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port

All 708 Page 13/71

검색
  • 588

    2009.05.26

    OECD 원자력기구(NEA)가 사상 처음 발표한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전망(Nuclear Energy Outlook)'에 수록된 전망에 의하면, 전 세계의 원자력 시설은 지금부터 서기 2050년 까지 적게는 55%, 많게는 375%까지 증가할 것이라고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후 변화와, 공급의 안보, 에너지 공급 비용 등에 대한 우려가 나날이 시장을 엄습하고 있으며, 자원 확보의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는 작금의 상황에서 NEA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NEA는 회원국을 대상으로 포럼을 개최하여, 회원국들의 자원을 한 자리에 모으는 한편, 에너지 정책에 관한 의사결정을 내릴 때 회원국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상의 경제/과학/법률 분석을 제공하고 있다. 또 NEA는 모범 준규와 경험 공유를 촉진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전 세계의 핵 발전소에서 베이스 부하 전기를 적정 가격에 생산해 내어 가장 안전하면서도 오염이 가장 적은 에너지 해결책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NEA이 창립 50주년을 맞이하여 발표한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전망(NEO)'은 핵 에너지 분야의 역학 변화와 새로운 이점을 반영하였으며, 에너지 안보, 기후 변화, 에너지 비용 등이 장기적, 단기적 에너지 정책 모두에서 우선과제로 등극한 시점에서 세상에 발표되었다. NEO는 최신 통계와 데이터를 사용했으며, 460 페이지 분량이다. 또 향후 핵 에너지의 이용에 미칠 영향과 성장 시나리오를 고려할 수 있도록 2050년까지의 전망을 제시해 놓았으며, 장래 마주할 가능성이 있는 난관에 대하여 독특한 분석과 권고도 제시해 놓았다. 

    원자력 에너지 정책은 OECD 국가마다 큰 편차가 있어, 일시적 중지나 단계적 철수(예, 오스트리아, 벨기에, 독일, 스페인 등) 정책에서부터 원자력 에너지를 에너지 혼용의 중요 요소(예, 프랑스, 일본, 한국 등)로 활용하는 정책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핀란드의 경우, 정부는 새 기후 에너지 전략을 승인하여 저 탄소 배출의 전기 생산 시설 건설에 주안점을 두었으나, 원자력 에너지 설비의 경우엔 제한을 가해 자국내 용도로만 사용하게 하였다. 지난 2008년 11월에는 반응기 3기를 새로 건설하는 프로젝트 계획에 대하여 작성된 환경적 영향 평가 보고서가 제출되었다. 

    한국의 경우, 정부가 '국가 에너지 기본 계획'을 발표하며 원자력 발전 용량을 2030년까지 약 60% 확대한다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 목표를 달성하자면, 현재 계획 중이거나 이미 공사에 들어 간 8기 외에도 원자력 발전소 10-12기를 새로 건설해야 한다.

    목차
    1. 사무국장의 서한
    2. 2008년의 핵 에너지
    3. NEA의 50주년과 NEA의 핵 에너지 전망
    4. 기술 프로그램
    5. 일반 정보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587

    2006.11.24

    유럽연합의 대형 그리드(Grid) 프로젝트인 EGEE (Enabling Grids for E-sciencE)의 인프라와 세계 주요 연산그리드 인프라 8개를 나타내주는 새로운 인터렉티브 지도가 완성되었다.

    영국의 입자물리학그리드 프로젝트(GridPP)의 연구원들과 제네바에 자리잡은 유럽의 입자물리연구소, CERN (European Organization for Nuclear Research)의 연구원들에 의해서 고안된 이 지도는 세계 6개 대륙에서 그리드 인프라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해서 Google Earth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총 300군데가 넘는 소재지를 표시해주고 있다. 중세 때의 지구전도의 형상을 본따고 있는, 이 지도는 세계의 그리드를 통합적으로 개관하게 해주는 첫 시도의 하나로 꼽힌다.

    Google Earth와 인터페이스를 개발한 런던 Imperial College의 Gidon Moont는, '단 하나의 지도 위에 모여진 이들 주요 그리드들을 최초로 관측할 수 있게 되었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그리드의 앞날을 위해서 상호운영성 (interoperability)은 아주 중요한 측면이 될 것이고, 지도는 이 상호 운영성이 어떻게 발전해 나가는지를 나타내줄 것'이라고 선언했다.

    그리드 사이트는 KML 화일을 지원받아서 Google Earth에 표시되었다. 이 화일이 프로그램에서 열리면, 그리드 사이트의 위치 정보가 Google Earth 지도에 첨가된다. 어떤 사이트의 이름과 주소와 그가 속한 그리드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사이트에 마우스를 올리고 클??하면 된다. 지도는 다음의 그리드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타베이스를 근거로 만들어졌다:
    - Enabling Grids for E-sciencE (세계 그리드 인프라);
    - OSG (Open Science Grid ? 주로 미국);
    - Nordic Data Grid Facility (주로 스칸디나비아);
    - NAREGI (National Research Grid Initiative ? 일본 그리드 프로젝트);
    - 테라그리드 (TeraGrid ? 미국 슈퍼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젝트);
    - PRAGMA (아태지역 그리드 인프라)
    - Distributed European Infrastructure for Supercomputing Applications (유럽의 그리드 인프라);
    - National Grid Service (영국);
    - Australian Partnership for Advanced Computing (호주).

    EGEE 그리드 프로젝트는 유럽 연합에 의해서 공동 지원된다. 이 프로젝트는 일년 365일 하루 24시간 사용자가 접근이 가능한 20 000개가 넘는 중앙처리장치 (CPU, central processing unit)와 5 페타바이트 (petabyte) (5백만 기 가바이트)의 메모리 용량을 갖추었다. 이는 동시에 20 000 회의 작업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는, 시간과 수단에 있어서 전통적인 정보처리 하부구조를 가지고는 실현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모든 과학 연구 분야를 위한 이상적인 도구가 된다.

    고 에너지 물리와 생명과학의 2개 과학 분야에서 그의 원천을 찾을 수있는 EGEE 프로젝트는 오늘날, 지질학에서 정보 화학까지, 많은 과학 분야로 그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아인쉬타인은 일찌기, '컴퓨터는 엄청나게 빠르고 정확하지만 어리석다. 인간은 엄청나게 느리고 부정확하지만 똑똑하다. 이들이 함께 모아질 수 있다면 상상을 초월한 능력을 갖출 것'이라고 말한 바있다.

    관련 웹사이트: http://www.eu-egee.org/

    ※ yesKISTI 참조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586

    2006.04.27

    미국 국가 경제 위원회(National Economic council)는 선진화된 에너지 주도권을 갖기 위한 부시 대통령의 비전 소개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2006년 2월 20일). 보고서에는 크게 자동차 연료의 변화 가정과 사무실에서의 전력의 변화를 다루고 있다. 1. 자동차 연료의 변화 : 에너지를 보호하기 위한 방편으로 연료 효율을 극대화, 대체 에너지 개발, 그리고 수소를 사용한 연료 전지 개발로 오일 사용을 줄이는 기술 제안. [목표] * 배터리 기술의 진보를 통해 한번 배터리 충전으로 40마일 안에서 이동 가능한 하이브리드-전기 자동차 개발 * 2012년까지 옥수수를 이용한 에탄올 생산에 시장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 개발 * 2020년까지 대통령의 비전을 좇아 많은 미국인들이 수소 연료전지를 장착한 자동차를 선택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행동 지침] * 현재 있는 기술을 이용하는 방법 - 2008-2011년에 만들어질 자동차의 연비 개선 - 하이브리드, 청정 디젤 연료 사용 자동차에 대한 세제 혜택 확대 - 청정 디젤 엔진에 대한 규제 강화: 황과 질산화 방출 비율을 90%이상 줄임. - 2012년까지 에탄올과 바이오디젤 사용이 75억 갤런이 되게 하기 위한 세제 해택 확대 - 대체 에너지 관련 시설 투자에 세제 해택. 연간 최대 3만 달러까지 세금 감면 해택. - 수소 자동차 상용화에 12억 달러 투자 * 앞으로 기술 개발 - 진보된 배터리 개발 : 현재의 기술은 전기 모드로 운전을 할 경우 매우 느린 속도로 1-2 마일 밖에 움직일 수 없지만 이를 극복할 배터리 기술 개발. 이를 위해 부시 행정부는 2007년 예산에 3천백만 달러의 예산을 배정. - 에탄올 생산 기술 : 설탕이나 곡물을 이용한 에탄올 변환 기술 개발. 휘발유나 디젤 연료에 10% 정도의 에탄올을 혼합하여 석유 수요를 줄이려는 노력 - 수소 자동차 개발 2. 가정과 사무실 전력의 변화 : 깨끗한 석탄, 진보된 원자력 에너지, 태양 및 풍력 에너지 사용을 통해 보다 많은 전기를 얻는 방법 제안.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목표] * 청정 석탄 기술 연구비로 20억 달러를 투자하고, 이를 통해 얻은 결과를 시장화 * 깨끗하고 위험하지 않으며 믿을만한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믿음을 확산시킴으로 새로운 글로벌 핵 에너지 파트너십(Global Nuclear Energy Partnership, GNEP) 형성 * 2015년까지 태양 에너지를 이용해 전기를 만드는 기술에 시장 경쟁력을 갖추게 하고, 풍력 에너지 사용 확대 [행동 지침] - 천연가스 수입 의존도를 줄이고 국내 생산량 증대 - 액화 천연가스 개발 확대 - 깨끗한 석탄 연료 개발, 이를 위해 2억 달러 투자. - 원자력 에너지 사용 권장, 부시 행정부는 GNEP에 2007년 예산으로 2억 5천만 달러 배정. - 풍력, 태양열, 바이오매스 사용 증대: 10년 동안 34억 달러 투자.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에너지 개발, 청정 에너지, 원자력, 수소 자동차
  • 585

    2016.12.06

    싱가포르 연구진은 강한 자기장 하에서 작은 변화들을 검출할 수 있는 매우 민감한 센서를 개발했다. 이 센서는 의학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스위스 취리히 연방공과대학(ETH Zurich)과 취리히 대학(University of Zurich)의 연구진은 강한 자기장 하에서 매우 작은 변화들을 측정하는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진은 자기 공진 이미징(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스캐너 속에서 물방울을 자화시켰고, 물방울 속의 매우 작은 자기장 강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약한 자기장 하의 작은 변화들만 측정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약한 자기장이란 지구의 자기장인 몇 십 마이크로테슬라(microtesla)의 강도를 의미한다. 고감도 측정 방법으로 이런 자기장 강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진은 의료용 이미징에 사용되는 1 테슬라 이상의 강한 자기장에서 동일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런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 이번 연구진은 새로운 고정밀 센서를 만들었다. 이것은 측정 동안에 배경 잡음을 매우 낮은 수준까지 감소시켰다. 핵자기 공진의 경우에, 전파는 자기장 속의 원자핵을 여기시키는데 사용된다. 이것은 핵이 약한 전파를 방출하게 한다.

    이번 연구진은 특별하게 준비된 폴리머 속에 물방울과 안테나를 주입했다. 자화율은 구리 안테나의 것과 정확히 일치했다. 이런 방식으로 이번 연구진은 물방울 위에 존재하는 안테나의 해로운 영향을 제거할 수 있었다. 자기장 속의 매우 작은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은 이러한 변화가 발생하는 원인을 관찰할 수 있게 한다. 이 기술은 의학 분야 등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MRI 스캐너의 경우에, 체내 조직 속의 분자들은 최소한의 자화를 받는다. 이 새로운 센서는 너무나 민감해서 체내의 기계적 프로세스(예를 들어, 심장 수축)를 측정할 수 있게 한다. 이 새로운 측정 기술은 MRI를 위한 새로운 조영제 개발에 사용될 수 있다. MRI의 경우에, 조영제는 자화된 핵 스핀이 평형 상태에서 얼마나 빨리 자화되는지를 결정한다. 조영제는 낮은 농도에서도 핵 스핀의 완화 특성으로부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체내의 특정 구조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세 개의 핵 스핀 구성요소에 대한 직접적인 측정은 생물학적 및 화학적 연구에 핵 자기 공진 분광기를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열어준다. 이런 분야의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인데, 이 연구로 인해서 이 분야의 연구가 탄력을 받을 것이고, 향후에 생체 속의 다양한 프로세스를 측정하는데 크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저널 Nature Communications에 “Dynamic nuclear magnetic resonance field sensing with part-per-trillion resolution” 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다(DOI: 10.1038/NCOMMS13702).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자기장; 감지; 고정밀; 센서 2. magnetic field; sensiong; high precision; sensor
  • 584

    2019.03.14

    미국 내 총 98기에 달하는 모든 발전용 원자로의 2018년도 성능이 원자력규제위원회(NRC,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의 최고성능 범주 안에 든 것으로 밝혀졌다. 강화된 규제감시(enhanced regulatory oversight)를 받은 Entergy사의 Pilgrim 원전도 공장은 최고의 운영수준으로 복귀한 것으로 밝혀졌다.

    미 원자력규제위원회(NRC)에 따르면 93기의 원자로는 모든 안전 및 보안성능 목표를 충분히 만족했으며 정상적인 기본검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검사를 수행했다고 밝혔다. 또한 Grand Gulf, Peach Bottom 2,3호기 및 Watts Bar 2호기 등 4개 호기는 1 ~ 2 개의 낮은 안전성 현안을 해결할 필요가 있어 추가검사와 시정조치에 대한 후속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Watts Bar 2호기는 보고기간 종료 이후에야 문제를 해결했지만 고성능 수준으로 복귀했다.

    성능저하 원전 중 제3의 범주에 드는 원전은 없었다. Entergy사의 Pilgrim 원전이 여러 번 또는 반복적인 성능 저하를 의미하는 제4 범주에 들었었지만 제1 범주로 복귀했다. 680 MWe급 비등형원자로(BWR)인 Pilgrim 원전은 안전감압밸브와 관련된 기술현안으로 '백색' 등급을 받아 2015년 9월부터 NRC의 강화된 감독을 받아왔다. 이 원전은 이전에도 2번이나 '백색' 등급을 받았기 때문에 제4 범주로 분류된 것이다.

    단계적 검사가 완료된 후 NRC는 2017년 8월 Entergy사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완료해야하는 조치를 설명하는 확인서를 발급했다. 해당 확인서는 모든 현안이 해결되어 현재는 종결된 상태다. Pilgrim 원전은 1972년 운영을 시작한 바 있으며 2032년까지 운영할 수 있는 운영허가를 받아둔 상태다. 2015년 Entergy사는 2019년 6월 1일까지 해당 원전을 영구 폐쇄할 계획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이후 해당 원전은 해체를 위해 Holtec International사에 매각될 예정이다.

    NRC는 원자로 안전성능 감독(Reactor Oversight)이라는 규제체제를 원전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위험도 기반, 계층화  접근 방식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 체제는 원자로 안전, 방사선 안전 및 핵물질방호 등 3가지 핵심 전략성과를 평가한다. 각 성과는 원전시설 운영과 관련한 필수 안전측면을 반영하고 있다. NRC는 검사 및 성과 지표의 결과를 이용하여 각 원전운영사의 안전성과에 대한 객관적인 결론을 도출하고 각 원전에 대한 적절한 대응수준을 결정한다. 이에 따라 원전들을 제1 범주부터 제5 범주까지 5가지 수준으로 분류하여 감독을 진행하고 있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발전용 원자로,강화된 규제감시,가동원전 2. commercial reactor,enhanced regulatory oversight,operating nuclear power plant
  • 583

    2006.11.03

    원자로 설치 장소의 방사선학적 조절로 부터의 해제는 일반적으로 원자로 설치물을 폐기하는 마지막 단계중 하나이다. 이것은 단지 원자로의 폐기 프로젝트중 제한된 수에서만 시행되어왔고 전체적인 경험은 방사선 물질과 건물을 제거하는 일은 더욱 제한적인 것이었다. 이것은 대부분의 원자로 폐기 프로젝트가 원자로의  장소의 해제가 절박한 상황이 아니며 원자로의 장소가 핵 활동의 재 활용지가 되기 때문이다.
    OECD/NEA (Nuclear Energy Agency)의 WPDD (Working Party on  Decommissioning and Dismantling)은 이 보고서를 통해 원자로 폐기의 계획이 실행될 예정이거나 진행중인 여러 원자로 폐기 프로젝트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폐기 장소의 해제가 실행될 국가의 적절한 공식 기관은 사용되어질 합리적인 해제 기준에 대한 결정을 할 필요가 있다. 해제 기준들에대한 국제적 조화에 대한 필요는 방사선 물질의 처리 보다는 중요한 문제가 안되어 보인다. 왜냐하면 장소의 해제는 국제적 무역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해제에 대한 계획과 장소의 최종 방사선 물질에대한 조사는 해제 측정 훨씬 전에 개발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계획은 방사선 동위 원소의 오염에 대한 동정, 오염으로 부터 영향을 받는  지역에 대한 분류, 조사를 수행하기 위한 기준의 실행과 측정이나 샘플들의 숫자와 위치의 정의를 포함해야만 한다. 원자로 폐기 장소 해제 측정에 대한 적당한  기술들이 통계학적인 접근 방법들과 함께 이용 가능해야한다.
    이러한 기술적 보조는 장소 해제에 대한 정확한 근거를 제공할수 있을것이다. 지하 토양에대한 오염은 장소 해제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만약 토양이 깊게 오염 되었다면 방사선학적인 모델을 구성하고 최종 조사 계획을 개발할때 이를 신중히 검토해야한다.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핵심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3장에서는 원자로 장소의 해제 시기를 결정할때 기본적으로 고려해야할 사항을 기술하고
     있다. 원자로 장소의 해제에 적용시킬 정화와 해제의 개념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제 4장에서는 해제의 기준의 유도에대한 안내를 소개하고 있다.
    -제 5장에서는 원자 벡터의 결정과 같은 폐기 장소의 해제의 실행, 측정 기술들의 개요, 통
     계학적 평가, 배경 감하기와 같은 측정에관한 방법들을 기술되었다.
    -제 6장에는 지하의 오염의 이슈를 논의하고 있다.

    <목차>

    서문
    1장. 중요 요점 정리
    2장. 서론
    3장. 장소 해제의 기초
    4장. 해제 레벨의 유도
    5장. 해제 장소의 실행
    6장. 지하 오염을 지닌 장소
    7장. 결론
    8장. 참고 문헌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582

    2007.09.29

    지속 가능한 원자력 에너지를 위한 'SNE-TP(Sustainable Nuclear Energy Technology Platform)'라는 이름의 새로운 기술 플랫폼이 9월 21일 브뤼셀에서 출범했다. 이 자리에는 원자력청(CEA)의 Alain Bugat 청장을 위시하여 산업체와 연구기관 등의 관련 인사들이 참여했다.

    SNE-TP의 출범에 맞추어 열린 컨퍼런스에는 Janez Potocnik 과학 연구 담당 집행위원과 Andris Piebalgs 에너지 담당 집행위원을 비롯한 유럽집행위원회의 대표들과 원자력 전력 산업체 대표들 그리고 회원국 정부 대표들이 함께 자리했다. 새로운 기술 플랫폼은 에너지 수급 안정, 온실가스 배출 감소, 원자력 에너지의 경쟁력 유지 등 원자력 에너지의 지속적인 사용을 위한 기술 개발과 제약 사항들을 연구하게 된다.

    유럽에서 미래 에너지 수급 문제가 중요성을 갖게 되면서, 원자력에너지의 위치 및 역할이 토론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 원자력 에너지의 평화적 이용에 대해서 유럽연합의 각 회원국은 자유로운 의지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원자력 안전과 핵폐기물 관리 등은 모든 회원국의 미래가 달린 중요한 문제이며, 따라서 가장 효율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새로 개발되는 차세대 원자로는 우라늄 자원을 보다 잘 활용할 수 있어야 하며, 핵 폐기물의 부피를 최소화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원자력 분야에서의 연구 개발과 기술 지식의 확산이 아주 중요해진다.

    이러한 이유로 연구 산업의 주역들은 집행위원회의 후원 하에 지속 가능한 원자력에너지 개발을 위한 기술 플랫폼을 출범시키기로 한 것이다. 이 플랫폼은 에너지 사용이 추구하는 3대 주요 목표에 부응하여야 할 것이다. 즉, 첫째, 회원국들에서 에너지 수급의 안정을 꾀하고, 둘째, 지속 가능한 발전을 보장하며. 셋째, 공급의 경쟁력을 개선시킬 수 있어야 한다.

    오늘날 제 7차 연구 개발 프레임워크 프로그램 하에서 30개가 넘는 유럽의 기술 플랫폼(European Technology Platform)이 탄생하였다. 기술 플랫폼은 유럽의 성장, 경쟁력,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해 기술력 증강이 필요한 중요한 분야에서 전략을 개발한다는 소명을 가진다. 또한, 이 플랫폼은 다양한 분야에서 유럽 시민의 일상생활에 괄목할만한 개선을 가져다 준다는 비전에서, 산업체를 위시한 관련 주역들을 집결하여 과학기술 개발 단계들과 중 장기적 목표를 결정하게 된다.

    기술 플랫폼은 유럽 연구의 우선권을 유럽의 산업체가 필요로 하는 바에 부응하여 맞춘다. 기술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지식을 기술과 프로세스로, 그리고 이어서 상업화 가능한 제품과 서비스로 변화시킴으로써 경제의 전 단계를 망라하여 성장을 도모하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이다.

    참조: http://www.cea.fr/le_cea/actualites/plateforme_technologique_sur_l_energie_nucleaire (기사 하단의 pdf 자료 참조)

    * yesKISTI 참조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581

    2008.06.10

    연구자들의 찬사와 비판을 동시에 받고 있는 새로운 국가 예산안에 따라, 호주의 두 과학기관이 현재 일자리를 줄이고 연구 프로그램을 재조정하고 있다. 2007년부터 논의가 시작되어 지난 5월 중순 노동당 정부가 그 결과를 발표한 예산안의 골자는 고등 교육 기반구조 부문에 105억 달러 규모의 신탁 자금을 제공하는 등 더 많은 재정을 지원하는 대신, 호주의 핵심 과학기관인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이하 CSIRO)와 호주핵과학기술기구(Australian Nuclear Science and Technology Organisation, 이하 ANSTO)의 예산은 줄이는 것이다. 이러한 감축은 놀라운데, 호주 정부는 오는 7월 1일에 시작되는 새로운 회계연도 동안 약 207억 달러 가량의 초과 세입을 기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CSIRO의 예산 축소는 '실망'이라고 이 기구의 집행위원장 Geoff Garrett는 말했다. 이번 예산안 이전에도 이미 한 차례 예산 축소 발표가 있었으므로, 이를 합하면 2008~09 회계연도 동안 CSIRO의 예산은 대략 1,500만 달러, 총 예산인 6억 6천만 달러의 2.2% 가량이 줄어들 전망이다. 그는 '우리의 목표는 핵심 역량을 보존하고 현재 진행 중인 과학기술 활동을 꾸준히 해나가는 것이다 ... 그러나 예산이 이리 된 이상 ... 몇 명의 직원을 내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CSIRO는 에너지 기술, 수자원 관리, 기후 변화 대응 등의 분야를 위한 연구비 지원 혜택을 받게 될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지금으로서는 6350명 인력 중 100명 가량을 감원해야 할 전망이다. 한편 ANSTO는 1009명의 직원 중 80명 가량을 줄일 예정이다. 운영비는 상승하고 있으나 예산은 전년의 1억 4,400만 달러에 비해 2.6% 가량 줄어들기 때문이다.

    한편 호주 과학한림원의 원장 Kurt Kambeck은 이번의 결정으로 '호주 교육은 세계 수준의 고등교육 및 연구 분야로 나아가게 될 것'이라며 교육 투자의 증가에 대해서 환영의 의사를 표시했다. 그는 또한 새로운 장학제도 및 중견 연구자를 위한 1000 펠로우십 제도의 신설에 적극적인 지지의사를 밝혔다. '이로써 더 많은 사람들이 호주에 남아있을 것이며, 가장 생산성이 높은 단계에 도달한 해외 연구자들 또한 호주에 매력을 느낄 것'이라고 그는 기대했다.

    그러나 그는 기후 연구 부문 예산 지원 계획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향후 5년 간 청정 석탄 및 재생가능에너지 프로젝트 등을 포함한 지구온난화 연구개발에 22억 달러를 지원하기로 한 계획에 대해 '전혀 이 문제의 심각성을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고 그는 말했다. 한림원장 Lambeck은 또한 국가혁신체제 및 대학에 대한 검토작업의 연속이 '복지부동에 대한 양해로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했다.

    * yesKISTI 참조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580

    2010.05.19

    호주, 혁신산업과학 연구 예산 기술서

     

    예산 기술서는 다음과 같은 각 기관의 전략 방향과 자원 내역, 예산 및 업무 수행 계획 등을 기술하고 있다.

     

    혁신 산업 과학 연구부(DIISR)

    Department of Innovation, Industry, Secience and Research

    혁신 산업 과학 연구부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배양하고 과학과 연구, 산업 간의 연결 고리를 강화함으로써 혁신이 생산률을 높이고 경제 성장 및 사회적 웰빙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돕는 환경을 조성한다.

     

    호주 원주민 및 토러스 해협 섬 원주민에 관한 연구(AIATSIS)

    Australian Institute of Aboriginal and Torres Strait Islander Studies

    호주 원주민 및 토러스 해협 섬 원주민의 생활양식과 문화에 관한 연구 및 정보를 다루는 세계 최초의 기관이다.

     

    호주 해양 과학 기관 (AIMS)

    Australian Institute of Marine Science

    호주 해양 과학 기관은 혁신적인 세계 수준의 연구를 통해 해양 환경을 보호하고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식을 형성하고, 또 교환한다.

     

    호주 원자력 과학 기술 조직(ANSTO)

    Australian Nuclear Science and Technology Organization

    호주 원자력 과학 기술 조직은 호주의 국립 원자력 연구 개발 조직으로 호주의 원자력 전문 지식에서 중심적 위치를 가지고 있다.

     

    호주 연구 위원회(ARC)

    Australian Research Council

    호주 연구 위원회의 임무는 호주의 연구와 혁신을 세계적으로 발전시키고 사회에 혜택을 가져오도록 프로그램과 정책을 전달하는 일이다. 호주 연구 위원회의 역할은 연구 자금 지원과 정책에 대해 정부에 조언하는 것이며 국가 지원금 공모 프로그램(National Competitive Grant Program)을 통해 연구와 연구 훈련 수행의 질을 최고로 향상시키는 것이다.

     

    연방 과학 및 산업 연구 조직(CSIRO)

    The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zation

    연방 과학 및 산업 연구 조직은 호주 산업을 원조하고 호주 사회의 이익을 배가한다. 또한 호주 정부의 국내외 목표 및 책임에도 기여한다.

     

    IP호주
    IP Australia

    IP호주는 특허, 트레이드 마크, 산업 설계 및 식물의 유전자 변환을 승인하는 책임을 지는 호주 정부 기관이다.

     

    수석 과학 고문 사무국

    The Office of the Chief Scientist

    수석 과학 고문 사무국은 혁신과 과학, 연구 분야에서 새롭게 떠오르는 문제들에 관해 정보와 조언을 제공하고, 호주 정부 및 수상이 관장하는 과학과 공학, 혁신 위원회(Prime Minister’s Science, Engineering and Innovation Council)의 수석 과학 고문에 행정적 지원을 제공한다. 사무국은 과학, 연구, 산업 공동체, 학계와 사회, 기타 포트폴리오, 정부 등 광범위한 공동체 전반에 걸쳐 수석 과학 고문을 지원하며 이는 수석 과학 고문이 호주에 있어 중요한 과학, 기술적 문제에 관해 정부에 시기 적절하고 포괄적인 조언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목차

    기술서 개관

    기관별 자원 및 업무 수행 계획

    용어 사전


    • 저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Keyword :
  • 579

    2017.01.22

    2017년 1월 4일 CNNC(China National Nuclear Corporation)는 Sanmen 부지에 짓고 있는 AP1000 원자로 2호기의 4번째이자 마지막 원자로냉각재펌프(RCP, Reactor Coolant Pump) 설치가 완료되었다고 밝혔다. Westinghouse사는 중국에 4기의 AP1000 원자로를 건설하고 있는데 Zhejiang성 Sanmen부지에 2기, Shandong성 Haiyang부지에 2기를 건설하고 있다. 미국의 Curtiss-Wright사가 이들 원전에 들어갈 16대의 RCP를 제작, 공급한다.

    2009년 4월 건설이 시작된 Sanmen 1호기는 전 세계적으로 최초로 운전이 시작되는 AP1000형 원자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Sanmen 2호기 최초 콘크리트 타설은 2009년 9월 시작되었다. 중국에 건설중인 4기의 AP1000 원자로는 원래 모두 올해 말까지는 상업운전에 들어가도록 계획되어 있었으나 모두 3년 이상 계획보다 지연될 전망이다. CNNC측은 첫번째 원자로가 2013년 12월에 준공될 계획이었으나 핵심기기 설치지연으로 미뤄진 바 있다고 밝혔다. 설계결함과 핵심기기 공급상 문제로 AP1000 건설은 지연이 반복되었으며 Sanmen 1,2호기에 설치될 새 RCP는 현장에 2015년 말에야 도착한 바 있다.

    한편, Fujian성 Fuqing 원전 5호기의 원자로 격납건물 돔 설치가 완료되었다고 CNNC측이 2017년 1월 3일 발표했다. 이 원전은 중국이 설계한  Hualong One 원자로 시범호기(Fuqing 5,6호기) 2기 중 선행호기로 2019년 시운전을 개시할 것으로 보인다. 6호기에는 최근 비상사고시 원자로 내에 붕산을 주입해서 핵분열 연쇄반응을 중지시키는 용도로 쓰이는 붕산주입탱크(BIT, boron injection tank)가 설치되었다. Fuqing 5,6호기 원자로 기초에 대한 최초 콘크리트 타설은 각각 2015년 5월 및 12월에 있었으며 2019년 및 2020년에 준공될 예정이다.

    Fuqing 1~4호기는 모두 중국의 CPR-1000형 가압경수로(PWR)이다. 4호기 저온수압시험(CHT,  Cold hydrostatic testing)이 2016년 12월 25일 완료되었다. 1,087MWe 용량의 CPR-1000형 원전인 4호기는 올해 말에 준공될 예정이다. Shandong성 Shidaowan에 건설 중인 HTR-PM 고온가스냉각로 시범호기도 2016년 12월 31일 주제어실 설치가 완료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원자로는 2대의 HTR-PM 원자로 모듈이 공동으로  210MWe 용량의 증기터빈 1대를 구동하게 된다. 2012년 말에 건설이 착공되었으며 2017년 말에 준공될 예정이다.


    • 저자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 Keyword : 1. 원자로냉각재펌프, AP1000, Hualong One 2. RCP(Reactor Coolant Pump), AP1000, Hualong One