototypes and a new class of advanced hybrid materials. The W and Mo systems may serve as a base for fabrication of amorphous matrix where other different metallic components may be introduced during processing. These experimental findings demonstrated that different variations of alloying components under intense plastic deformation could produce competitive variations in pairwise chemical interactions, which in turn could affect the direction of diffusion between atoms and phase states toward which the systems evolved. Microstructural control of deformation-processed multicomponent systems could be performed via control over the alloying components introduced into the deformation-induced process. In general, the as-fabricated composite systems could be attractive as materials for MEMS or UAS operating in nuclear radiation environments since in addition to a lightweight Ti base and high-strength alloy surface, refractory metal components within the Fe-based matrix with oxide dispersions should provide enhanced resistance to radiation damage. (출처 : 요 약 문 2p)
    • 연구책임자 : 로만코프세르게이
    • 주관연구기관 : 전북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Severe plastic deformation;Mechanical intermixing;Mechanical alloying;Nanocomposite materials;Amorphous matrix composites;Surface technology;Multicomponent system;Co-base composite;W – Metal composite;
  • 11481

    2020.05.31

    □ 연구개요 ○ 유방촬영장치의 정도 관리에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리선량계의 평가 ▶ 유리선량계는 RPL현상을 이용한 선량계로서 형광유리소자로는 활성인산염유리가 이용된다. 유방촬영용 유리선량계는 형광유리소자와 소자 표면에 4종류의 두께가 다른 알루미늄 필터를 씌워놓은 구조로 돼 있다. 각 알루미늄 필터의 두께는 0.3, 0.4, 0.6, 1.0mm로 돼 있어 1회 조사로서 감약 곡선을 측정 할 수 있다. 이 감약 곡선으로부터 반가층과 관전압을 구하고, 알루미늄필터가 없는 유리소자의 형광 량으로부터 공기커머를 구할 수 있다. 결국, 이 유리선량계로는 1회 조사로 정도관리에 필요한 평균 유선 선량의 평가가 가능하다. ○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신뢰성이 확보된 새로운 정도 관리체계 구축 ▶ 따라서 현재 국내 설치 운용중인 유방촬영장치의 정도 관리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 임상에서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정도 관리 방법에 대한 연구와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 정도관리에 이용되는 유방촬영용 유리선량계의 효율성과 이를 이용한 정도 관리의 필요성 및 편의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디지털시스템 유방촬영장치의 성능관리 및 품질평가(1년) ▶ 기존 의료기관에 설치 운용중인 장치에 대한 정보파악 ○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신뢰성이 확보된 한국 형 성능관리체계 구축(2년) ▶ 유방촬영장치도 디지털시스템으로 환경이 바뀌면서 새로운 성능관리 및 품질 평가 시스템도입의 필요성 전파. ▶ 디지털환경에서는 반드시 디지털환경에 적합한 인수시험 및 성능관리 방법의 필요성 전파. ○ 디지털시스템 유방촬영 시 방사선피폭 최소화를 위한 선량관리체계 구축 및 전파(3년) ▶ 유방의 두께변화에 따른 선량관리 체계 마련 및 전파 ▶ 유방의 성분에 따른 선량관리 체계 마련 및 전파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기술의 발달과 함께 유방 엑스선 장치도 기존의 필름-스크림 시스템에서 디지털 시스템으로 바뀌면서 질환의 검출능력이 신뢰할 수 있을 만큼 정확하기 때문에 진단 영역에서의 그 활용 범위가 점점 더 확대되고 있는 실정임. ○ 또한 의료 환경이 디지털 환경으로 변화 되면서 품질관리체계 뿐 만 아니라 방사선량의 축적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여 유방촬영 시 최적의 파라메터와 프로토콜을 결정하는데 활용. ○ 유방촬영장치를 위한 성능관리용 유리선량계에 대한 유용성을 평가하여 장치의 성능관리에 활용함으로 방사선피폭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해짐. ○ 환자 피폭선량에 대한 전국적 조사를 통해 국내 실정에 맞는 품질관리체계와 환자선량을 평가하고 모니터링하여 유방촬영과 관련된 전반적인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의료기관에 제공함으로써 방사선피폭 저감화에 기여.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 연구책임자 : 조평곤
    • 주관연구기관 : 대구가톨릭대학교
    • 발행년도 : 20200600
    • Keyword : 유방촬영장치;디지털시스템;성능관리;방사선피폭감소;
  • 11480

    2019.12.31

    본 사업을 통해 2019년 통제기술원의 다자 및 양자 협력을 총괄하였으며, 주요 사업 수행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NPT, IAEA, A/CPPNM 등 다자협의체 회의 지원, (2) 한·미 안전조치 상설조정그룹(PCG) 연례회의 개최 지원, (3) 원안위-FANR 기술회의 및 연례회의 지원,(4) 업무협약 신규/개정 체결, (5) 국·영문 연례보고서 발간, (6) 국제협력 중장기 계획 수립 등 (출처 : 초록 65p)
    • 연구책임자 : 조성연
    • 주관연구기관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발행년도 : 20200100
    • Keyword : 1. 핵비확산;핵안보;국제협력;양자협력;다자협력; 2. Nuclear Nonproliferation;Nuclear Security;International Cooperation;Bilateral Cooperation;Multilateral Co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