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708 Page 23/71

검색
  • 488

    2008.12.18

    연구인프라에 대한 유럽전략포럼(ESFRI, European Strategy Forum on Research Infrastructures)은 지난 2006년 10월 유럽의 연구 인프라와 관련된 35개의 주요 프로젝트를 담고 있는 로드맵을 발표했었다. 12월 9일 프랑스의 베르사이유에서 열린 연구인프라에 관한 콘퍼런스는 1차 로드맵에서 계획된 프로젝트들에 대한 점검과 함께, 제 2차 로드맵을 소개하는 기회가 되었다. 1차 로드맵에 비해서 10개의 연구 인프라가 첨가되었는데, 그의 선두는 대기에서 일어나는 프로세스 연구를 위한 레이더 시스템의 성능 향상, 세계 환경 변화 연구를 위한 북극 관측 시설(Arctiv Observation Facility) 등, 환경과학 분야가 차지했다. 

    의학과 생물학 분야도 전략적으로 중요한 분야로 부각되었다. 기존의 혹은 새로 발생한 전염병의 위험에 대응하고, 생의학영상(biomedical imaging) 기술의 생물학적, 의학적, 다양한 적용을 위한 인프라 프로젝트와 산학의 연구원들이 생리활성분자(bioactive molecules) 개발을 위한 자원에 접근하게 할 새로운 개방 감시 플랫폼(open screening platform)이 추가되었다. 재료 과학 부문에서는 단 하나의 인프라(유럽 자기장 실험실)가 추가되었다. 

    2차 로드맵은 44개의 프로젝트를 포함한다. 2006년도의 1차 로드맵의 35개 프로젝트 중에서, EROHS(European resource observatory for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는 그 주제가 다른 여러 프로젝트에서 겹친다는 이유로 취소되었다. 

    현재의 경제 위기 상황에서 프로젝트의 재정 지원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것이다. 그렇지만 콘퍼런스의 참석자들은 전반적인 연구와 특별히 인프라로의 투자가 경제 재개를 위해 필수적이라고 입을 모았다. 포토치닉 연구 과학담당 집행위원은 ' 우리는 오늘날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를 지나고 있다. 그러므로 점점 더 복잡해지고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연구 시설과 장비를 위한 재원을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한다. 프랑스의 발레리 페크레스(Valerie Pecresse) 고등교육 연구부 장관도 연구 인프라를 '경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무기'에 비교하면서 중요성을 강조했다. 

    경제 침체가 계속되고 있지만 제 1차 로드맵에서 계획된 인프라에서 진보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7개의 인프라가 이미 건설 중이거나 그의 구축을 위해 필요한 자금과 승인이 확보되었다. 이미 시작된 프로젝트 중에는 유럽 싱크로트론 방사광 시설(ESRF, European Synchrotron Radiation Facility)의 현대화, 반양자와 이온 연구(Antiproton and Ion Research) 시설, 그리고 X선 자유전자 레이저(X-ray Free Electron Laser) 등이 있다. 

    11개의 프로젝트들의 경우 승인과 재원의 차원에서 아직 완전하게 준비되지 않았지만 진보를 보이고 있다. 많은 경우에, 이들 인프라의 준비 단계는 유럽연합의 제 7차 프레임워크 프로그램의 일환에서 지원되었다. 

    국가적 차원에서는 약 16개 유럽 회원국들이 국가 로드맵을 발표했거나 이를 작성 중이거나 업데이트시키는 단계에 있다. 대부분의 국가적 로드맵들은 ESFRI에 의해 식별된 유럽의 우선권들과 소규모의 국가우선권에 합치되는 프로젝트들을 함께 담고 있다. 

    콘퍼런스를 통해서 2006년 로드맵의 실시에 따른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ESFRI는 전략포럼이 인정한 모든 프로젝트들에서 e-인프라의 중요성을 부각시켜왔는데, 일부 연구 분야는 자신들의 기초데이터(raw data)의 공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었다. 인프라의 지리적 분포 역시 문제점의 하나로 제기되었고, ESFRI는 계속적으로 이의 분산을 꾀해 나갈 것이다. 유럽의 인프라들에 대한 또 다른 문제의 하나는 법적 장치(legal framework)의 부재이다. 유럽집행위원회는 지난 여름에 법적 장치를 제안했었고 유럽 연구 장관들은 거의 모두 동의했지만 이들 인프라에 대한 부가가치세(VTA)의 면제 결정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이 문제의 해결은 유럽연합의 차기 의장국 체코로 넘겨지게 될 것이다. 

    포토치닉 집행위원은 이들 연구 인프라에 대한 법적, 세제적 제한을 철폐하지 않으면 ESFRI 프로젝트는 수년이 지체되게 될 것이고, 결과적으로 유럽이 연구 분야에서 가지고 있는 선도자로서의 잠재력을 발휘할 수 없다고 평가하면서, 회원국 연구장관들에게 법적 장치의 승인을 더 이상 미루지 말 것을 촉구했다.

    * www.ndsl.kr (GTB 참조)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487

    2014.04.02

    <P>2014년 3월 19일, Wiley는 Wiley에서 발행하는 모든 오픈액세스 저널에 Altmetric을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P> <P> </P> <P><A href="http://exchanges.wiley.com/blog/2014/03/19/wiley-introduces-altmetrics-to-its-open-access-journals/" target=_self><IMG border=0 src="https://www.koar.kr/upload2/i_report_img/1396317019604.jpg"></A></P> <P>이미지 출처 : Wiley introduces Altmetrics to its Open Access journals</P> <P>                    <A href="http://exchanges.wiley.com/blog/2014/03/19/wiley-introduces-altmetrics-to-its-open-access-journals/">http://exchanges.wiley.com/blog/2014/03/19/wiley-introduces-altmetrics-to-its-open-access-journals/</A></P> <P>  </P> <P>Wiley는 2013년 4월부터 6개월간 6개 저널을 대상으로 Altmetrics를 시범적으로 도입해왔으며, 이 시범 도입기간 동안 </P> <P>6개 저널의 2,183개 논문이 높은 수준의 주목을 받고, 해당 논문의 약 40%가 10 이상의 Altmetric 점수를 획득하는 등의 성과가 있었다. </P> <P> </P> <P>또한 Altmetric 시범 도입 기간 동안 수행한 이용자 조사에서 Altmetric 점수 표시를 긍정적이라고 답한 응답이 많아 이번에 본격적으로 Wiley의 모든 오픈액세스 저널에 Altmetric 도입을 결정한 것이다. </P> <P>  </P> <P>Altmetric 도입 대상 저널은 Wiley가 발행하는 35개 오픈액세스 저널과 가까운 시일내 창간할 예정인 1개 저널로, 다음과 같다. </P> <P> </P> <P>-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111/(ISSN)1474-9726" target=_self>Aging Cell<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002/(ISSN)2328-9503" target=_self>Annals of Clinical and Translational Neurology  <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002/(ISSN)2050-2680" target=_self>Asia & the Pacific Policy Studies<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002/(ISSN)2157-9032" target=_self>Brain and Behavior<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002/(ISSN)2045-7634" target=_self>Cancer Medicine<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111/(ISSN)1349-7006" target=_self>Cancer Science<BR></A>- Cell and Molecular Biology Reports (forthcoming)<BR>-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002/(ISSN)2041-5346" target=_self>Cell Biology International Reports<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002/(ISSN)2191-1363" target=_self>ChemistryOpen<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002/(ISSN)2050-0904" target=_self>Clinical Case Reports<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002/(ISSN)2328-4277" target=_self>Earth’s Future<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002/(ISSN)2045-7758" target=_self>Ecology and Evolution<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002/(ISSN)1757-4684" target=_self>EMBO Molecular Medicine<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002/(ISSN)2050-0505" target=_self>Energy Science & Engineering<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111/(ISSN)1752-4571" target=_self>Evolutionary Applications<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002/(ISSN)2048-3694" target=_self>Food and Energy Security<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002/(ISSN)2048-7177" target=_self>Food Science & Nutrition<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002/(ISSN)2050-4527" target=_self>Immunity, Inflammation and Disease<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111/(ISSN)1750-2659" target=_self>Influenza and Other Respiratory Viruses<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002/(ISSN)1942-2466" target=_self>Journal of Advances in Modeling Earth Systems<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111/(ISSN)1582-4934" target=_self>Journal of Cellular and Molecular Medicine<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111/(ISSN)2040-1124" target=_self>Journal of Diabetes Investigation <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002/(ISSN)2051-3909" target=_self>Journal of Medical Radiation Sciences <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002/(ISSN)1520-6017" target=_self>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111/(ISSN)1751-7915" target=_self>Microbial Biotechnology<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002/(ISSN)2045-8827" target=_self>MicrobiologyOpen <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002/(ISSN)2324-9269" target=_self>Molecular Genetics & Genomic Medicine <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002/(ISSN)1744-4292" target=_self>Molecular Systems Biology  <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002/(ISSN)2052-2975" target=_self>New Microbes and New Infections  <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002/(ISSN)2054-1058" target=_self>Nursing Open</A> <BR>-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002/(ISSN)2052-1707" target=_self>Pharmacology Research & Perspectives <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002/(ISSN)2051-817X" target=_self>Physiological Reports <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002/(ISSN)2052-4412" target=_self>Regeneration <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002/(ISSN)2051-3380" target=_self>Respirology Case Reports <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002/(ISSN)2050-1161" target=_self>Sexual Medicine <BR></A>- <A href="http://onlinelibrary.wiley.com/journal/10.1002/(ISSN)2053-1095" target=_self>Veterinary Medicine and Science </A></P> <P> </P> <P> </P> <P>Altmetric</P><A href="http://www.altmetric.com/">http://www.altmetric.com/</A> <P> </P>
    • 저자 : KISTI 정보서비스 동향지식 포털
    • Keyword : 1. 와일리;알트매트릭스;오픈액세스 저널 2. Wiley;Altmetrics;Open access Journal
  • 486

    2008.05.05

    X-레이 없는 세상을 상상할 수 있을까?X-레이는 병원에서 골절 여부를 알아내는 촬영뿐만 아니라 공업용으로 재료나 제품의 비파괴검사를 할 때도 쓰인다. 고미술품이나 그림의 진품 여부를 감정하기도 하고, X-레이의 강한 에너지를 이용해 인체 내부에 있는 염증이나 종양 등을 치료하기도 한다. 특히 공항 보안 검색대에서 X-레이는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인데 그 이유는 마약이나 총기류 등 불법 소지물을 감시하는데 쉽고 빠르게 조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X-레이는 현재 우리네 삶속에서 빼 놓을 수 없는 기술이 되었다.1895년 독일의 물리학자 뢴트겐이 처음 발견한 이래, X-레이는 우리 생활 속으로 깊숙이 들어왔다. 보통 진공 방전관 내에서 높은 전압으로 가속한 전자를 타깃(target: 표적)이라는 금속판에 충돌시키면 0.01nm~10nm 사이의 전자기파(X-레이)가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된 X-레이는 투과력이 높아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지만 과다하게 사용할 경우 위험할 수 있다.X-레이의 주파수는 100만조(10의 18승) Hz 안팎. 에너지가 워낙 커 X-레이 피폭량이 어느 한계를 넘으면 생체 세포에 변화가 생겨 피부암을 초래하거나 유전적 기형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런 특성은 푸른곰팡이의 품질개량에 이용되는 장점도 있지만, 사람에게는 치명적인 위험이 된다는 단점도 있다. 공항 검색대에서 승객의 소지품에 X-레이을 쫴는 반면, 승객에게는 X-레이를 직접 조사하지 않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그렇다면 보다 안전하면서도 X-레이를 대체할만한 것은 없을까?X-레이의 대안으로 강력하게 떠오르는 것이 테라헤르츠 카메라(Tera Hertz camera)다.줄여서 T-레이(T-ray)라고도 부르기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T-레이는 적외선과 전자기 스펙트럼의 극초단파 사이에 있는 0.5-4.0 테라헤르츠(THz: 10의 12 승 Hz)의 전자기파를 사용한다. 여기서 ‘테라’는 1조를 뜻하는 그리스어이고, 테라헤르츠파의 주파수는 1,000억∼10조 헤르츠(Hz)다. 즉 1초에 적어도 1,000억 번 이상 진동한다는 의미다. T-레이는 종이, 나무, 플라스틱, 심지어 시멘트까지 웬만한 물체들은 대부분 투과하지만 물과 금속은 통과하지 못하는 독특한 성질이 있다. 무엇보다 T-레이 에너지는 X-레이의 100만분의 1정도에 불과해서 옷 속에 숨긴 흉기나 폭발물을 찾기 위해 승객에게 쪼여도 부작용이 거의 없다. 최근 영국 런던을 위시한 주요 도시의 공항 등에서 불법 소지물을 감시하는 T-레이 카메라가 등장한 것도 안전성이 높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물질이 테라헤르츠파의 주파수 내에서 특정 영역을 흡수하기 때문에 T-레이는 X-레이로 판별해 내기 어려운 가루 형태의 폭발물이나 마약, 플라스틱 흉기 등도 분별해 낸다. 뿐만 아니라 조직이 치밀하지 않은 암세포에는 쉽게 침투하고 정상 조직에는 잘 침투하지 못하는 T-레이의 특성을 이용해 피부암이나 유방암처럼 주로 피부 바로 아래에 생기는 암을 손쉽게 진단할 수 있다. T-레이 연구의 권위자인 이탈리아 로마 토르 베르가타 대학(Tor Vergata Universita)의 알도 디 카를로(Aldo D Carlo) 교수는 T-레이가 X-레이 영역의 상당부분을 대체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실제로 우주연구와 생물학, 현미경 등에도 T-레이 활용이 진행되고 있다. 선명한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광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해야 하는데, X-레이에 비하면 기술의 수준이 걸음마 단계에 있다. 물론 지금까지 자유전자레이저(Free Electron Laser) 또는 방사광가속기(synchrotron radiation)의 전자빔을 이용하는 기술을 비롯해 극초단 레이저나 비선형물질을 이용하는 기술 등이 개발된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이 기술들은 실험단계에 머문 상태라서 상용화하기에는 아직 부족한 점이 많다.현재 T-레이의 잠재력에 주목한 미국, EU 그리고 일본 등의 과학자들은 T-레이의 공급원을 확대하기 위한 ‘진공 테라헤르츠 증폭기(VTA)’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여기에는 일본 쓰쿠바 대학(the University of Tsukuba)에서 만든 고온 초전도체 기술, 마이크로머쉬닝 및 나노테크놀러지와 같은 신기술들이 활용되고 있다. 일리노이주 아르곤 국립 연구소(Argonne National Laboratory)에서는 배터리로 작동하는 소형 장치를 통해 T-레이를 만드는 데 성공했고, 영국에서는 이미 소형 T-레이 카메라가 시판되고 있다.인체에 해가 없는 T-레이 기술이 진보되는 만큼 X-레이가 없는 세상이 생각보다 일찍 올지도 모를 일이다. (글 : 유상연 과학칼럼니스트)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485

    2017.01.10

    미국 GE Hitachi Nuclear Energy(GEH)가 스웨덴 Oskarshamn 원전 1,2호기 원자로 내장품을 해체하는 3년 짜리 계약을 수주했다. 2016년 12월 19일 원전 운영사인 OKG AB와 맺은 계약에 따라서  GEH가 원자로 2기의 압력관 내장품을 최종 처분하는 작업을 맡게 되었다. 이 작업은 해체, 절단, 그리고 최종 처분을 위한 포장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Oskarshamn 2호기의 내장품 해체작업은 2018년 1월에, 1호기 해체작업은 2019년에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해당 해체작업은 2020년 초반에 완료될 예정이다. GEH측은 해당 프로젝트는 유럽 원자로 해체사업에 진출하는 돌파구적인 프로젝트이며 GE와 (구)Alstom의 글로벌 공급망으로 구성된 ‘GE store’의 풍부한 자원을 활용해 세계 자력계에 최상의 안전성과 가성비가 뛰어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OKG의 대주주인 독일 EOn은 2015년 10월 Oskarshamn 1호기와 2호기가 영구적으로 폐쇄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3호기는 이 결정과 무관하다. 또한 1호기가 2017년과 2019년 사이에 폐쇄될 것이고 2호기에 또한 더 이상의 투자는 없을 것이며 원자로도 재가동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었다. 더불어 2016년 2월 OKG는 2017년 6월 말 예정된 계획정지를 시작으로 Oskarshamn 1호기를 폐쇄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473 MWe 용량의 비등수형 경수로(BWR, boiling water reactor)인 Oskarshamn 1호기는 1972년부터 가동되었으며 638 MWe 용량의 BWR인 Oskarshamn 2호기는 1974년에 첫 가동을 시작한 바 있다. 1,400MWe 용량의 BWR인 Oskarshamn 3호기는 1985년에 처음 가동되었다. 

    OKG측은 2045년까지 Oskarshamn 3호기가 기후변화에 적합한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조건 중 하나로 Oskarshamn 1,2호기 해체작업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밝히면서 이 계약 서명이 해당 작업에 진일보가 되었다고 평가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해체, 오스캬샴, 비등수형경수로 2. dismantling, Oskarshamn, boiling water reactor (BWR)
  • 484

    2017.09.17

    러시아 Rosatom과 Kinetics Corporation는 태국 TINT(Thailand Institute of Nuclear Technology)에 사이클로트론을 공급할 예정이다. 이 협력사업은 TINT가 낸 입찰을 태국의 엔지니어링 및 과학장비 공급회사인 Kinetics사 측이 수주하면서 시작된 것이다. 러시아 국영원자력기업인 Rosatom의 자회사인 Rosatom Healthcare사가 기술공급사가 된다.

    2017년 9월 7일 Rosatom사는 공급할 사이클로트론은 양성자 에너지가 30 MeV에 달하는 MCC-30/15 사이클로트론이라고 밝혔다. 이 사이클로트론은 PET 및  SPECT 진단에 쓰이는 방사성동위원소 생산에도 사용될 예정이다. 이 동위원소들은 종양학적, 심장학적 및 신경학적 질병을 정확하게 진단하는데 도움이 된다.

    사이클로트론 시설은 Nakhon Nayok에 있는 Ongkharak 원자력연구센터에 들어서게 된다. 5,400 평방미터 이상의 면적에 사이클로트론과 방사선의학을 위한 동위원소 생산 및 연구개발 활동 등에 활용될 몇몇 실험실이 자리잡게 된다.

    현재 태국에서 SPECT(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에 사용되는 모든 동위원소는 전량 수입해서 쓰고 있으며 PET(positron-emission tomography)에서 사용되는 동위원소는 일부 태국에서 생산되지만 수요를 다 충족하고 있지 못한 상황이었다. 따라서 새로운 사이클로트론 도입으로 이러한 동위운소 공급을 자급자족할 수 있으며 원자력의학 및 다른 산업분야를 위한 원자력기술 연구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Rusatom 측은 이 프로젝트를 통해 생명을 구하고 태국의 과학기술 혁신을 촉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자사는 원자력을 통한 건강관리 기술 설계 및 제작에 수 십년간의 경험을 갖고 있으며 러시아 내 14곳에 달하는 방사성핵종 생산시설을 운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태국 TINT 측은 이 프로젝트의 목적은 가속기를 기반으로 한 의학용 방사성동위원소를 생산하고 물리학, 생물학 및 재료학을 위한 이온빔 연구시설을 확보하며 전자, 자동차 및 통신산업을 위한 방사선조사시설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 사업이 국가전략인 Thailand 4.0에도 부합하는 것임도 강조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사이클로트론,양성자 에너지,양성자단층촬영 2. cyclotron,proton energy,PET(positron-emission tomography)
  • 483

    2018.01.25

    동경전력(TEPCO)은 2011년 3월 사고로 손상된 후쿠시마 제1원전 2호기의 주격납용기(PCV, primary containment vessel) 내부검사를 2018년 1월 19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검사는 pan-tilt 카메라가 부착된 망원경용 가이드 파이프를 사용했으며 좌대(pedestal) 지역 바닥에서 침적물과 연료집합체 구성품의 존재를 확인했다.

    2017년 2월 동경전력은 도시바와 IRID(Inter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Nuclear Decommissioning)이 공동으로 개발한 전갈 형상의 로봇을 동일한 지역에 보내 탐사를 진행한 바 있다. 그 검사에서는 좌대 내부 플랫폼의 그레이팅 일부가 떨어져 있는 것을 발견했었다. 로봇이 원자로 압력용기 바로 하부까지는 도달하지 못했지만 동경전력 측은 이 검사 때 수집된 정보만으로도 폐로 방법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한 바 있다.

    이번 검사에 활용한 장비도 작고 방사선 내성을 갖춘 장치로 도시바와 IRID가 개발한 것이다. 이 장비는 PCV 내에 직경 12cm되는 파이프를 통해 진입했다. 이 장비는 길이 약 13미터에 직경 약 11cm인 가이드 파이프로 되어 있다. 여기에 5미터 길이의 망원경용 가이드 파이프가 부착되어 있다. 이 끝에 2kg 정도의 카메라 모듈이 부착되어 있다. 카메라 모듈에는 pan-tilt 카메라와 'bird's eye 카메라 등 2대의 카메라와 조명, 방사능 계측기 및 온도계가 장착되어 있다.

    이번 검사를 통해 얻은 영상을 확인한 후 동경전력 측은 좌대 바닥 전체가 모래와 점토 같은 침적물로 덮여 있으며 일부 연료집합체 구성품도 바닥에 있으며 연료 조각으로 추정되는 침적물이 연료집합체 구성품이 떨어져 있는 주변에서 발견되었다고 밝혔다.

    동경전력은 후쿠시마 제1원전 1,3호기에 대한 로봇을 이용한 탐사도 진행한 바 있다. 작년 3월 및 6월 1호기 및 3호기에 각각 탐사로봇을 투입해서 상당한 정보를 획득한 바 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주격납용기,폐로,로봇을 이용한 탐사 2. PCV(primary containment vessel),decommission,robotic survey
  • 482

    2017.03.20

    2017년 3월 16일 X-energy사는 Xe-100으로 명명된 고온가스냉각 페블베드 모듈형 원자로(high temperature gas-cooled pebble bed modular reactor)에 대한 개념설계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개념설계는 산업계 전문가로 구성된 외부패널이 X-energy사가 개념설계를 수행할 준비상태가 완료되었는지를 점검한 후 개시되었다. 외부패널에는 Southern Nuclear, Burns & McDonnell 및 Technology Insights사 등 산업계 전문가가 참여하였다. 개념설계 준비상태 점검에서는 기본설계 변수값, 준비문서화, 분석도구, 개념설계 단계의 범위, 관리프로세스 및 총괄팀의 준비상태 등을 확인하였다. X-energy사는 10년 내에 Xe-100을 건설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

    미국의 고온가스냉각원자로(HTGR,high-temperature gas-cooled reactor) 연구는 ORNL(Oak Ridge National Laboratory)에서 1940년대에 시작되었으며 X-energy사의 원자로 설계는 미 에너지부(DOE)가 진행한 이전 연구에 기초하고 있다. 다양한 HTGR 시범로가 독일, 영국, 미국에서 운영되어 왔으며 일본의 HTTR과 중국의 HTR-10은 현재 운전 중이다.

    Xe-100은 열출력 200 MWt, 전기출력 75 MWe급 원자로로서 4개 모듈을 건설하여 300 MWe 출력을 내는 것이 표준으로 여겨지고 있다. Xe-100은 자갈 모양의 구형 핵연료인 Triso (tristructural-isotropic) 연료를 사용하는데 각 Triso는 농축도 10%의 UOC 또는 UO2가 중심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 위에 각각탄소와 세라믹 외막이 덮여 있. 약 17,000개의 연료가 각 원자로에 들어간다. 이런 연료구조는 방사능 누출을 막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올 1월, X-energy사는 미 에너지부가 지원하는 원자로설계 개발비용 분담프로그램에 선정되어 Xe-100 개발을 위해 향후 미화 5,300불을 지원받게 되었다. 협력기관으로는 BWX Technology사, Oregon 주립대, Teledyne-Brown Engineering사, SGL Group, INL(Idaho National Laboratory) 및 ORNL 등이 참여한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고온가스냉각 페블베드 모듈형 원자로, 개념설계, 트리소 2. high temperature gas-cooled pebble bed modular reactor, conceptual design, Triso
  • 481

    2016.11.09

    캐나다 원자로 설계기업인 스타코어 원자력(StarCore Nuclear)이 자사의 4세대 고온 가스 냉각로(HTGR)에 대한 공급자 설계 검토 절차 신청서를 캐나다원자력안전위원회(CNSC)에 제출했다. 몬트리올에 기반을 둔 스타코어는 2008년에 창립되어 캐나다 격오지에 전기와 물을 공급하는 소형 모듈라 원자로(SMR)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이 회사의 표준 HTGR 원자로는 전기출력 20 MWe(열출력 36 MWth)로 트럭으로 운반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원자로를 결합할 경우 100 MWe까지 확장이 가능하다. 헬륨을 냉각재로 사용하는 이 원자로는 트리소(Triso) 연료를 사용한다. 이 연료는 BWXT 테크놀로지가 제작한 탄소로 코팅된 우라늄을 구형 입자로 가공한 것으로 작은 개별 입자로부터 1차 격납계통에 효율적으로 장전될 수 있다.

    이 외에도 큰 음의 열계수를 가지도록 설계된 “고유 안전성"으로 노심용융 가능성이 없다. 방사성화되지 않는 헬륨을 사용하기 때문에 어떤 냉각수 상실 사고도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 원자로는 지하 50 미터에 위치한 콘크리트 사일로에 설치되며 10톤짜리 덮개로 보호된다. 스타코어는 이 원자로의 발전단가를 kWh당 0.18 캐나다 달러 이하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CNSC의 예비 인허가 공급자 검토 절차는 선택사항으로 공급사의 원자로 설계를 기반으로 원자력발전소의 설계를 평가하는 과정이다. 3단계 검토는 신규 원자력발전소 인허가 절차에 요구사항은 아니지만 캐나다 원자력 규제요건 및 기대치와 부합하는지를 인증하는 목표에 따라 수행되는 것이다. 올해 초 CNSC는 테러스트리얼 에너지(Terrestrial Energy)의 일체형 용융염 원자로 설계 개념에 대한 1차 공급자 설계 검토 수행에 합의한 바 있다.

    전 세계적으로 소형 모듈라 원자로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한창인 가운데, 캐나다에서 헬륨을 냉각재로 사용하는 고온 가스 냉각로에 대한 설계 검토가 시작되어 소형 원자로 분야의 경쟁이 한층 더 치열해짐을 보여준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고온가스냉각로;소형모듈라원자로;캐나다원자력안전위원회 2. HTGR;SMR;CNSC
  • 480

    2016.12.01

    3D 프린팅이라고도 불리는 적층제조(additive manufacturing, AM) 기술을 적용하면 소형 모듈라 원자로(SMR) 제작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고 부피가 작은 부품과 재료 성능 분석 등에서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전문가 의견이 제시되었다.

    지난 3월, 영국 정부는 최고의 SMR 설계를 찾는 경합을 개최한 것을 비롯하여 2015~20220년 사이에 SMR 첨단 제조 프로그램에 3,000만 달러를 포함하여 원자력 연구개발 기금 2억 5,000만 파운드를 투자한다고 약속했다. 이 연구개발 프로그램의 일부로 원자력 첨단제조 연구센터(Nuclear AMRC)가 AM 공정의 효율과 품질을 연구하고 있다.

    AM 기술은 SMR 원자로의 주요 부품 생산 시간을 단축하고 상업적으로 경쟁력을 갖추게 해준다. SMR 원자로 압력 용기는 기존 제작 기술을 사용할 경우 3년이 걸리는데 비해 AM 기술을 적용할 경우 6개월 이내에 완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AMRC는 AM 공정, 장비, 품질, 부품 추적성에 관한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계획이다.

    미국 원자력계도 AM 기술이 비용과 조달 시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검토하고 있다. GE 히타치 원자력(GEH)은 6월 22일 에너지부가 200만 달러를 투입하는 AM 연구를 주도한다고 발표했다. GEH는 AM으로 만들어진 부품을 아이다호 국립연구소에서 방사선 조사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GEH의 AM 장비는 400 세제곱밀리미터 이하의 어떤 부품도 제작할 수 있다. 첨단 잔해물 필터, 제트 펌프 내진동 부품 등이 유력한 후보다. 또한 새로운 발전소에 사용될 미세 운동 조절 제어봉 구동기(FMCRD)를 제작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대형 3D 프린터를 개발하면 더 큰 부품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의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소형 모듈라 원자로에 대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제작 기술에서도 3D 프린팅과 같은 신기술 적용으로 보다 저렴하고 빠르게 고품질의 부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소형모듈라원자로;적층제조;3D 프린터 2. SMR;additive manufacturing;3D printer
  • 479

    2017.06.23

    스웨덴 Oskarshamn 1호기가 영구 정지되었다. 운전상의 문제가 발생했고 이로 인해 재가동하지 않기로 한 결정이 원 계획보다 10일 먼저 시행된 것이다.

    해당 원전 운영사인 OKG AB사의 최대주주인 독일 전력회사 Eon은 2015년 10월 Oskarshamn 1,2호기를 영구정지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당시 1호기는 2017 ~ 2019년 사이에 영구 폐쇄하고 2호기에 대해서는 추가 투자를 하지 않기로 했었다. Eon은 이러한 결정의 이유로 낮은 전력도매가격, 원자력에 대한 과세 및 1,2호기 유지보수를 위한 막대한 투자비용을 든 바 있다.

    OKG사는 2016년 2월 이번 달 말 예정된 계획예방정비와 연계해서 1호기 영구정지를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었다. 그러나 2017년 6월 19일 Oskarshamn 1호기가 6월 17일 운영상 문제로 자동정지되었다고 밝히면서 원 영구정지 계획일이 6월 29일보다 이르지만 재가동하지 않고 영구정지한다고 선언했다. OKG사가 밝힌 Oskarshamn 1호기 폐로의 4가지 단계는 핵연료를 노심에서 인출하는 단계, 약 1년간 냉각수조에서 저장후 소외 사용후연료 저장시설에 이송하는 단계, 원전 보존단계 및 원전시설의 해체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원전부지가 제염되고 방사능이 없다고 판단되면 이 부지는 다른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Oskarshamn 1호기는 473 MWe 용량의 비등경수로(BWR, boiling water reactor)로 1972년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45년간 가동되었으며 지금까지 약 110,000,000 MWh의 전력을 공급해 왔다. Oskarshamn 2호기는 638 MWe 용량의 BWR로 1974년 운영을 개시했으며 2020년까지 영구정지될 예정이다.

    올 1월 GEH(GE Hitachi Nuclear Energy)사가 Oskarshamn 1,2호기 원자로 내장품 해체를 위한 3년 짜리 계약을 운영사인  OKG AB사로부터 따 낸바 있다. 이 계약에 따라 GEH는 원자로압력용기 내장품을 해체, 절단하여 영구처분장으로 운반할 예정이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Oskarshamn 1호기, 해체, 원자로 내장품 2. Oskarshamn unit 1, physical dismantling, reactor inter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